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손(烏孫)
중국 한(漢) 나라 때의 투르크계 민족 이름. 천산산맥(天山山脈) 북쪽을 거점으로 활약한 유목민으로, 무제(武帝) 때 장건(張騫)이 이 나라에 사행(使行)한 이래, 한 나라와 흉노(匈奴)와의 관계에 개입하면서 조정자 역할을 담당함.
중국>후한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집단>종족
-
오수영(吳守盈)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인ㆍ학자. 이황(李滉)의 문인(門人)으로, 글씨를 잘 써 금보(琴輔)ㆍ이숙량(李叔樑) 등과 함께 ‘선성삼필(宣城三筆)’이라 불림.
1521~160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안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
-
오수채(吳守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오수채(吳遂采)
조선 영조(英祖) 때의 문신. 병조 판서를 지낸 오도일(吳道一)의 아들이며 윤증(尹拯)의 문인으로, 대사헌을 지냄. 이돈(李墪)ㆍ엄집(嚴緝)이 증편한 《송도지(松都誌)》를 보완하여 1757년(영조 33)에 《속지(續志)》 1권을 펴냄.
1692~1759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수홍(吳守弘)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고창(高敞).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낸 오충학(吳沖鶴)의 아들로, 1540년(중종 35)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오승백(吳承伯)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 나라의 역적. 선성군리(宣城郡吏)로 있으면서 태수(太守)를 죽이고 난을 일으켰으나, 채준(蔡撙)에게 진압되어 참수됨.
?~510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오시립(吳時立)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유학. 본관은 보성(寶城). 오명립(吳名立)ㆍ오유립(吳裕立) 등과 함께 문의(文義)에 송인수(宋麟壽)를 모실 노봉서원(魯峯書院)을 건립했음.
1572~?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문의 , 인명>문사>유학
-
오신중(吳愼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적개공신(敵愾功臣) 오자치(吳自治)의 아버지로,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오실(吳實)
중국 진(秦) 말~한(漢) 초의 은자. 진 나라의 폭정을 피해 상현 동산(商縣東山)에 숨은 상산사호(商山四皓)의 한 사람.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악(五岳)
중국의 옛 신앙에 보이는 다섯 개의 산. 태산(泰山)ㆍ숭산(嵩山)ㆍ형산(衡山)ㆍ화산(華山)ㆍ항산(恒山)이 그것으로 중앙과 사방을 상징함.
중국 , 사상>기타사상ㅣ지명>자연지명
-
오악(五嶽)
통일신라시대에 중사(中祀)를 지내던 다섯 개의 명산(名山). 《삼국사기(三國史記)》〈잡지(雜志)〉 제사조(祭祀條)에 의하면 동악(東岳)인 토함산(吐含山), 남악(南岳)인 지리산(智異山), 서악(西岳)인 계룡산(鷄龍山), 북악(北岳)인 태백산(太白山), 중악(中岳)인 부악(父岳, 지금의 팔공산(八公山))을 이름.
한국>통일신라 , 지명>자연지명
-
오억령(吳億齡)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義州)에 호종하고 우참찬(右參贊) 등을 지냈으나, 광해군 때 폐모론(廢母論)에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낙향함. 문장과 글씨에 뛰어남.
1552~161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동복 , 인명>관인>문신
-
오언의(吳彦毅)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고창(高敞)으로, 현감(縣監)을 지낸 오석복(吳碩福)의 아들. 이우(李堣)의 문인이며, 지방관으로 있으면서 치적을 많이 쌓았음.
1494~156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오여벌(吳汝橃)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창(高敞). 오운(吳澐)의 아들이며 정구(鄭逑)의 문인으로, 창원 부사(昌原府使) 등을 지냄. 저서로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ㆍ《동국역대기사(東國歷代紀事)》 등이 있음.
1579~163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고창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오여필(吳與弼)
중국 명(明) 나라 때의 은자. 명(明) 영종(英宗)이 불러 좌유덕(左諭德)의 벼슬을 제수했지만 사양하고 낙향(落鄕)하였으며, 천문(天文)ㆍ병법(兵法)ㆍ음양(陰陽) 등에 통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오역(吳棫)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천주통판(泉州通判)을 지내고, 주희(朱熹)가 극찬한 훈석학(訓釋學)의 대가로 《서비전(書裨傳)》ㆍ《시보음(詩補音)》ㆍ《논어지장(論語指掌)》ㆍ《고이속해(考異續解)》ㆍ《초사석음(楚辭釋音)》ㆍ《운보(韻補)》ㆍ《자학보운(字學補韻)》등의 많은 저서를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연총(吳延寵)
고려 숙종(肅宗)~예종(睿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병부 낭중(兵部郞中) 등을 지내고, 송(宋) 나라에서 《태평어람(太平御覽)》을 들여옴. 예종 때 여진(女眞) 소탕에 공을 세워 협모동덕치원공신(協謀同德致遠功臣)에 책록됨.
1055~1116 한국>고려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영(吳英)
중국 송(宋) 나라 때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이며, 고종(高宗) 소흥(紹興) 연간에 진사(進士)가 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오영창(吳永昌)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지낸 오결(吳潔)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오예손(吳禮孫)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오상(吳祥)의 아버지로, 1497년(연산군 3)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제천 현감(堤川縣監)ㆍ예조 좌랑(禮曹佐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