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윤수륜(尹秀崙)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파평(坡平). 영천군(鈴川君) 윤반(尹磻)의 둘째 아들이며, 상당부원군(上黨府院君) 한명회(韓明澮)의 외손자.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문사>유학
-
윤수상(尹守常)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칠원(漆原). 도첨의평리(都僉議評理)와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 등을 지냈으며, 민사평(閔思平)의 《급암시집(及菴詩集)》에 그를 축하하는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칠원 , 인명>관인>문신
-
윤수천(尹壽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예천 군수(醴泉郡守)를 지낼 때 쾌빈루(快賓樓)를 중수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숙(尹俶)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아들로,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와 판결사(判決事) 등을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 때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억울하게 죽음.
?~1504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순(尹洵)
중종(中宗) 때의 문인. 본관은 남원(南原). 송순(宋純)ㆍ정만종(鄭萬鍾)ㆍ임억령(林億齡) 등과 시(詩)를 주고받으며 교의관계(交誼關係)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담양 , 인명>문사>문인
-
윤순(尹珣)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윤계겸(尹繼謙)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순(尹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태상부 녹사(太常府錄事) 윤복원(尹復元)의 아들이며, 영평부원군(鈴平府院君) 윤보(尹珤)의 아버지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
-
윤순거(尹舜擧)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성혼(成渾)의 외손자이자 윤황(尹煌)의 아들로, 백부인 윤수(尹燧)에게 출계함. 성문준(成文濬)ㆍ강항(姜沆)ㆍ김장생(金長生)에게 수학하였고, 문장과 글씨에 뛰어났으며, 상의원 정(尙衣院正) 등을 지냄.
1596~166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윤승경(尹承慶)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예빈시 별좌(禮賓寺別坐)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좌참찬(左參贊) 윤승길(尹承吉)의 형으로, 종부시 정(宗簿寺正)ㆍ춘추관 편수관(春秋館編修官) 등을 지냄.
152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승길(尹承吉)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윤홍언(尹弘彦)의 아들이며, 인성군(仁城君) 이공(李珙)의 장인.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 의정부 좌참찬(議政府左參贊) 등을 지냄.
1540~161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승례(尹承禮)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영평군(鈴平君) 윤척(尹陟)의 다섯째 아들이며, 세조비(世祖妃) 정희왕후(貞熹王后)의 조부로, 판도 판서(版圖判書)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승류(尹承柳)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세종(世宗)의 부마(駙馬)인 윤사로(尹師路)의 손자이며, 성종(成宗)의 부마인 윤섭(尹爕)의 아버지로, 사복시 정(司僕寺正) 등을 역임함.
1475~150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승서(尹承緖)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평(海平).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낸 윤홍언(尹弘彦)의 셋째 아들로, 교하 현감(交河縣監) 등을 지냄.
15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윤승세(尹承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의 손자이고, 호조 참의(戶曹參議) 윤간(尹侃)의 맏아들이며, 영원위(鈴原尉) 윤내(尹鼐)의 아버지로, 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윤승순(尹承順)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무신. 윤척(尹陟)의 아들로, 공민왕 때 신돈(辛旽)을 살해하려던 일이 누설되어 유배됨. 창왕(昌王) 때 권근(權近)과 함께 명(明)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판개성부사(判開城府事) 등을 지냄.
?~1392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관인>무신
-
윤승해(尹承解)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의 문신. 윤유연(尹裕延)의 아들로, 감찰어사(監察御史)를 거쳐 검교상서 호부시랑(檢校尙書戶部侍郞)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통진 , 인명>관인>문신
-
양치(梁治)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남원(南原). 세종(世宗) 때의 종친인 이리(李利)의 사위로, 삭녕 군수(朔寧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원 , 인명>관인>문신
-
양침(羊忱)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양권(羊權)의 아버지로, 서주 자사(徐州刺史) 등을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양파선생실기(陽坡先生實紀)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인 홍언박(洪彦博)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04년(순조 4) 후손 홍석(洪奭)이 실기(實紀)를 편찬하고‚ 1811년 방손 홍병철(洪秉喆)이 증보하여 다시 간행함.
180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양파유고(陽坡遺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정태화(鄭太和)의 시문집. 원집과 속집 포함 7책.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