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옥봉집(玉峯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인인 백광훈(白光勳)의 시문집. 3권. 목판본. 임진왜란으로 산일된 유고를 아들 백진남(白振南)이 수집 편차하여 전라 감사(全羅監司) 윤안성(尹安性)의 도움을 받아 1608년(광해군 즉위)에 간행함.
1608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옥부향(玉膚香)
조선 성종(成宗) 때의 기생. 나주(羅州)의 기생으로 외모와 재주가 빼어나 서울 교방(敎坊)에 발탁되었고 치헌(痴軒) 권경유(權景裕)와의 일화가 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ㅣ서울 , 인명>기술인>기생
-
옥산사(玉山祠)
충청도 보령(保寧)에 있었던 사당. 고려 후기의 문신인 백문절(白文節) 등을 배향함.
충청도>보령 , 유적>건물>사당
-
옥산서원(玉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경주(慶州)에 건립한 서원. 경주 부윤(慶州府尹) 이제민(李齊閔)이 세워 1574년(선조 7)에 사액되었으며, 이언적(李彦迪)을 배향함.
15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생향(玉生香)
조선 명종(明宗) 때의 기녀(妓女). 청원위(淸源尉) 한경록(韓景祿)과 간음한 죄로 의금부에서 국문을 받고 변방의 관비(官婢)로 영속(永屬)됨.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술인>기생
-
옥성서원(玉城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세운 서원. 김득배(金得培)ㆍ신잠(申潛)ㆍ김범(金範)ㆍ이전(李琠) 등을 배향함.
163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수강(玉守剛)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반성(班城). 선조(宣祖) 때의 유학인 옥광형(玉光亨)의 아버지로, 포천 훈도(抱川訓導)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옥수후정화(玉樹後庭花)
중국 남북조시대 진(陳) 나라의 마지막 임금인 후주(後主)가 지은 노래. 궁중연회에서 지은 장귀비(張貴妃)와 공귀빈(孔貴嬪)의 자색을 찬미한 노래로, 가사가 방탕하고 곡이 지나치게 구슬퍼서 망국지음(亡國之音)으로 불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기타>가무
-
옥연사(玉淵祠)
조선 효종(孝宗) 때 경상도 상주(尙州)에 건립된 사우(祠宇). 봉화 현감(奉化縣監)을 지낸 노경명(盧景命)이 세워 노숭(盧嵩)의 영정을 모셨으나, 숙종(肅宗) 때 불천위사당(不遷位祀堂)이 되면서 노수신(盧守愼)을 배향함.
165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유적>건물>사당
-
옥연음고(玉淵吟藁)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유청지(劉淸之)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옥조당(玉照堂)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표(張杓)의 집. 집 주변에 매화(梅花) 삼사백 그루를 심고 꽃이 필 때 그 집에서 살았는데, 둘레에 핀 꽃의 밝기가 마치 달이 뜬것처럼 밝았다고 하여 이름함.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제
-
옥징(玉澄)
조선 전기의 승려. 안동(安東)의 청량사(淸凉寺)에서 수행하였으며, 구봉령(具鳳齡)의 《백담집(栢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동 , 인명>종교인>승려
-
옥천(沃川)
충청북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옥천향교(沃川鄕校)ㆍ청산향교(靑山鄕校) 등의 사적이 남아 있음.
충청도>옥천 , 지명>행정지명
-
옥천서원(玉川書院)@순천
조선 명종(明宗) 때에 순천 부사(順天府使) 이정(李楨)이 전라도 순천(順天)에 세운 서원. 1568년(선조 1)에 사액되었으며, 김굉필(金宏弼)을 배향함.
1564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천서원(玉川書院)@예천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慶尙道) 예천(醴泉)에 세운 서원. 임춘(林椿)ㆍ반유(潘濡)ㆍ태두남(太斗南)ㆍ송복기(宋福基) 등을 배향함.
166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예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옥청소응궁(玉淸昭應宮)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 때 궁중에 건립한 도교사원(道敎寺院).
중국>송 , 중국 , 유적>건물>사찰
-
옥하관(玉河館)
중국 북경(北京) 서쪽으로 흐르는 사하(沙河)의 옥하교(玉河橋) 위에 있던 관소(館所)의 이름. 우리나라 사신(使臣)의 숙소로 이용되었음.
중국>청 , 중국 , 유적>건물>관사
-
옥황상제(玉皇上帝)
도가(道家)의 최고신. 중국 도교의 신들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지고 공경받음.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온계동규(溫溪洞規)
조선 명종(明宗)~헌종(憲宗) 때까지 유지된 경상도 안동(安東) 온계동(溫溪洞)의 동규(洞規)의 내용을 기록한 책. 필사본. 1책. 이황(李滉)이 수정하여 유명해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온교(溫嶠)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문신. 소준(蘇峻)이 모반했을 때 도간(陶侃)을 맹주(盟主)로 추대하고 군대를 모아 소준을 공격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