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상로(尹商老)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성군(鈴城君) 윤탄(尹坦)의 아들이자, 영양군(鈴陽君) 윤형로(尹衡老)의 형이며, 성종(成宗)의 계비(繼妃)인 정현왕후(貞顯王后)의 사촌 오빠로, 부사(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상손(尹祥孫)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무신. 본관은 무송(茂松). 윤백연(尹伯涓)의 아들로,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등을 역임하였으며, 정사룡(鄭士龍)의 《호음잡고(湖陰雜稿)》에 그에 대한 묘갈명(墓碣銘)이 실려 있음.
1468~1548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관인>무신
-
윤석(尹晳)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윤계흥(尹繼興)의 아들로, 글 솜씨가 뛰어나 오랫동안 승문원(承文院)에 재직하고 통례원 우통례(通禮院右通禮)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부관참시(剖棺斬屍)의 화를 당함.
1435~150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석(尹碩)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만비(尹萬庇)의 아들로, 조적(曺頔)의 난을 진압하여 일등공신이 되고 좌정승 등을 역임하였으나, 충목왕 때 유배되어 죽음.
?~1348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석보(尹碩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간신 임사홍(任士洪)을 극형에 처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대사간(大司諫) 때 연산군에게 충언(忠言)하다가 유배되어 죽음. 후에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됨.
?~150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석충(尹碩忠)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도첨의 우정승(都僉議右政丞)를 지내고,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윤선거(尹宣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학자. 김집(金集)의 문인으로, 유계(兪棨)ㆍ송시열(宋時烈)ㆍ윤휴(尹鑴)ㆍ윤선도(尹善道)ㆍ이유태(李惟泰) 등과 교유함. 성리학(性理學)의 대가이고 예론(禮論)에도 정통함.
1610~1669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금산 , 인명>문사>학자
-
윤선도(尹善道)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ㆍ시인. 남인(南人)의 거두로, 치열한 당쟁 속에서 일생을 유배지에서 보냄. 경사(經史)에 해박하고 특히 시조(時調)에 뛰어나, 정철(鄭澈)ㆍ박인로(朴仁老)와 더불어 ‘조선삼대시가인(朝鮮三大詩歌人)’으로 불림.
1587~167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해남ㅣ전라도>영암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윤선좌(尹宣佐)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1322년(충숙왕 9)에 권한공(權漢功)ㆍ채홍철(蔡洪哲) 등이 왕을 폐하고 심왕 고(瀋王暠)를 대신 세우려 하자 그 계획을 좌절시킴.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을 지내고, 문장이 뛰어나 당대 표전(表箋)을 많이 지음.
1265~134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선철(尹先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탁(尹倬)의 아들이며, 양주 목사(楊州牧使) 윤경(尹暻)의 아버지로, 부정(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섭(尹涉)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파평(坡平). 현감 윤철(尹轍)의 아들이며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형(姊兄)으로, 첨사(僉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섭(尹爕)
조선 성종(成宗)의 부마(駙馬). 본관은 파평(坡平). 윤승류(尹承柳)의 아들로, 성종의 열한 번째 서녀(庶女)인 정숙옹주(靜淑翁主)와 혼인함.
?~151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왕실>인척
-
윤성(尹城)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남원(南原). 1528년(중종 23)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였으며, 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하여 김인후가 그의 아들에게 지어준 시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남아 있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문사>유학
-
윤성은(尹成殷)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감찰(監察)을 지내고, 유희춘(柳希春)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윤세림(尹世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윤지숭(尹之崇)의 아들로,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등을 역임하였으며, 대사헌 유운(柳雲)과 함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희생된 조광조(趙光祖) 등의 억울함을 상소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세호(尹世豪)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1503년(연산군 9)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로 재임 중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냄.
1470~?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소종(尹紹宗)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 이색(李穡)의 문인(門人)으로, 고려 때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 등을 역임하고, 조선 개국 후에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수문관 대제학(修文館大提學)을 지냄.
1345~139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무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윤속(尹涑)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백령(尹伯齡)의 아들로, 부정(副正) 윤광령(尹光齡)에게 출계함. 1525년(중종 20)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윤수(尹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윤효조(尹孝祖)의 아들이며, 윤희성(尹希聖)의 생부(生父). 기묘명현(己卯名賢) 중 한 사람으로, 당대에 명성이 높았으나 시대가 불운하여 벼슬하지 않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수강(尹秀岡)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군(鈴川君) 윤반(尹磻)의 맏아들이며,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외손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