“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복(尹復)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남(海南). 명종(明宗) 때 낙안 군수(樂安郡守)가 되어 왜구의 침략에 대비하고, 안동 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로 시절 이황(李滉)과 교유함.
1512~157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관인>문신
-
윤복규(尹復圭)
고려 후기의 문신. 학정(學正)을 지냈으며,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그에게 화답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윤봉(尹逢)
고려 전기의 문신. 태조(太祖) 왕건(王建)을 도운 공으로 삼한공신(三韓功臣)에 책록되고, 내사령(內史令)을 지냄.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봉구(尹鳳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 권상하(權尙夏)의 문인(門人). ‘강문팔학사(江門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호락논쟁(湖洛論爭)에서 호론(湖論)을 주장한 중심인물이며, 공조 판서 등을 역임함.
1681~176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봉오(尹鳳五)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윤명운(尹明運)의 아들이며, 윤봉구(尹鳳九)의 아우로, 연잉군(延礽君)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 등을 역임함.
1688~1769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봉조(尹鳳朝)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명원(尹明遠)의 아들로, 《경종실록(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고 대제학(大提學) 등을 지냄. 문장에 능하고 특히 소차(疏箚)에 뛰어남.
1680~176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부(尹釜)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홍(尹承弘)의 아들로,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역임함.
1510~155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비(尹棐)
조선 전기의 유학. 김안국(金安國)의 《모재집(慕齋集)》에 그에 대한 자사(字辭)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윤사균(尹士昀)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정난공신(靖難功臣)과 좌익공신(靖難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영평군(鈴平君)에 봉해짐.
1409~?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사로(尹師路)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세종의 부마로,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佐翼功臣)에 책록되고, 충훈부 당상(忠勳府堂上) 등을 지냄.
1423~146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사분(尹士昐)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파평부원군(坡平府院君)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오빠. 문음(門蔭)으로 벼슬하여 우의정 등을 지냈으며,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됨.
1401~147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사율(尹士栗)
조선 전기의 문인.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윤사은(尹師殷)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배(尹培)의 아들이고, 윤탁(尹倬)의 아버지이며, 운성부원군(雲城府院君) 박종우(朴從愚)의 사위로,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익(尹思翼)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징(尹澂)의 아들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등을 지냄.
147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문신
-
윤사정(尹士貞)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원평군(原平君) 윤공(尹恭)의 아들로, 문천 군수(文川郡守)ㆍ온성 부사(穩城府使) 등을 지냄.
1479~1527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종(尹師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진사. 본관은 영천(永川). 윤형(尹炯)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문사>유학
-
윤사하(尹師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은(尹垠)의 아들이며, 상주 목사(尙州牧使) 윤탕(尹宕)의 아버지로, 통례원 좌통례(通禮院左通禮)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사흔(尹士昕)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윤번(尹璠)의 아들이며, 정희왕후(貞熹王后)의 동생으로,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과 좌리공신(佐理功臣)에 책록되고, 우의정 등을 지냄.
?~148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삼산(尹三山)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윤곤(尹坤)의 아들이며,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조부.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능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상(尹祥)
조선 태조(太祖)~단종(端宗)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인 조용(趙庸)에게 수학하였으며, 세종(世宗) 때 예문관 제학(藝文館提學)으로 세손(世孫)이던 단종을 가르침. 경학(經學)에 밝고 문장에도 매우 능하였으며 후진양성에 힘씀.
1373~145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