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영원(申永源)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고령(高靈). 임진왜란 때 전주 부윤(全州府尹)을 지낸 신담(申湛)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문사>유학
-
신영철(申永澈)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파주 목사(坡州牧使) 등을 역임함.
1471~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관인>문신
-
신영홍(申永洪)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申叔舟)의 손자로, 추성정난공신(推誠定難功臣)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사(僉知事) 등을 역임함.
146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영희(辛永禧)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본관은 영산(靈山).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직산(稷山)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
1442~1511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ㅣ서울 , 인명>문사>학자
-
신예(辛裔)
고려 충혜왕(忠惠王)~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원(元) 나라 환관 고용보(高龍普)와 함께 충혜왕을 잡아가도록 도와주었고, 고용보의 위세를 빌어 정권을 농락함.
?~1355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신옥(申沃)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곡성 현감(谷城縣監)을 역임하였으며, 이황(李滉)과 학문을 논하는 편지를 주고받음.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옥형(申玉衡)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병조 참의(兵曹參議) 신공(申恭)의 아들로, 청주 판관(淸州判官)ㆍ전라우도 수사(全羅右道水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무신
-
신완(申琓)
조선 현종(顯宗)~숙종(肅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박세채(朴世采)의 문인으로 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냄. 세자였던 경종(景宗)을 시해하려 했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음.
1646~170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용개(申用漑)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명(明) 나라에 가서 고명(誥命)을 받아온 공으로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됨.
1463~151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용희(申用羲)
고려 후기의 학자. 본관은 영해(寧海). 문정공(文貞公) 신현(申賢)의 아들로,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의 스승.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해 , 인명>문사>학자
-
신우(信牛)
조선 전기의 승려. 황준량(黃俊良)의 《금계집(錦溪集)》에 〈차증신우사(次贈信牛師)〉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우정(辛禹鼎)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낸 신균(辛均)의 아들로, 풍저창 수(豐儲倉守)를 지냄. 세종(世宗)의 아들 의창군(義昌君) 이강(李玒)의 딸과 혼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우호(申友顥)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를 지낸 신윤종(申允宗)의 아들로, 돈녕부 봉사(敦寧府奉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원(信圓)
조선 태종(太宗) 때의 승려. 혜근(惠勤)의 법손(法孫)이며 자초(自超)의 문도로, 혜근의 발자취를 따라 중국 강남(江南)을 유력(遊歷)했다 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신원록(申元祿)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효자ㆍ학자. 본관은 아주(鵝州)로, 조식(曺植)ㆍ주세붕(周世鵬)ㆍ이황(李滉)의 문하에서 수학함. 8년간 팔공산(八公山)에 올라가 약초를 캐면서 병든 아버지를 보살핌.
1516~15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의성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신유(愼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 의정부 우참찬(議政府右參贊)을 지낸 신희복(愼希復)의 아들로, 세자익위사 위수(世子翊衛司衛率)ㆍ통례원 상례(通禮院相禮)ㆍ한성부 서윤(漢城府庶尹) 등을 지냄.
1527~?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유(申愈)
조선 숙종(肅宗)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 송시열(宋時烈)ㆍ권상하(權尙夏)의 문인으로, 문장이 뛰어났음.
1673~1706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진잠ㅣ충청도>예산 , 인명>문사>학자
-
신유(申瀏)
조선 인조(仁祖)~숙종(肅宗) 때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장현광(張顯光)의 문인. 효종(孝宗) 때 나선정벌(羅禪征伐)에 참여해 전공(戰功)을 세우고, 포도대장(捕盜大將)을 지냄.
1619~1680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관인>무신
-
신유정(辛有定)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무신. 본관은 영산(靈山). 1386년(우왕 12) 남해에서 왜구를 격퇴시키고, 이성계(李成桂)의 휘하에서 무공을 세움. 조선 건국 후 원종공신(原從功臣)이 되었으며,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安撫使) 등을 지냄.
1347~1426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신윤문(辛允文)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관찰사(觀察使) 신영손(辛永孫)의 손자로 용강 현령(龍岡縣令) 등을 역임하였으며, 중종반정(中宗反正)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에 책록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