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경(王璟)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계성후(桂城侯) 왕원(王沅)의 아들로 청화후(淸化侯)로 책봉됨.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과 영녕공(永寧公) 왕준(王綧)의 아버지.
?~1259 한국>고려후기 , 인명>왕실>종친
-
왕경민(王敬民)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공과 우급사중(工科右給事中) 등을 역임하였으며, 조선 선조(宣祖) 때 한림(翰林) 황홍헌(黃洪憲)과 함께 황사(皇嗣) 탄생의 조서를 반포하기 위해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계(王季)
중국 주(周) 나라의 태왕(太王)인 고공단보(古公亶父)의 막내아들. 문왕(文王)의 아버지로, 무왕(武王) 때 왕으로 추존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왕고(王暠)
고려 충렬왕(忠烈王)의 손자. 충숙왕(忠肅王) 때 독로화(禿魯花)로서 원(元) 나라에 머무름. 충숙왕ㆍ충혜왕(忠惠王) 때 고려 왕위를 도모했으나 실패함.
?~1345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고(王翶)
중국 명(明) 나라 성조(成祖)~복위 영종(英宗) 때의 문신. 태자태보(太子太保)ㆍ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역임하였으며, 영종에게 중망(重望)을 받음.
1384~1467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공(王恭)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효무제(孝武帝)~안제(安帝) 때의 문신. 왕온(王蘊)의 아들로, 태자 첨사(太子詹事) 등을 지냄. 성격이 검소하고 청렴하였으며, 학창의(鶴氅衣)를 입고 눈 속을 걸어다니자 사람들이 신선에 비유하였다 함.
?~39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공신(王拱辰)
중국 송(宋) 인종(仁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낙양 유수(洛陽留守)ㆍ어사중승(御史中丞)을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광(王曠)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중국의 서성(書聖) 왕희지(王羲之)의 아버지로, 회남 태수(淮南太守)를 지냄.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굉(王宏)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동진(東晉)의 문신. 강주 자사(江州刺使)로 있을 때 도연명(陶淵明)에게 술을 보냈다는 백의인(白衣人) 고사로 유명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굉(王竤)
중국 명(明) 나라 때의 문신. 섬서성(陝西省) 하주(河州) 사람으로, 병부 상서(兵部尙書) 등을 역임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교(王喬)
중국 후한(後漢) 명제(明帝) 때의 문신. 업현(鄴縣)의 수령을 역임하였으며, 신술(神術)이 있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구사(王九思)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칠재자(七才子)’ 중의 한 사람으로, 사곡(詞曲)에 뛰어났으며 이부 낭중(吏部郞中) 등을 지냄.
1468~1551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규(汪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종학(從學)한 왕응신(汪應辰)의 아들. 단명전 학사(端明殿學士)를 지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규(王圭)
고려 태조(太祖)의 손자. 목종(穆宗)의 비(妃)인 선정왕후(宣正王后)의 아버지.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규(王珪)@고려
고려 후기의 문신ㆍ종친. 사재감 직장(司宰監直長) 홍지(洪智)의 장인이며 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홍경손(洪敬孫)의 외조부. 고려의 왕족으로서 중대광(重大匡)에 오르고, 수연대군(壽延大君)으로 불림.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규(王珪)@당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왕승변(王僧辯)의 손자로, 고조(高祖) 때 태자중사인(太子中舍人)이 되어 이건성(李建成)을 보필하였으나,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太宗)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571~639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규(王規)
고려 태조(太祖)~혜종(惠宗) 때의 문신. 태조 왕건(王建)을 받들어 대광(大匡)에 이르고, 두 딸을 태조의 비로 들인 왕실의 외척으로서 막강한 정치권력을 장악함. 외손자를 왕위에 앉히고자 모반을 꾀하다가 혜종에게 죽임을 당함.
?~945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광주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왕근(王瑾)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인 왕환(王環)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기(王基)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의 아들. 어머니는 원혜태후(元惠太后)이며, 문종(文宗)의 동생. 태사 겸 내사령(太師兼內史令)을 지냄.
?~1069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길(王吉)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원제(元帝) 때의 문신. 간의대부(諫議大夫) 등을 지냄. 왕길이 공우(貢禹)와 친하였는데, 왕길이 인사를 맡은 자리에 앉자 공우가 갓의 먼지를 털고는 자신을 천거해 주기를 기다렸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