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영은문(迎恩門)
조선 중종(中宗) 때 중국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慕華館) 앞에 건립한 문. 본래 이름은 영조문(迎詔門)이었는데 명 나라 사신 설정총(薛廷寵)에 의해 영은문(迎恩門)으로 개칭되었고, 뒤에 서재필(徐載弼) 등이 이 자리에 독립문(獨立門)을 세움.
153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유적>시설>기타시설
-
영응대군(永膺大君)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여덟째 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어머니는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 정충경(鄭忠敬)ㆍ송복원(宋復元)의 딸과 혼인하였으며, 《명황계감(明皇誡鑑)》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 글씨ㆍ그림ㆍ음률(音律)에 능함.
1434~146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일(迎日)
경상도 동부 동해에 연해 있는 고을 이름. 연오랑(延烏郞)ㆍ세오녀(細烏女) 설화가 전하는 일월지(日月池)와 오천서원(烏川書院) 등의 유적이 있음. 지금은 경상북도 포항시(浦項市)에 속함.
경상도>영일 , 지명>행정지명
-
영정(永貞)
조선 전기의 승려.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묘필(妙筆)을 이어 받은 것으로 평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제(靈帝)
중국 후한(後漢)의 제12대 황제. 재위 168~189. 재위 시에 환관들의 농간에 미혹되어 당고지화(黨錮之禍)를 야기 시키는 등 국정이 문란하여 황건(黃巾)의 난이 일어남.
156~18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조(英祖)
조선 제21대 왕. 재위 1724~1776.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蕩平策)과 균역법(均役法)을 추진하고,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
1694~177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송
중국 송(宋)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1064~1067. 재위 초기에 허약하여 조태후(曹太后)가 수렴청정을 하였고, 서하(西夏)와 군사적 대립을 화친으로 해결함.
1032~1067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제11대 황제. 재위 1321~1323. 재위 중 한족(漢族)의 인재를 등용하고 세금을 감면하는 한편 법제를 정비하여 대원통제(大元通制) 등을 반포함.
1303~132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종(英宗)@명
중국 명(明) 나라의 제6대, 제8대 황제. 재위 1436~1449, 1457~1464. 선종(宣宗)의 장남. 인종(仁宗) 때의 정책을 계승하여 안정을 이루었지만 황태후 장씨(張氏)가 죽고 원로대신들이 실각하자 반대 세력에 의해 양위했다가 다시 복위함.
1427~1464 중국>명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종(寧宗)
중국 송(宋) 나라의 제13대 황제. 재위 1194~1224. 국정운영이 미숙하여 충분한 준비 없이 금(金) 나라를 공격했다가 패하여 금 나라와 백질지국(伯侄之國)이라는 굴욕적인 외교관계를 맺고 조공을 늘리는 수모를 당함.
1168~1224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영주산(瀛洲山)
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 삼신산(三神山) 중 하나이자, 오도(五島)의 하나.
고대 ,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영중곡(郢中曲)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악곡(樂曲). 양춘곡(陽春曲)ㆍ백설곡(白雪曲) 등 수준 높은 노래가 많아 일반적으로 격조 높은 노래를 뜻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기타>가무ㅣ사상>술어>관용어
-
영지(靈芝)
조선 전기의 승려. 소세양(蘇世讓)과 교유하여 《양곡집(陽谷集)》에 시권(詩卷)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영지산(靈芝山)
경상북도 안동(安東)에 있는 산 이름. 도산서원(陶山書院)을 둘러싸고 있는 산으로, 이 산의 지류로 도산(陶山)과 서취병산(西翠屛山)이 있음.
경상도>안동 , 지명>자연지명
-
영지정사(靈芝精舍)
경상도 안동(安東) 도산면(陶山面)의 영지산(靈芝山) 남쪽에 있던 정사(精舍). 조선 중종(中宗) 때 이현보(李賢輔)가 낙향하여 세운 것으로, 이황(李滉)과 교유하던 곳.
154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누정
-
영창(永昌)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제1대 원제(元帝)의 연호. 해당 연한 322~323.
322~323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영창대군(永昌大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열네 번째 아들. 인목왕후(仁穆王后)의 소생으로, 광해군(光海君)을 지지하던 이이첨(李爾瞻) 등의 대북파(大北派)의 무고로 강화(江華)로 유배되어 죽음을 당함.
1606~161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강화ㅣ서울 , 인명>왕실>왕자
-
영척(甯戚)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대부.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桓公)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영천(榮川)@경상도
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 동쪽으로 안동(安東), 서쪽으로 풍기(豐基)와 접해 있음. 현재는 영주시(榮州市)에 속함.
경상도>영천(榮川) , 지명>행정지명
-
영천(永川)@경상도
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 동쪽으로 경주(慶州), 서쪽으로 대구(大丘)와 접함. 진산(鎭山)으로 모자산(母子山)이 있고, 사찰로 운부사(雲浮寺) 등이 있음.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