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불위(呂不韋)
중국 춘추전국시대 말기 진(秦) 나라 장양왕(莊襄王)과 시황제(始皇帝) 때의 재상. 노애(嫪毐)의 난을 계기로 시황제(始皇帝)에 의해 제거됨. 저서로 《여씨춘추(呂氏春秋)》가 있음.
?~B.C.235 중국>진ㅣ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사제강(麗史提綱)
조선 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유계(兪棨)가 지은 고려의 편년체 사서(史書). 23권 23책. 활자본. 기존의 《고려사(高麗史)》를 주자(朱子)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체재에 따라 편년체로 바꾸어 서술하였으며, 송시열(宋時烈)의 서(序)가 실려 있음.
166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여산(呂産)
중국 한(漢) 나라 때의 외척. 여후(呂后)의 조카로, 그의 비호 아래 상국(相國)이 되고, 여후가 죽은 뒤 여록(呂祿)과 함께 정변을 일으켜 제위 찬탈을 도모하였으나, 진평(陳平)ㆍ주발(周勃) 등에게 주살됨.
?~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여산(廬山)@중국
중국 강서성(江西省) 북부, 파양호(鄱陽湖) 북서쪽 기슭에 있는 산. 주희(朱熹)가 짓고 강학했던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이 있는 곳이며, 불교에 관한 고적(古蹟)이 많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산(廬山)
경상도 안동(安東) 임하현(臨河縣)에 있는 고을 이름. 호계서원(虎溪書院)이 조선 선조(宣祖) 때 여강서원(廬江書院)이란 이름으로 창건된 곳.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여산(礪山)
전라도 익산(益山)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조선 정종(定宗) 때 여량(礪良)과 낭산(朗山)의 이름을 합쳐 여산이라 칭했고, 세종(世宗) 때 군(郡)으로 승격함.
전라도>여산 , 지명>행정지명
-
여산송씨(礪山宋氏)
고려 때 진사(進士)를 지내고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에 추증된 송유익(宋惟翊)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여산 , 인명>집단>성씨
-
여산폭포(廬山瀑布)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에 있는 폭포. 역대의 많은 문인들이 이곳에서 시ㆍ부를 써서 폭포의 웅장함을 칭송함. 이백(李白)ㆍ서응(徐凝) 등의 시가 있음.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상(余爽)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세상에 굽히지 않는 강직한 성품으로 정사를 돌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상(呂尙)
중국 은(殷) 말~주(周) 초의 무신ㆍ제후. 영락(零落)하여 위수(渭水) 근처에서 낚시로 세월을 보내던 중 주(周) 문왕(文王)을 만나 주 나라 건국의 기반을 다지고 제후(齊侯)에 봉해짐.
중국>주ㅣ중국>은 , 중국 , 인명>관인>무신ㅣ인명>왕실>제후
-
여세윤(呂世潤)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함양(咸陽)으로, 1555년(명종 10)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황준량(黃俊良) 등과 교유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여세침(呂世琛)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사섬시 부정(司贍寺副正) 여윤수(呂允秀)의 아들로, 장악원 첨정(掌樂院 僉正) 등을 역임함
1490~157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여송걸(余宋傑)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으로 《역경(易經)》을 배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여수(汝水)
중국 하남성(河南省) 경내에 있는 강 이름. 우(禹) 임금이 강(江)의 물길을 뚫어 치수(治水)한 곳으로 전해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여승감(呂承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씨가숙독시기(呂氏家塾讀詩記)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여조겸(呂祖謙)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여씨잡기(呂氏雜記)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인 여희철(呂希哲)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여씨향약(呂氏鄕約)
중국 북송(北宋)의 여대충(呂大忠)ㆍ여대방(呂大防)ㆍ여대균(呂大勻)ㆍ여대림(呂大臨) 네 형제가 향촌을 교화ㆍ선도하기 위해 만든 자치적인 규약. 덕업상권(德業相勸)ㆍ과실상규(過失相規)ㆍ예속상교(禮俗相交)ㆍ환난상휼(患難相恤) 등 네 가지 강령으로 하며, 조선 후기에 실시된 향약의 모체가 됨.
중국>송 , 중국 , 법제>의례>향촌의례ㅣ문헌>서명
-
여암(呂巖)
중국 당(唐) 나라의 도사. 도교 팔선(八仙) 중 한 사람으로, 선인(仙人) 종리권(鐘離權)에게 전수받은 천둔검법(天遁劍法)과 금단(金丹)의 비법을 써서 민중을 고통으로부터 구했다고 함.
79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여양굉(余良肱)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 여상(余爽)ㆍ여변(余卞)의 아버지로, 형남 사리참군(荊南司理參軍)ㆍ광록경(光祿卿)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