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경(吳儆)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문인. 형 오부(吳俯)와 함께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날려 '강동이오(江東二吳)'로 불렸으며, 안무도감(安撫都監) 등을 지냄.
1125~1183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경(吳慶)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낸 오예손(吳禮孫)의 아들이며 판서(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형으로, 오상과 함께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에게 수학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오경강의(五經講義)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오경대전(五經大全)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 때 황명을 받아 호광(胡廣)이 편찬한 주석서. 총 117권. 오경(五經)과 오경(五經)에 관한 주석의 비판을 주로 다룸.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오경박사(五經博士)
백제시대 경서(經書)에 능통한 사람에게 주었던 관직. 국가 교육기관에서 유학 교육을 담당했던 듯하며, 일본에 초빙되어 백제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을 함.
한국>백제 , 법제>관직
-
오경절해(五經節解)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손석(孫奭)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오경정의(五經正義)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 공영달(孔潁達)ㆍ안사고(顔師古) 등이 관찬(官撰)한 오경(五經)의 주석서(注釋書). 위(魏)ㆍ진(晉) 이래 분열되었던 학설ㆍ사상을 통일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관리등용시험 및 학자에게 있어 절대적인 권위를 가짐.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오경훈해(五經訓解)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동백우(童伯羽)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오계부(浯溪賦)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시인인 양만리(楊萬里)의 작품. 송대 문부(文賦)의 명작으로 일컬어짐.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오계서원(汚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영천(榮川)에 건립된 서원. 1667년(현종 8)에 사액되었으며, 이덕홍(李德弘) 등을 배향함.
166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천(榮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계유(吳季孺)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 문장가로 이름이 높았던 오세문(吳世文)의 증손. 좌리공신(輸忠保節佐理安社功臣)으로 삼중대광 도첨의찬성사(三重大匡都僉議贊成事)를 지내고, 모양군(牟陽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곡(烏谷)
경상도 진주(晉州) 진성(晉城)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진주 , 지명>자연지명
-
오공(悟公)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원천석(元天錫)ㆍ성석린(成石璘) 등과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과 《독곡집(獨谷集)》에 서권(書卷)ㆍ송시(送詩)ㆍ차운시(次韻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파주 , 인명>종교인>승려
-
오관산(五冠山)
경기도 장단(長湍) 서쪽에 있는 산. 산꼭대기에 다섯 개의 작은 봉우리가 관(冠)처럼 둥그렇게 생겼으므로 오관산이라 부름. 이 산에 살던 효자 문충(文忠)의 이야기와 관련해 〈오관산곡(五冠山曲)〉이 전함.
경기도>장단 , 지명>자연지명
-
오관서원(五冠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개성(開城)에 건립된 서원. 1685년(숙종 10)에 사액되었으며, 박상충(朴尙衷)ㆍ박세채(朴世采) 등을 배향함.
168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광운(吳光運)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돈녕부 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오상순(吳尙純)의 아들로, 영조의 탕평책(蕩平策) 하에서 정치적 지도자로서 활약하며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689~174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국륜(吳國倫)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귀주 제학(貴州提學)ㆍ하남 참정(河南參政) 등을 지냈으며, 왕세정(王世貞)ㆍ이반룡(李攀龍) 등과 시사(詩社)를 결성하고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제창하여 후칠자(後七子)로 불림.
1524~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오긍(吳兢)
중국 당(唐)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현종(玄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관(史官)을 지냈고, 《정관정요(貞觀政要)》 등을 편찬함.
670~749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기(吳起)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魏) 나라의 병법가. 증자(曾子)에게 배우고 노군(魯君)을 섬김. 제(齊) 나라가 노 나라를 침공하였을 때 제 나라 출신 아내를 죽여 충성을 나타낸 뒤, 노 나라 장군으로서 제 나라를 격파함. 병법에 밝아 《오자(吳子)》를 저술함.
B.C.440~B.C.38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오내(吳萊)
중국 원(元) 나라의 시인. 지방관의 추천을 받아 춘시(春試)에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하고‚ 이후 심뇨산(深裊山)에 은거하며 독서와 저술에 전념함. 저서로는 제자인 송렴(宋濂)이 펴낸 《연영오선생집(淵潁吳先生集)》과 《맹자제자열전(孟子弟子列傳)》등이 있음.
1297~1340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