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오희길(吳希吉)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인ㆍ문신. 본관은 나주(羅州). 김인후(金麟厚)ㆍ정여립(鄭汝立)의 문인으로,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연루되었으나 절교한 것이 드러나 풀려남. 임진왜란 때 태조(太祖)의 어진(御眞) 등을 보전한 공로로 위성공신(衛聖功臣)에 책록됨. 저서로《도동연원록(道東淵源錄)》이 있음.
1556~162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ㅣ전라도>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오희년(吳禧年)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해주(海州).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문인(門人).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해주 , 인명>문사>유학
-
오희맹(吳希孟)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 때의 문신. 조선 중종(中宗) 때 명 나라의 황태자가 태어나자 조사(詔使) 공용경(龔用卿)과 함께 부사(副使)로 조선에 와 황제의 조서(詔書)를 전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오희순(吳希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아들 오결(吳潔)과 함께 이이(李珥)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예빈시 직장(禮賓寺直長) 등을 지냄. 성혼(成渾)의 《우계집(牛溪集)》에 그에게 답한 편지가 실려 있음.
1538~162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해주 , 인명>관인>문신
-
오희안(吳希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에 연루된 스승 김식(金湜)을 은닉시켰다가 체포되어 벽동(碧潼)으로 귀양감.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주 , 인명>문사>유학
-
옥계집(玉溪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노진(盧禛)의 시문집. 목판본. 초간본은 문인 정염(丁焰)이 저자의 유고(遺稿) 가운데 약간을 초록(抄錄)하여 임진왜란 이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으나 남아 있지 않고, 손자 노척(盧脊)이 1632년(인조 10)에 중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옥과(玉果)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 지금은 전라남도 곡성군(谷城郡)에 속함.
전라도>옥과 , 지명>행정지명
-
옥광형(玉光亨)
조선 선조(宣祖) 때의 생원. 본관은 반성(班城). 옥수강(玉守剛)의 아들로, 1579년(선조 12) 식년시(式年試)에 입격하였으며, 윤근수(尹根壽)의 《월정집(月汀集)》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
1531~?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문사>유학ㅣ인명>관인>문신
-
옥동(玉洞)
경상도 진성현(眞城縣)의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이황(李滉)을 배향한 옥동서원(玉洞書院)이 있음.
경상도>진보 , 지명>행정지명
-
옥동사(玉洞祠)
조선시대에 경상도 예천(醴泉)에 건립된 사우(祠宇). 효행(孝行)으로 신달정(辛達廷)을 배향함.
한국>조선시대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사당
-
옥동서원(玉洞書院)@상주
조선 중종(中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한 서원. 처음 이름은 백화서원(白華書院)이었으나, 1789년(정조 13)에 옥동서원(玉洞書院)으로 사액되었고, 황효헌(黃孝獻)ㆍ황희(黃喜) 등을 배향함.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동서원(玉洞書院)@진보
조선 선조(宣祖) 때 이황(李滉)의 문인인 이정회(李庭檜)가 경상도 진보(眞寶)에 세운 서원. 이황(李滉)을 배향함. 현재 경상북도 영양(英陽)에 그 터가 있음.
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보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동정사(玉洞精舍)
조선 명종(明宗) 때 옥동(玉洞) 문익성(文益成)이 고향인 경상도 합천(陜川) 천곡(泉谷) 수옥동(漱玉洞)에 건립한 정사(精舍). 1552년(명종 7) 건립하여 강학지(講學地)로 삼음.
1522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누정
-
옥동집(玉洞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학자인 문익성(文益成)의 문집. 2권 1책. 목판본. 1873년(고종 10)에 후손 문경순(文景純)ㆍ문욱순(文郁純) 등이 간행함.
187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옥룡산(玉龍山)
전라남도 장흥(長興)의 천관산(天冠山) 남쪽에 위치한 산. 옥룡사(玉龍寺) 등이 있음.
전라도>장흥 , 지명>자연지명
-
옥매(玉梅)
장미과(薔薇科)의 낙엽관목(落葉灌木). 설중사우(雪中四友)의 하나로, 흰 꽃이 피며 정원수(庭園樹)로 많이 심음.
자연물>식물
-
옥명(玉明)
조선 성종(成宗) 때의 승려. 가야산(伽倻山) 내원암(內院庵)에 있던 승려로 취라(吹螺)를 잘 불었고, 김종직(金宗直)ㆍ김일손(金馹孫)ㆍ유호인(兪好仁)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
-
옥문관(玉門關)
중국 한(漢) 나라 무제(武帝) 때인 B.C.2세기 말 감숙성(甘肅省) 돈황현(敦煌縣) 만리장성(萬里長城) 서쪽 끝에 설치한 관문. 북도(北道)의 출발점으로, 남도(南道)의 출발점인 양관(陽關)과 함께 서역(西域)으로 통하는 중요한 관문.
중국>전한 , 중국 , 유적>시설>성,진,책
-
옥보(玉寶)
조선 전기의 승려. 금강산(金剛山)에서 수행하였으며, 이산해(李山海)의 《아계유고(鵝溪遺稿)》에 그에게 준 서문(序文)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옥보고(玉寶高)
신라 진평왕(眞平王) 때의 은자ㆍ악공. 지리산(智異山) 운상원(雲上院)에 들어가 50년간 거문고로 마음을 수양하여 30여 곡을 작곡함.
한국>신라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예술인>음악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