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심경(沈鯁)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청송(靑松). 효력부위(效力副尉)를 지낸 심희창(沈希昌)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진원 , 인명>문사>유학
-
심경발휘(心經發揮)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구(鄭逑)가 지은 책. 4권 2책. 동주자본(銅鑄字本). 송(宋) 나라 때의 진덕수(眞德秀)가 편찬한 《심경心經)》의 미진한 점을 보완하고 부록을 더하여 수록함.
160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심경보사(心經補辭)
조선 후기의 학자인 배일장(裵一長)의 저서. 산곡여막(山谷廬幕)에서 학구(學究) 끝에 저술한 것으로 알려짐.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심경부주(心經附註)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민정(程敏政)의 주석서.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주를 달아 간행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심경석의(心經釋疑)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송(宋) 나라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해석한 책. 활자본. 4권 1책. 원래는 이황의 강의 내용을 이덕홍(李德弘)ㆍ이함형(李咸亨) 등이 기록한 것으로, 숙종(肅宗) 때 송시열(宋時烈) 등이 왕명(王命)으로 교정하여 간행함. 송시열이 쓴 서(序)가 있음.
168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서명
-
심경지(沈慶之)
중국 남북조시대 송(宋) 나라의 무신. 이민족의 반란을 진압하고 많은 전공을 세워 건무장군(建武將軍)에 임명되고, 역모를 고변하여 시중(侍中)에 올랐다가 폐제(廢帝)에 의해 사사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심공무(沈公懋)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삼척심씨(三陟沈氏)의 비조(鼻祖)인 심동로(沈東老)의 아들로, 서운관 부정(書雲觀副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관(沈灌)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세조(世祖)~성종(成宗) 때 활동한 심준(沈濬)의 형으로, 이조(吏曹)와 호조(戶曹)의 참판(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심괄(沈括)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사천감(司天監)이 되어 천체관측법ㆍ역법(曆法) 등을 창안하였고, 천문ㆍ수학ㆍ지리ㆍ본초(本草) 등 과학에 밝았으며, 저서에는 《몽계필담(夢溪筆談)》이 있음.
1031~109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심광문(沈光門)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이며,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형. 장흥고 영(長興庫令)ㆍ안악 군수(安岳郡守) 등을 지냄.
1476~152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광언(沈光彦)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으로, 안성 군수(安城郡守)를 지낸 심빈(沈濱)의 아들. 지방관으로 나가서는 선정(善政)을 베풀었으며, 법률에 밝아 형정(刑政)을 오랫동안 주관하며 송사를 바르게 처리함.
1490~156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심광종(沈光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전한(典翰)을 지낸 신의흠(沈義欽)의 아버지로, 창녕 현감(昌寧縣監)ㆍ감찰(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송 , 인명>관인>문신
-
심구(沈構)
조선 후기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심붕서(沈鵬瑞)의 아들이며, 심상점(沈尙漸)의 아버지.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삼척 , 인명>문사>유학
-
심귀령(沈龜齡)
조선 태조(太祖)~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풍산(豊山).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봉해졌으며,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를 역임함.
1349~141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심귀요(沈貴瑤)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호방평(胡方平)의 스승으로 《주역(周易)》에 정통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심극례(沈克禮)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심견(沈肩)의 넷째 아들로, 고양 군수(高陽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극인(沈克仁)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심견(沈肩)의 셋째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심극충(沈克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산(豊山). 성종(成宗) 때의 문신인 심견(沈肩)의 아들.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문사>유학
-
심극효(沈克孝)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豊山)으로, 대관재(大觀齋) 심의(沈義)의 종형(從兄). 청학동(靑鶴洞)에 율정(栗亭)을 짓고 청학노선(靑鶴老仙)이라 자호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심금(沈錦)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청송(靑松). 형조 판서(刑曹判書)를 지낸 심광언(沈光彦)의 아들로, 1555년(명종 10)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하고 감찰(監察)ㆍ과천 현감(果川縣監)을 지냄.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증직됨.
1531~1565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