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여천(黎倩)
중국 송(宋) 나라 때의 기녀(妓女). 귀향지에 돌아오는 호전(胡銓)과 운우지정(雲雨之情)의 관계를 맺음. 상담 호씨원(湘潭胡氏園)에서 그를 위해 지은 호전의 시가 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기술인>기생
-
여칭(呂稱)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고려 말에 전라도 안렴사(全羅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조선 개국 후에는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ㆍ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등을 지냄.
1351~1423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여태자(戾太子)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의 태자. 모친은 위황후(衛皇后). 무제로부터 소외당하고 외숙인 위청(衛靑)이 죽자 권신 강충(江充)이 무고하여 거병(擧兵)하였다가 실패하여 자살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여택(呂澤)
중국 한(漢) 고조(高祖)의 외척. 황후인 여후(呂后)의 오빠로 유방(劉邦)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여헌영당(旅軒影堂)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선산(善山)에 건립한 영당(影堂).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영정(影幀)을 봉안하고 제향함.
164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선산 , 유적>건물>사당
-
여헌집(旅軒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장현광(張顯光)의 문집. 1642년(인조 20) 아들 장응일(張應一)이 목판으로 간행함.
164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여혜경(呂惠卿)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왕안석(王安石)과 더불어 신법(新法)을 추진했으나 왕안석이 실각하자 그를 방해하다가 외방(外方)으로 쫓겨나고, 휘종 때 다시 폄척(貶斥)을 받고 죽음. 태자 중윤(太子中允) 등을 지냄.
1032~111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회(呂誨)
중국 북송(北宋) 신종(神宗) 때의 문신. 신종 때 재상 왕안석(王安石)이 부국강병을 위하여 신법(新法)을 만들자 반대에 앞장서고 탄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여후(呂后)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황후. 고조가 죽자 여씨정권(呂氏政權)을 수립하여 횡포를 일삼음.
B.C.241~B.C.18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여흥민씨(驪興閔氏)
고려 때 상의봉어(尙衣奉御)를 지낸 민칭도(閔稱道)를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집단>성씨
-
여희(驪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후궁(後宮). 서방 여(麗) 나라 국경지기의 딸이었으나 헌공에게 약탈된 후 총애를 받고 후궁이 됨. 태자 신생(申生)을 죽이고 아들 해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는 등 나라를 혼란에 빠뜨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여희단(呂希端)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성산(星山). 1519년(중종 14) 동생 여희림(呂希臨)과 함께 현량과(賢良科)에 천거되었으나 응시하지 않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화를 면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문사>유학
-
여희림(呂希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성산(星山). 고향으로 내려가 여씨향약(呂氏鄕約)을 시행하였고, 정광필(鄭光弼)의 추천으로 복성군(福城君)의 사부가 되었으며, 도학과 문장으로 명성을 떨침.
1481~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여희철(呂希哲)
중국 북송(北宋)의 학자ㆍ문신. 호원(胡瑗)ㆍ정호(程顥)ㆍ정이(程頤)ㆍ장재(張載) 등에게서 학문을 배움. 사람됨이 대범하고 신중하여 만년(晩年)에 명성을 더욱 날림.
1039~111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역^범(易^範)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 서경(書經)과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사서(史書)인 서경과 점서(占書)인 역경을 일컬음.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역^예(易^禮)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 중에 예기(禮記)와 역경(易經)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역경(易經)
유교 경전(儒敎經典)인 오경(五經)의 하나인 점서(占書). 팔괘(八卦)와 육십사괘(六十四卦), 괘사(卦辭)ㆍ효사(爻辭)ㆍ십익(十翼)으로 이루어져 있음. 팔괘를 복희(伏羲)가 지었다는 데는 의견이 대부분 일치하지만 나머지에 대해서는 이설이 분분함.
중국 , 문헌>서명
-
역경도석(易經圖釋)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정지(劉定之)가 지은 역학서(易學書). 고본(古本) 《역경》을 바탕으로 지음. 12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경몽인(易經蒙引)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채청(蔡淸)이 지은 역학서(易學書). 주희(朱熹)의 《주역본의(周易本義)》를 발명(發明)하는 것을 위주로 삼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역대명감(歷代名鑑)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성현(成俔)ㆍ홍귀달(洪貴達) 등이 왕명으로 편찬한 역사서. 역대 군신(君臣)과 후비(后妃) 가운데 귀감이 될 수 있는 행적을 실음. 6책.
150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