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계원(愼繼源)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1488년(성종 19) 진주(晉州) 촉석루(矗石樓)에서 조위(曺偉)ㆍ김일손(金馹孫) 등과 금란계(金蘭契)를 맺음. 창녕 현감(昌寧縣監)ㆍ장흥 부사(長興府使)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계형(申季衡)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유희춘(柳希春)과 함께 1537년(중종 3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연은전 참봉(延恩殿參奉)이 되었고, 추천으로 진안 현감(鎭安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안 , 인명>관인>문신
-
신공(申公)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대부. 원왕(元王)이 목생(穆生)ㆍ백생(白生)과 함께 대부로 삼아 예우하였으나, 훗날 백생과 함께 죄에 연루되어 붉은 죄수복을 입고 저자에서 절구질을 하게 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신공(申恭)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무신. 1480년(성종 11) 과거에 급제하고,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올라 훈련원 도정(訓鍊院都正)ㆍ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냄.
1451~151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공제(申公濟)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이조 판서(吏曹判書)ㆍ좌참찬(左參贊)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내고, 초서(草書)와 예서(隸書)를 잘 씀.
1469~153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신광섭(申光涉)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옥계(玉溪) 노진(盧禛)의 문인인 신명수(申蓂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공주 , 인명>관인>문신
-
신광수(申光洙)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ㆍ시인. 본관은 고령(高靈). 1746년(영조 22)에 관산융마(關山戎馬)란 시(詩)로 급제했는데, 이 시는 당시 과시(科詩)의 모범이 됨. 1774년(영조 50)에 관서지방의 풍속ㆍ고적ㆍ고사 등을 소재로 한 관서악부(關西樂府)를 지었으며, 《석북집(石北集)》을 남김.
1712~177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신광한(申光漢)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이 되고, 우찬성(右贊成)으로 양관(兩館) 대제학을 겸했으며, 좌찬성(左贊成)을 지냄.
1484~155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여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국균(辛國鈞)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문천 군수(文川郡守) 신학(辛鶴)의 아들로, 덕원 교수(德源敎授)를 지냄.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있음.
1479~154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국형(申國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급제하여 부사(府使)를 지냄. 《장음정유고(長吟亭遺稿)》에 나식(羅湜)의 송별시(送別詩)가 있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귀수(辛龜壽)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풍저창 수(豊儲倉守) 신우정(辛禹鼎)의 아들로, 철산 군수(鐵山郡守)ㆍ군자감 첨정(軍資監僉正)을 지냄. 모재(慕齋) 김안국(金安國)이 지은 묘갈명(墓碣名)이 있음.
1484~153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극례(辛克禮)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제1차 왕자의 난 때 상장군으로 공을 세워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되고 취산군(鷲山君)에 봉해짐.
?~140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극성(愼克成)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의 비(妃) 신씨(愼氏)의 일족. 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역임했으나 가렴주구를 일삼아, 의성 현령(義城縣令) 이장길(李長吉), 선산 부사(善山府使) 남경(南憬)과 함께 삼맹호(三猛虎)로 일컬어짐.
1458~153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거창 , 인명>관인>문신
-
신급(申礏)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평주부원군(平洲府院君)에 추증된 신화국(申華國)의 아들이며 신립(申砬)의 형. 추천으로 선공감역(繕工監役)에 제수되었지만 나가지 않음.
1543~1592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기질(辛棄疾)
중국 송(宋) 나라의 시인ㆍ무신. 사(詞)에 뛰어나 남송(南宋) 최고의 시인(詩人)으로 평가받음. 북송(北宋)의 유영(柳永)ㆍ주방언(周邦彦), 남송의 강기(姜夔)와 아울러 사대사인(四大詞人)으로 일컬어짐.
1140~1207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무신
-
신내옥(辛乃沃)
조선 명종(明宗)~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본관은 영월(寧越)로,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을 지낸 신중곤(辛仲坤)의 아들.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출사(出仕)하지 않고 도학(道學)에 전념함. 유운룡(柳雲龍)ㆍ김성일(金誠一)ㆍ권호문(權好文) 등과 교유함.
1525~161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ㅣ강원도>영월 , 인명>문사>유학
-
신녕(新寧)
경상도 영천(永川)에 있던 옛 고을 이름. 신라 초기에는 화산현(花山縣)이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신녕현(新寧縣)으로 고쳤다가 1914년 영천에 병합됨.
경상도>영천(永川) , 지명>행정지명
-
신농(神農)
중국 고대 전설상의 제왕(帝王) 또는 신(神). 백성에게 농경을 가르쳤으며, 백초(百草)를 맛보고 약초를 찾아내 병을 치료하였다고 함.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신단(辛湍)
조선 전기의 유학. 《백담집(栢潭集)》에 구봉령(具鳳齡)이 지은 〈신원우신문경(新院遇辛聞慶)〉이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문경 , 인명>문사>유학
-
신달정(辛達廷)
조선 중종(中宗) 때의 효자. 본관은 영월(寧越). 고려 후기 전법 판서(典法判書)를 지낸 신당계(辛唐系)의 6세손. 효행(孝行)으로 예천(醴泉) 옥동사(玉洞祠)에 향사(享祀)됨.
1483~152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기타인명>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