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삼제(申三悌)
조선 전기의 학자.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김언기(金彦璣)의 제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학자
-
신상(申鏛)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함. 사림파 학자들의 등용에 힘썼으며, 기묘사화(己卯士禍)가 일어나자 그들의 구명에 노력하였음.
1480~153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상은(辛尙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이지(履之) 신복의(辛服義)의 아버지로, 수원 부사(水原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상절(辛尙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으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의 문인. 훈융 첨사(訓戎僉使)ㆍ갑산 부사(甲山府使)ㆍ군기시 부정(軍器寺副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무신
-
신생(申生)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 헌공(獻公)의 태자. 헌공이 여희(驪姬)를 총애하여 그의 아들 해제(奚齊)를 세우고자 신생을 곡옥(曲沃)에 나가 살게 하였는데, 여희의 참소로 자살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신서(新序)
중국 전한(前漢) 말기의 학자 유향(劉向)이 편집한 고사집. 총 10편의 176개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음.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신서(新書)
중국 전한(前漢) 문제(文帝) 때의 문인 가의(賈誼)의 저서. 한(漢) 나라의 폐단을 지적한 정치이론서로, 고사(古事)와 우언(寓言)을 소재로 정치 사상을 펼침.
중국>전한 , 중국 , 문헌>서명
-
신서(申瑞)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그가 문경(聞慶)에 부임할 때 신응시(辛應時)가 지은 이별의 시가 《백록유고(白麓遺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문신
-
신서(神瑞)
중국 남북조시대 북위(北魏)의 제2대 명원제(明元帝)가 414년부터 415까지 쓰던 연호.
414~41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시간>연호
-
신석간(申石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신숙주(申叔舟)의 현손(玄孫)으로, 부사(府使)를 지낸 신연(申淵)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석정(申碩汀)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음보(蔭補)로 전설사 별제(典設司別提)에 제수되었고, 영원(寧遠)과 평해(平海)의 군수(郡守)를 지냄.
1506~158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석조(辛碩祖)
조선 세종(世宗)~세조(世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426년(세종 8)에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개성 유수(開城留守) 등을 지냄. 저서로 《연빙당집(淵氷堂集)》이 있음.
1407~145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선전(神仙傳)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갈홍(葛洪)이 지은 책. 여러 신선의 이야기가 수록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신섬(申暹)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용궁 현감(龍宮縣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관인>문신
-
신성군(信城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네 번째 서자. 인빈김씨(仁嬪金氏)의 소생으로, 선조의 사랑을 독차지하여 한때 세자 책봉이 거론되기도 했으나 좌절됨.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피란 도중 의주(義州)에서 병사함.
1578~1592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신성하(申聖夏)
조선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세종(世宗) 때 좌의정(左議政)을 지낸 문희공(文僖公) 신개(申槩)의 10대손으로, 문장이 뛰어남.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세달(申世達)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곡성(谷城). 곡성신씨(谷城申氏)의 시조(始祖). 현감(縣監)을 지낸 신대수(申大壽)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곡성 , 인명>문사>유학
-
신세련(辛世璉)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노모의 봉양을 위해 면천 군수(沔川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세호(辛世瑚)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1502년(연산군 8) 알성시(謁聖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온양 군수(溫陽郡守)ㆍ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수(神秀)
중국 당(唐) 나라의 승려. 북종선(北宗禪)의 조사(祖師). 동산사(東山寺)의 오조(五祖) 홍인(弘忍) 선사(禪師)에게 수학하고, 무후(武后)ㆍ중종(中宗)ㆍ예종(睿宗) 3대에 걸쳐 국사(國師)를 지냄. 낙양(洛陽)의 천공사(天空寺)에서 입적함.
605~706 중국>당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