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예종(睿宗)@원
중국 원(元) 나라의 추존 황제. 칭기즈칸의 넷째 아들. 칭기즈칸을 따라 동정서벌(東征西伐)에 참가하였고, 경양황제(景襄皇帝)로 추존됨.
?~1233 중국>원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종(睿宗)@조선
조선의 제8대 국왕. 재위 1468~1469. 세조(世祖)의 아들로, 재위 1년 2개월 만에 20세의 나이로 요절함. 직전수조법(職田收租法)을 제정하고,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을 완성함.
1450~1469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국왕
-
예종(睿宗)@당
중국 당(唐) 나라의 제5대 황제. 재위 684~690, 710~712. 고종(高宗)의 아들로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중종(中宗)을 폐위하고 등극시켰으나, 자신도 곧 폐위당하고 말자 아들인 현종(玄宗)이 측천무후와 중종의 세력을 소탕하고 복위시킴.
662~716 중국>당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예종실록(睿宗實錄)
조선 제8대 예종(睿宗)의 재위 동안을 기록한 편년체 실록(實錄). 신숙주(申叔舟)ㆍ한명회(韓明澮)ㆍ강희맹(姜希孟)ㆍ최항(崔恒) 등이 왕명을 받아 《세조실록(世祖實錄)》의 편찬이 끝난 직후 시작하여 이듬해 1472년(성종 3)에 완성함.
147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예천(醴泉)
경상북도 북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 농산물 집산지로 발달한 교통의 중심지이며, 예로부터 활의 생산지로 유명함. 고려 신종(神宗) 때 남도초토사(南道招討使) 최광의(崔光義)가 이곳에서 동경적(東京賊)을 크게 토벌함.
경상도>예천 , 지명>행정지명
-
예형(禰衡)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三國時代) 때의 문신. 공융(孔融)에게 비상한 재능을 인정받아 조조(曹操)에게 추천되었으나, 조조와 황조(黃祖)를 모욕하다 죽임을 당했음.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예희(芮姬)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경공(景公)의 총첩(寵妾). 왕위에 올랐다가 대부 전걸(田乞) 등에 의해 살해된 안유자(晏孺子)의 어머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후궁
-
오(吳)@춘추전국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나라 중 하나. 주(周) 문왕(文王)의 백부(伯父)인 태백(太伯)이 세웠다고 전해지며, B.C.473년에 월(越) 나라에 멸망함.
?~B.C.47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오(吳)@삼국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의 국명. 손권(孫權)이 유비(劉備)와 결탁하여 조조(曹操)의 대군을 적벽(赤壁)에서 대파한 뒤 세운 왕조로, 4대 52년간 존속.
222~28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시간>국명
-
오(吳)@오대십국
중국 오대십국의 하나. 902~937년간 존속함. 당(唐) 나라 말기에 회남절도사(淮南節度使)를 지낸 양행밀(楊行密)이 건국하였으나, 36년만에 왕족간의 제위 다툼 끝에 멸망함.
중국>오대십국 , 중국 , 시간>국명
-
오^분(烏^賁)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秦) 나라의 용사(勇士)인 오획(烏獲)과 제(齊) 나라의 역사(力士)인 맹분(孟賁)을 함께 부르는 말. 용맹으로 이름을 날렸던 두 사람을 일컬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오거(吳琚)
중국 송(宋)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서법가. 변량(汴梁) 사람으로 관직은 지강릉부(知江陵府)ㆍ판건강부(判建康府) 등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오건(吳健)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조식(曺植)ㆍ김인후(金麟厚)ㆍ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이조 좌랑으로 있으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여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521~157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산음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격(吳激)
중국 송(宋)~금(金) 나라의 문신ㆍ서화가. 건주(建州) 사람으로 문명이 높고 서화(書畵)에 능했음. 고려에 사신으로 와서 〈계림서사(鷄林書事)〉 등의 작품을 남김.
1090~1142 중국>금ㅣ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오결(吳潔)@조선후기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이(李珥)의 문인(門人)으로, 《사서변의(四書辨疑)》를 저술하였으며, 현릉 참봉(顯陵參奉)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결(吳潔)@조선전기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1536년(중종 31)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명 나라 사신의 영위사(迎慰使)가 되어 의주(義州)에 다녀왔으며,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역임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겸(吳謙)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로, 부사(府使)를 지낸 오세훈(吳世勳)의 아들. 유우(柳藕)의 문인으로 지춘추관사(知春秋館事)ㆍ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내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의 편찬에 참여함.
1496~158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경(五更)
중국 주(周) 나라 때 나라의 원로를 예우하던 관직 제도. 삼로(三老)와 함께 천자가 나이가 많고 덕 있는 원로를 부형(父兄)과 같이 예우함으로써 효제(孝悌)의 모범을 보였던 제도로, 오(五)는 오성(五星)을 상징함.
중국>주 , 중국 , 법제>관직
-
오경(五經)
유교의 중요한 다섯 가지 경서(經書). 일반적으로 《역경(易經)》ㆍ《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예기(禮記)》ㆍ《춘추(春秋)》를 가리키며, 공자(孔子)가 편찬 및 저술에 관계했다고 하여 특히 존중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