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어록해(語錄解)
조선 전기의 문신인 이황(李滉)과 유희춘(柳希春) 및 그 제자들이 중국 송(宋) 나라의 《어록(語錄)》을 풀이한 책. 활자본. 1책. 1652년(효종 3)에 정양(鄭瀁)이 종합ㆍ편찬하고, 그 후 남이성(南二星)이 교정ㆍ증보하여 1669년(현종 10) 송준길(宋浚吉)과 함께 주를 달아 중간함.
165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어맹강의(語孟講義)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의 학자인 채원정(蔡元鼎)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어맹순(魚孟淳)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 어세공(魚世恭)의 아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1467~1514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어면순(禦眠楯)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송세림(宋世琳)이 지은 소화집(笑話集). 향촌에 떠도는 이야기 가운데 잠을 쫓을 만한 내용을 채록한 것으로, 대부분 음담패설에 속하는 설화(說話)이며, 1947년 활자로 간행함.
194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어몽룡(魚夢龍)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함종(咸從). 군수(郡守) 어운해(魚雲海)의 아들로, 진천 현감(鎭川縣監)을 지냄. 묵매(墨梅)를 잘 그려서 이정(李霆)의 묵죽(墨竹), 황집중(黃執中)의 묵포도와 함께 당시의 삼절(三絶)로 불림.
1566~? 한국>조선후기 , 평안도>함종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어부가(漁夫歌)
고려시대 지어진 작자 미상의 시가. 12장으로 되어 있으며, 《악장가사(樂章歌詞)》에 수록되어 있음. 어부가의 출발 작품으로 후대 어부가 계통의 작품들에 많은 영향을 줌. 조선 명종 때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이를 장가(長歌) 9수와 단가(短歌) 5수로 개작하여 〈어부사(漁父詞)〉를 만듦.
한국>고려시대 , 문헌>작품명
-
어부사(漁父詞)@이현보
조선 명종(明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지은 가사(歌詞). 조선시대 12가사의 하나로, 고려 때부터 전하던 〈어부가(漁父歌)〉 12장을 장가(長歌) 9수와 단가(短歌) 5수로 고쳐서 지었으며, 《농암집(聾巖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어부사(漁父詞)@박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박준(朴浚)이 찬한 가사(歌詞). 뒤에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가 개정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작품명
-
어부사(漁父辭)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시인인 굴원(屈原)이 지은 사(辭). 은자(隱者)인 어부와 굴원의 문답체로 구성되었으며, 세상의 오탁(汚濁)에 물들지 않으려는 굴원의 의지가 표현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어세겸(魚世謙)
조선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로, 예종(睿宗) 때 익대공신(翊戴功臣)에 봉해지고 좌의정 등을 지냄. 학식이 뛰어나고 문무를 겸비하였다 함.
1430~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어세공(魚世恭)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만종(萬從) 어효첨(魚孝瞻)의 아들.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봉해지고, 경학(經學)ㆍ역학(易學)ㆍ율학(律學)에 조예가 깊음.
1432~148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어숙평(魚叔平)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호조 판서(戶曹判書) 어계선(魚季瑄)의 아버지로, 충좌위 대호군(忠佐衛大護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함종 , 인명>관인>문신
-
어양교(漁陽橋)
중국 계주(薊州)에 있는 다리 이름. 당(唐) 나라의 안녹산(安祿山)과 양귀비(楊貴妃)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 연행(燕行)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
중국>당 , 중국 , 유적>시설>기타시설
-
어영준(魚泳濬)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ㆍ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역임했음. 성품이 온화하고 강직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했음.
1483~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인명>관인>문신
-
어우야담(於于野談)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유몽인(柳夢寅)이 편찬한 설화집. 5권 1책. 활자본. 1964년 종후손 유제한(柳濟漢)이 가전의 잔존본에 여러 이본을 수집, 보충하여 간행함. 야사(野史)ㆍ항담(巷談)ㆍ가설(街說)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에 성행한 야담류의 효시가 됨.
1964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어우집(於于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몽인(柳夢寅)의 시문집. 12권 6책. 목활자본. 초간본은 전해지지 않고, 1832년(순조 32) 후손 유금(柳琹)ㆍ유영무(柳榮茂) 등이 유고를 수집, 편차하여 중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어운해(魚雲海)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함종(咸從)으로, 좌참찬(左參贊) 어계선(魚季瑄)의 아들. 1564년(명종 19)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과천 현감(果川縣監)ㆍ평창 군수(平昌郡守) 등을 지냄. 이이(李珥)ㆍ성혼(成渾) 등과 친분이 깊음.
1536~158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어유봉(魚有鳳)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종(咸從).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으로, 1722년(경종 2) 신임사화(申壬士禍) 때 김창협이 화를 당하자 유생들과 함께 변호하다가 파직됨. 세자시강원 찬선(世子侍講院贊善)을 지내고, 저서로 《기원집(杞園集)》 등이 있음.
1672~174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어은유집(漁隱遺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양사형(楊士衡)의 시문집. 1권 1책. 인본. 1911년에 후손 양석구(楊錫球)ㆍ양석윤(楊錫胤) 등이 간행함. 권두에 정태현(鄭泰鉉)ㆍ양원영(楊瑗永)의 서문이 실려 있음.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어을우동(於乙宇同)
조선 성종(成宗) 때 양반가의 여자로서 행동이 문란하여 사회의 물의를 일으킨 인물. 지승문(知承文) 박씨의 딸이며, 종실 태강수(泰江守) 이동(李仝)의 아내. 행실이 방탕하여 여러 조관 및 유생들과 관계하여 풍속을 어지럽힌 죄로 사형당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