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변(申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좌랑(兵曹佐郞)이 되었을 때 기묘사화(己卯士禍)로 파직되고, 동생 신철(申哲)이 신사무옥(辛巳誣獄)에 연루되었을 때 누명을 쓰고 처형당함.
1470~152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지평 , 인명>관인>문신
-
신복담(辛福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첨정(僉正)을 지낸 신희정(辛熙貞)의 아버지로, 연기 현감(燕岐縣監)을 지냄.
?~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복순(申復淳)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 신숙주(申叔舟)의 손자이며, 고양부원군(高陽府院君) 신준(申浚)의 아들. 중종반정(中宗反正) 이후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봉되어 2품직에 오름.
1464~154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복의(辛服義)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낸 신상은(辛尙殷)의 아들. 1508년(중종 3) 역모사건에 연루되어 처형됨.
?~150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봉전(申奉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황해도 도사(黃海道都事)를 지낸 신직(申直)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부(申溥)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아들. 영산(靈山)과 고령(高靈)의 현감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분(申濆)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전의감 부정(典醫監副正)을 지냈으며, 전서(篆書)를 잘 썼음.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부평 , 인명>관인>문신
-
신분(申賁)
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천 군수(永川郡守)를 지낸 신명지(申命之)와 의흥 현감(義興縣監)을 지낸 신응지(申應之)의 아버지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불해(申不害)
중국 춘추전국시대 한(韓) 나라 소후(昭侯) 때의 학자ㆍ재상. 황제(黃帝)와 노자(老子)에 기본하여 형명(刑名)을 주로 연구하였는데, 법가(法家)의 조종(祖宗)이 됨.
?~B.C.337?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경대부
-
신비(愼妃)
고려 제31대 공민왕(恭愍王)의 비(妃). 충목왕(忠穆王) 때의 재상인 곡성부원군(曲城府院君) 염제신(廉悌臣)의 딸로, 공민왕이 살해된 뒤 중이 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비
-
신비(辛毗)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건의관(建議官). 문제(文帝) 때에 시중(侍中)이 되었으며 직간(直諫)을 좋아했음. 견거절함(牽裾折檻)의 고사로 유명함.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신빈(申濱)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의주 판관(義州判官)을 지냄. 진하사(進賀使)로 중국에 가는 소세양(蘇世讓)을 배웅할 때 받은 시가 《양곡집(陽谷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의주 , 인명>관인>문신
-
신빈김씨(愼嬪金氏)
조선 제4대 세종(世宗)의 후궁. 계양군(桂陽君)을 비롯해서 6남을 둠.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신사무옥(辛巳誣獄)
조선 중종(中宗) 때 일어난 안처겸(安處謙) 일당의 옥사(獄事) 사건. 안당(安瑭)의 아들 안처겸(安處謙)이 기묘사화(己卯士禍)로 득세한 심정(沈貞)ㆍ남곤(南袞) 등을 제거(除去)할 것을 모의하자 이를 고변한 송사련(宋祀蓮)은 득세하고, 안처겸 일파는 처형됨.
1521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신사원(愼思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양근 군수(楊根郡守)를 지낸 신홍조(愼弘祚)의 아들로, 조지서 별좌(造紙署別坐)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사임당(申師任堂)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서화가(書畵家)ㆍ문인. 본관은 평산(平山). 이이(李珥)의 어머니로, 시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남.
1504~1551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강릉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문사>문인
-
신사헌(愼思獻)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1558년(명종 1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서 뇌물을 바쳐 급제한 사실이 있으나 권신인 이량(李樑)을 섬겨 다음해에 복과(復科)됨. 후에 육간(六奸)으로 지목되어 거제에 유배됨.
152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사형(辛士衡)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37년(중종 3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초계 군수(草溪郡守)ㆍ상주 목사(尙州牧使) 등을 지냈으며, 문장에 뛰어났음.
1506~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양산 , 인명>관인>문신
-
신산(信山)
고려 후기의 승려.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와 교유하여 《운곡행록(耘谷行錄)》에 그와 관련된 시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산서원(新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김해(金海) 건립된 서원. 조식(曺植)이 제자들과 강학하던 산해정(山海亭) 터에 건립되어,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됨. 조식(曺植)ㆍ신계성(申季誠)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김해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