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시천집(詩川集)
조선 숙종(肅宗) 때의 유학인 이후원(李厚遠)의 시집. 이덕수(李德壽)의 《서당사재(西堂私載)》에 서문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시평보유(詩評補遺)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의 시화(詩話)를 수록한 시론집. 《소화시평(小華詩評)》의 속편으로, 우리나라 말로 된 가곡이나 속요ㆍ속담까지도 그 가치를 인정하려는 혁신적 문학관을 담고 있음.
1938 한국>근대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시화총림(詩話叢林)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홍만종(洪萬宗)의 시화집(詩話集). 4권 4책. 필사본.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문인들의 시ㆍ소설ㆍ수필 등을 《역옹패설(櫟翁稗說)》ㆍ《지봉유설(芝峰類說)》등에서 뽑아 수록함.
171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시황(始皇)
중국 진(秦) 나라의 황제. 재위 B.C.246~B.C.210.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始皇帝)라 칭함.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 분서갱유(焚書坑儒) 등으로 위세를 떨침.
B.C.259~B.C.210 중국>진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식료찬요(食療撰要)
조선 세조(世祖) 때 어의(御醫) 전순의(全循義)가 편찬한 우리나라 최초의 식이요법서(食餌療法書). 손순효(孫舜孝)가 경상 감사(慶尙監司)로 있을 때 성종(成宗)의 명을 받아 상주(尙州)에서 간행함.
148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식료찬요(食療纂要)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성세창(成世昌)의 저서.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식부궁(息夫躬)
중국 전한(前漢) 애제(哀帝) 때의 문신. 제후 유운(劉雲)을 무고(誣告)하여 자살하게 만들고, 애제에게 거짓 진언을 하다가 왕가(王嘉)에 의해 저지 당함. 광록대부(光祿大夫)를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식암유고(息庵遺稿)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인 김석주(金錫胄)의 시문집. 25권 14책. 활자본. 초간본은 아들 김도연(金道淵)이 편차하여 간행하고, 중간본은 저자의 문인인 홍숙(洪璛)이 1697년(숙종 23)에 전라도 영광(靈光)에서 간행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식암집(息庵集)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황섬(黃暹)의 시문집. 5권 3책. 목판본. 신경준(申景濬)이 1769년(영조 45)에 간행함.
176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식영(息影)
고려 후기의 승려. 선원사(禪源寺)에서 보각국사(普覺國師) 혼수(混脩)에게 능엄경(楞嚴經)을 가르침. 시문(詩文)에 조예가 깊고, 사대부들과 교류가 많았음.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인천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문인
-
식영정(息影亭)
조선 명종(明宗) 때 전라도 창평(昌平)에 건립한 정자. 김성원(金成遠)이 장인 임억령(林億齡)을 위해 건립함. 송강(松江) 정철(鄭澈)이 이곳을 무대로 종유하며 《성산별곡(星山別曲)》 등의 수많은 작품을 남김. 현재 담양(潭陽)에 속함.
156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창평 , 유적>건물>누정
-
식우집(拭疣集)
조선 세종(世宗)~성종(成宗) 때의 학자ㆍ문신인 김수온(金守溫)의 시문집. 초간본은 성종(成宗)의 명으로 교서관에서 간행하였으나 화재로 거의 소실되고, 1673년(현종 14)에 14대손 김우준(金禹濬)이 시문을 모아 엮은 필사본을 1961년에 종손 김낙중(金洛中)이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식후(息侯)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식(息) 나라의 제후. 초(楚) 나라 문왕(文王)에게 절세미인인 부인을 빼앗기고 죽임을 당함.
?~B.C.681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신(莘)
중국 고대의 나라 이름. 이윤(伊尹)이 유신(有莘)의 들에서 밭을 갈다 은(殷) 나라 탕왕(湯王)의 부름을 받고 재상(宰相)이 됨.
중국>은 , 중국 , 시간>국명
-
신^곽(申^郭)
중국 후한(後漢)의 학자인 신도반(申屠蟠)과 곽태(郭泰)를 함께 부르는 말. 신도반은 동탁(董卓)의 초빙을 물리치고 절조를 지켰으며 곽태는 학문과 인격으로 사람의 존경을 받았으므로, 난세에 큰 스승을 가리킴.
중국>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상(申^商)
중국 춘추전국시대 위(衛) 나라의 공손앙(公孫鞅)과 한(韓) 나라의 신불해(申不害)를 함께 부르는 말.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들이며, 전국시대(戰國時代)를 뜻하는 말로도 쓰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포(信^布)
중국 전한(前漢) 때 고조(高祖)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통일한 한신(韓信)과, 진(秦) 말~한(漢) 초에 항우(項羽)의 휘하에 있다가 유방에게 귀부하였으나 후에 모반한 경포(黥布)를 함께 부르는 말. 용맹한 자를 가리킴.
중국>전한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한(申^韓)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의 법가(法家) 사상가인 신불해(申不害)와 한비(韓非)를 함께 부르는 말. 형법학(刑法學)의 창시자를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신각(申恪)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조선 명종(明宗) 때 문신 신의충이며, 할아버지는 교감(校勘)을 지낸 신억수(申億壽). 부인은 효령대군의 4대손으로 풍덕군수를 지낸 이광윤(李光胤)의 딸 전주 이씨.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양주 해유령(楊州蟹踰嶺)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도 김명원(金命元)의 잘못된 장계(狀啓)로 처형당함.
?~159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강(申剛)
조선 전기의 문인.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하여 서호(西湖)에서 수작한 일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