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연경서원(硏經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북도 대구(大邱)에 창건한 사액서원(賜額書院). 이황(李滉)ㆍ정구(鄭逑)ㆍ정경세(鄭經世)를 배향하였음.
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곡서원(淵谷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장흥(長興)에 건립한 서원. 1726년(영조 2) 사액되었으며, 민정중(閔鼎重)ㆍ민유중(閔維重)을 제향함.
169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유적>건물>서원,향교
-
연곡유집(延谷遺集)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권성익(權聖翊)의 문집. 1936년에 6대손 권정섭(權廷燮)이 2권 1책으로 간행함.
1936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공(然公)
고려 후기의 승려. 권근(權近)의 《양촌집(陽村集)》에 그의 시권(詩卷)에 써준 글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연구령(延九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김정(金淨)의 《충암집(冲庵集》에 그와 주고받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연기(燕岐)
충청남도 동쪽 끝에 있는 고을 이름. 1414년(태종 14) 전의(全義)와 통합했다가 1416년(태종 16) 다시 분리함.
충청도>연기 , 지명>행정지명
-
연기(緣起)
신라 진흥왕(眞興王) 때의 인도 승려. 지리산 화엄사(華嚴寺)의 창건자.
한국>신라 ,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
-
연대사(蓮臺寺)
경상도 안동(安東) 청량산(淸涼山)에 있는 사찰. 통일신라시대 김생(金生)이 친필로 쓴 불경(佛經)이 많이 소장되어 있었으며, 이황(李滉)이 즐겨 찾은 장소로 이름남.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조선 정조(正祖) 때의 학자인 이긍익(李肯翊)이 편찬한 야사집(野史集). 34권. 조선 태조(太祖)부터 숙종(肅宗) 때까지 각 왕대의 주요한 사건을 기록하고, 전례(典禮)ㆍ문예(文藝)ㆍ천문(天文)ㆍ지리(地理) 등의 편목(篇目)을 추가하여 그 연혁을 기재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연리지(連理枝)
한 나무의 가지가 다른 나무의 가지와 연결되어 가지가 서로 얽힌 것으로, 부부의 애정이 지극함을 이르는 말. 춘추전국시대 송(宋) 나라 한빙(韓凭)과 그의 아내의 고사에서 유래하며, 백거이(白居易)의 시가 전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연명취석(淵明醉石)
중국 강서성(江西省) 여산(廬山)에 있는 바위 이름.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시인인 도연명(陶淵明)이 술에 취하면 눕곤 하여 그 흔적이 남았다고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연방세고(聯芳世稿)
조선 전기의 문인인 김진(金璡)과 그의 다섯 아들 김극일(金克一)ㆍ김수일(金守一)ㆍ김명일(金明一)ㆍ김성일(金誠一)ㆍ김복일(金復一)의 문집. 1797년(정조 21)에 후손 김용보(金龍普)가 편집, 간행함.
1797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연방원(聯芳院)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원각사(圓覺寺)를 폐사한 후 그 자리에 만든 기방(妓房).
150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건물>기타건물
-
연보(延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곡산(谷山). 장령(掌令)을 지낸 연구령(延九齡)의 아버지로, 낙안 군수(樂安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곡산 , 인명>관인>문신
-
연복사(演福寺)
경기도 개성(開城)에 있었던 사찰. 공민왕(恭愍王)ㆍ공양왕(恭讓王) 등 여러 왕들이 여러 차례 거둥할 정도의 대찰이었으나 조선의 양란(兩亂)을 거치면서 폐허가 됨. 고려 후기의 승려인 진공(軫公) 등이 주지를 지냄.
한국>고려시대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연부(年富)
중국 명(明) 나라 영종(英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 등을 지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연사(演師)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행록(耘谷行錄)》에 원천석(元天錫)과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연사종(延嗣宗)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곡산(谷山). 1388년(우왕 14) 요동정벌 때 이성계(李成桂)의 장군 진무(掌軍鎭撫)로 종군하고, 조선 개국 후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 등을 지냄. 개국공신(開國功臣)ㆍ원종공신(元從功臣)ㆍ좌명공신(佐命功臣)에 책록됨.
1360~143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연산군(燕山君)
조선의 제10대 왕. 재위 1494~1506. 재위 중 무오ㆍ갑자사화를 일으켜 사림파를 비롯한 문신들을 대거 처형하고 언관(言官) 제도를 크게 축소했으며, 당시 사대부들의 윤리관에 어긋나는 행동을 거듭하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폐위됨.
1476~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연세홍(延世弘)
조선 전기의 도사. 중종(中宗) 때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김구(金絿)와 왕래했던 도사로, 《자암집(自菴集)》에 그와 수창(酬唱)한 〈차금봉연도사압사수(次錦峯延道士押四首)〉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