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신윤보(申潤輔)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해주 목사(海州牧使) 등을 역임하다가, 무오사화(戊午士禍)가 일어나자 순천(順天)에 오림정(五林亭)을 짓고 은거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인명>관인>문신
-
신윤원(申允元)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성종 때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되고, 군자감 정(軍資監正) 등을 지냄.
1431~149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신윤조(辛潤祖)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병조 판서(兵曹判書)를 지낸 신인손(辛引孫)의 아들로, 제용감 첨정(濟用監僉正)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
-
신윤종(申允宗)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상주 목사(尙州牧使)ㆍ돈녕부 정(敦寧府正) 등을 지냈으며, 영천(永川)에 있는 명원루(明遠樓)를 개축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응개(申應凱)
조선 전기의 문신. 약포(藥圃) 정탁(鄭琢)과 교유하였으며,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오름.
한국>조선후기 , 인명>관인>문신
-
신응구(申應榘)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동지중추부사 신벌(申橃)의 아들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함. 인조반정 후 승정원 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등을 지냄.
1553~162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남포ㅣ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응순(辛應純)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학자. 본관은 영월(寧越). 정묘호란(丁卯胡亂) 때 의병을 모집하는 역할을 맡기도 하였으나 벼슬하지 않고 후진양성에 힘썼으며, 《예설(禮說)》 2권을 저술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문사>학자
-
신응시(辛應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영월(寧越). 백인걸(白仁傑)의 문인으로 성혼(成渾)ㆍ이이(李珥)와 교유하고, 주자학(朱子學)에 조예가 깊음.
1532~1585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영월 , 인명>관인>문신
-
신응지(申應之)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를 지낸 신분(申賁)의 아들로, 의흥 현감(義興縣監) 등을 역임하였음.
1420~1482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응하(申應河)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을 지냈음. 고경명(高敬命)과 교유하여, 《제봉집(霽峯集)》에 그를 송별하며 쓴 〈송신경문환경(送申景文還京)〉이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응회(辛應會)
조선 전기의 문인. 백담(栢潭) 구봉령(具鳳齡)이 그와 관련하여 지은 시가 《백담집(栢潭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문인
-
신의(申檥)
조선 중종(中宗)의 부마. 본관은 고령(高靈).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申秀涇)의 아들로, 문정왕후(文定王后)의 소생인 경현공주(敬顯公主)와 결혼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고령 , 인명>왕실>인척
-
신의경(申義慶)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학자. 본관은 평산(平山)으로, 1620년(광해군 12) 사마시(司馬試)에 입격함. 사계(沙溪) 김장생(金長生)과 함께 예학(禮學)을 강론하고 상례(喪禮)를 깊이 연구하여 《상례비요(喪禮備要)》 1책을 지음.
155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학자
-
신의상법요(新儀象法要)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학자인 소송(蘇頌)이 지은 천문학(天文學) 관련 문헌. 3권. 1092년에 저자가 직접 제작한 천문기기인 수운의상대(水運儀象臺)의 설계 방법을 설명함.
1172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신의왕후(神懿王后)
조선 태조(太祖)의 정비(正妃). 본관은 안변(安邊).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한경(韓卿)의 딸로 조선이 개국되기 전에 죽었으며, 소생은 정종(定宗)을 비롯한 6남 2녀임.
1337~1391 한국>고려후기 , 함경도>함흥ㅣ함경도>안변 , 인명>왕실>왕비
-
신의충(申義忠)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교감(校勘) 지낸 신억수(申億壽)의 아들이자, 신각(申恪)의 아버지로, 홍섬(洪暹)이 지은 만시(挽詩)가 《인재집(忍齋集)》에 실려 있음.
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관인>문신
-
신익성(申翊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선조의 딸인 정숙옹주(貞淑翁主)의 남편으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됨.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의 척화오신(斥和五臣) 중 한 사람.
1588~1644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평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신익전(申翊全)
조선 인조(仁祖)~효종(孝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을 지낸 신흠(申欽)의 아들. 1636년(인조 14)에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저서로 《동강유집(東江遺集)》이 있음.
1605~166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신인보(申仁甫)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본관은 아주(鵝州). 영동정(令同正) 신홍(申弘)의 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동당시(東堂試)에 급제하였고, 목은(牧隱) 이색(李穡)과 교유하였음.
1324~?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거제 , 인명>관인>문신
-
신인손(辛引孫)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영산(靈山). 평안도 도안무사(平安道都按撫使)를 지낸 신유정(辛有定)의 아들. 1408년(태종 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벼슬이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이름.
1384~144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산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