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달제(吳達濟)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삼학사(三學士) 중의 한 사람으로, 병자호란 때 청(淸) 나라와의 화의(和議)를 반대하다가 윤집(尹集)ㆍ홍익한(洪翼漢) 등과 함께 중국 심양(瀋陽)에 끌려가 처형당함.
1609~163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오대사(五臺寺)
고려 인종(仁宗) 때 진억선사(津億禪師)가 지리산(智異山)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 무량수불(無量壽佛)를 모심.
1129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사찰
-
오대산(五臺山)
강원도 강릉(江陵)ㆍ평창(平昌)ㆍ홍천(洪川)에 걸쳐 있는 산. 다섯 봉우리가 둥글게 벌려 섰고, 크고 작은 봉우리가 고루 있어 명칭이 생김.
강원도>홍천ㅣ강원도>평창ㅣ강원도>강릉 , 지명>자연지명
-
오도일(吳道一)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학자ㆍ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1673년(현종 14) 춘당대시(春塘臺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청풍 부사(淸風府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서파집(西坡集)》이 있음.
1645~170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도현(吳道玄)
중국 당(唐) 나라의 화가. 불화(佛畫)와 산수화(山水畵)에 뛰어나 화성(畫聖)이라 불림. 소화(疎畵)의 체인 서화일치의 화체를 확립하고, 준법(皴法) 등을 사용하여 동양 회화에 영향을 끼침.
700~760 중국>당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오두(五蠹)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학자인 한비(韓非)가 쓴 《한비자(韓非子)》의 편명. 현재는 옛날과 상황이 다르므로 법(法)ㆍ세(勢)ㆍ술(術)에 의하지 않고는 왕권통치를 유지할 수 없다고 주장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편명
-
오두선생전(五斗先生傳)
중국 당(唐) 나라 왕적(王績)이 지은 글. 술을 좋아하여 하루에 오두(五斗)의 술을 마시는 주인공을 등장시켜, 취향(醉鄕)을 가상하여 지은 것.
중국>당 , 중국 , 문헌>작품명
-
오두인(吳斗寅)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현종(顯宗)의 부마(駙馬)인 오태주(吳泰周)의 아버지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유배되었으나 후에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됨.
1624~168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릉(五陵)
경상북도 경주(慶州)에 있는 신라의 고분(古墳). 박혁거세(朴赫居世)ㆍ알영부인(閼英夫人)ㆍ남해왕(南解王)ㆍ유리왕(儒理王)ㆍ파사왕(婆娑王) 등 5명의 분묘라 전해지며, 박혁거세 사후에 큰 뱀의 방해로 인해 다섯 개로 분리된 유체(遺體)를 그대로 각각 매장한 분묘라는 설도 있음.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유적>시설>능묘
-
오림정(五林亭)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 전라도 순천(順天)에 세운 정자.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한 신윤보(申潤輔)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은거하여 지음.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누정
-
오마도(五馬圖)
중국 송(宋) 나라의 화가인 이공린(李公麟)의 말 그림. 변방에서 황제에게 바칠 말을 준비하는 모습을 백묘법(白描法)으로 그림.
중국>송 , 중국 , 문헌>작품명
-
오매경(吳梅卿)
중국 송(宋) 나라 때의 문신. 중국 태주(台州) 선거(仙居) 사람으로 충주 문학(忠州文學)을 역임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오명립(吳名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1610년(광해군 2)에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였으나 광해군의 폐모론이 일자 낙향하여 지선정(止善亭)을 짓고 후학을 양성함.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오반(吳潘)
고려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평장사(平章事) 오연총(吳延寵)의 아들로, 문하좌찬성사(門下左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백령(吳百齡)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사옹원 직장(司饔院直長)을 지낸 오세현(吳世賢)의 아들로, 광해군(光海君) 때 폐모론을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형조 참판(刑曹參判) 등을 지냄.
1560~163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오변(吳忭)
조선 선조(宣祖) 때의 어의(御醫). 선조의 명을 받고 고봉(高峯) 기대승(奇大升)의 진료를 위해 가던 중 고봉이 별세하여 임무를 완수하지 못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의원
-
오봉서원(五峯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강원도 강릉(江陵)에 건립한 서원. 삼척 부사(三陟府使) 함헌(咸軒)과 지방 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공자(孔子)의 화상(畫像)과 주자(朱子)ㆍ송시열(宋時烈) 등을 배향함.
1556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오봉유고(鰲峰遺稿)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김제민(金齊閔)의 문집. 3권 3책. 목판본. 증손 김도기(金道器)가 편집하고, 외고손(外高孫)인 제주 목사(濟州牧使) 이익태(李益泰)가 간행함. 《명재유고(明齋遺稿)》에 윤증(尹拯)의 서문이 전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제주 , 문헌>서명
-
오봉집(五峯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호민(李好閔)의 문집. 15권 8책. 목활자본. 아들 이경엄(李景嚴)이 정리하고, 이식(李植)이 교정하여 발문을 씀. 저자의 조카인 홍주 목사(洪州牧使) 이경의(李景義)가 1636년(인조 14)에 간행함.
163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홍주 , 문헌>서명
-
오빈(吳玭)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고경명(高敬命) 휘하에서 의병활동을 함. 진주성(晉州城)에서 싸우던 도중 성이 함락되려 하자 남강(南江)에 투신하여 자결함.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증직됨.
1547~159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