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개(申槩)
조선 태조(太祖)~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1417년(태종 17)에 집현전 제학(集賢殿提學)이 되고, 1436년(세종 18)에 《고려사(高麗史)》수찬에 참여함. 1439년(세종 21) 우의정에 올라 야인의 침입을 막기 위한 장성 축조를 건의함.
1374~1446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관인>문신
-
신개(申漑)
조선 전기의 유학.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의 문인(門人). 성호문(成好問) 등과 함께 김안국(金安國)에게서 자(字)를 받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거(申據)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평산(平山).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신여종(申汝悰)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신거(辛裾)
고려 말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아버지로, 문하 찬성사(門下贊成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신거관(愼居寬)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의하여 관직이 삭탈되고 평해(平海)로 유배되었으나, 1555년(명종 10) 재등용되어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름.
1498~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거이(愼居易)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형조 정랑(刑曹正郞), 내섬시 정(內贍寺正)을 지냄.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신거관(愼居寬)의 사촌 형.
1482~155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건(申健)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낸 신우호(申友顥)의 아들로, 한백겸(韓百謙)의 외조부. 예빈시 정(禮賓寺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건(辛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문신인 신숙(辛肅)의 아들로, 정언(正言)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검(神劒)
후백제(後百濟)의 제2대 왕. 재위 935~936. 견훤(甄萱)의 장남. 견훤이 넷째 아들 금강(金剛)에게 왕위를 물려주려고 하자, 두 동생 양검(良劍)ㆍ용검(龍劍) 등과 공모하여 견훤을 금산사(金山寺)에 유폐시키는 한편, 금강을 죽이고 스스로 왕이라 칭함.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왕실>국왕
-
신견(信堅)
조선 전기의 승려. 해남(海南) 두륜산(頭輪山)에 있는 두륜사(頭輪寺) 승려로, 김인후(金麟厚)ㆍ백광훈(白光勳)ㆍ박순(朴淳) 등과 시(詩)로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종교인>승려
-
신경(辛鏡)
고려 인종(仁宗) 때의 문신. 북송(北宋)에서 건너 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으로, 영산(靈山)에 정착하여 영산신씨(靈山辛氏)의 시조가 됨. 금자광록대부(金紫光錄大夫)ㆍ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등을 지냄.
1107~? 한국>고려전기 , 중국ㅣ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신경립(辛敬立)
조선 선조(宣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 진사(進士) 신내옥(辛乃沃)의 아들로, 유운룡(柳雲龍)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안동(安東)에서 의병을 일으킴.
155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신경원(申景瑗)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영의정(領議政) 신경진(申景禛)의 종제(從弟). 이괄(李适)의 난 때 반군을 무찔러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 평녕군(平寧君)에 봉해짐.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사도 부원수(四道副元帥)가 되어 항거했음.
1581~1641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경유(申景裕)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평군(東平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등을 역임했지만 방자한 행동과 탐욕 등으로 탄핵을 받음.
1581~163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경윤(申景潤)
조선 전기의 유학. 윤근수(尹根壽)가 차운한 〈차태헌운봉증온진정주인(次苔軒韻奉贈薀眞亭主人)〉이라는 시(詩)가 《월정집(月汀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신경인(申景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신립(申砬)의 아들. 인조반정(仁祖反正) 뒤 정사공신(靖社功臣)으로 동성군(東城君)에 봉해짐. 호위대장(扈衛大將) 겸 포도대장(捕盜大將)을 거쳐 어영대장(御營大將)에 특차되어 중앙의 군사권을 장악함.
1590~1643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경진(申景禛)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신립(申砬)의 아들이며 김장생(金長生)의 문인. 인조반정(仁祖反正)에 가담하여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책록되고 평성군(平城君)에 봉해짐.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수비하고, 영의정(領議政)에 오름.
1575~164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경진(辛慶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부제학(副提學)을 지낸 신응시(辛應時)의 아들. 이이(李珥)의 문인으로, 문무(文武)의 재능을 겸비하여 명성이 높았고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대사헌(大司憲)을 지냄.
1554~161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경희(申景禧)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평산부원군(平山府院君) 신잡(申磼)의 아들. 음보(蔭補)로 임관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권율(權慄)의 휘하에 종군함. 반역을 모의했다는 대북(大北)의 무고로 장살(杖殺)됨.
?~1615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계성(申季誠)
조선 연산군(燕山君)~명종(明宗) 때의 학자. 성리학(性理學)에 뜻을 두고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박영(朴英)에게 수학(受學)하고, 김대유(金大有)ㆍ조식(曺植) 등과 종유(從遊)하여 삼고(三高)라 불림.
1499~156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밀양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