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단(王旦)
중국 송(宋) 진종(眞宗) 때의 승상(丞相).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낸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의 아들이며, 공부 상서(工部尙書)를 지낸 왕소(王素)의 아버지.
957~101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담(王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진(晉) 나라의 학자. 덕(德)을 숨기고 표현하지 않아 사람들에게 치숙(癡叔)이라고 불림. 역리(易理)에 정통하였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덕보(汪德輔)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제자.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도(王導)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재상(宰相). 원제(元帝)의 총애로 정승에 오르고, 명제(明帝)와 성제(成帝)를 보좌하여 동진의 기초를 다짐.
276~339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도곤(汪道昆)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 의오 현령(義烏縣令) 때 척계광(戚繼光)과 병사를 모집하여 왜구(倭寇)를 격파하고, 병부시랑(兵部侍郞) 등을 지냄. 문장에 뛰어나 이반룡(李攀龍)ㆍ왕세정(王世貞) 등과 함께 학문을 연마함.
1525~1593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돈(王敦)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 원제(元帝) 때의 재상(宰相). 동진 창업에 공훈을 세워 재상이 되었으나, 명제(明帝) 때 모반하였다가 병사(病死)함.
266~324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동(王同)
중국 전한(前漢)의 학자. 동학 정관(丁寬) 등과 함께 전하(田何)로부터 《주역(周易)》을 전수받아 양하(楊何) 등의 제자에게 전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륜(王倫)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흠종(欽宗)에게 발탁되어 병부 시랑(兵部侍郎)에 오름. 금(金)과의 화친을 주장하여 금 나라에 갔다가 억류되어 죽임을 당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릉(王陵)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개국공신. 혜제(惠帝) 사후(死後) 여태후(呂太后)가 여씨(呂氏)들을 왕으로 세우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고 관직에 나아가지 않음.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망(王莽)
중국 신(新) 나라의 황제. 재위 8~23년. 전한(前漢) 말에 왕위를 찬탈하고 황제가 되었으나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에 의해 멸망함.
B.C.45~A.D.23 중국>신ㅣ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왕맹(王猛)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전진(前秦)의 승상(丞相). 화산(華山)에 은거해 있다가 전진(前秦)의 세조(世祖) 부견(符堅)의 승상으로 일하면서 국력을 크게 중흥시킴.
325~37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면(王沔)
고려 후기의 종친. 문종(文宗)의 아들인 조선후(朝鮮侯) 왕도(王燾)의 증손. 글씨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의술에도 정통했음.
?~1218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문단집(王文端集)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인 왕가병(王家屛)의 문집.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왕문정공필록(王文正公筆錄)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왕증(王曾)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왕민(王珉)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문신. 상서성(尙書省) 왕순(王珣)의 동생으로, 관직이 중서령(中書令)에 이름. 왕희지(王羲之)의 족질로 행서(行書)에 뛰어남.
351~388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발(王勃)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 양형(楊炯)ㆍ노조린(盧照隣)ㆍ낙빈왕(駱賓王)과 함께 시문으로 명성을 떨쳐 초당사걸(初唐四傑)로 일컬어짐.
649~676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왕방(王雱)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안석(王安石)의 아들로, 신법(新法)을 추진하였으며, 신종의 조칙으로 아버지와 함께 《서경(書經)》ㆍ《시경(詩經)》ㆍ《주례(周禮)》에 대한 훈석(訓釋)을 펴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백(王伯)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신라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후손으로, 왕씨는 사성(賜姓).
1277~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ㅣ강원도>강릉 , 인명>관인>문신
-
왕백(王柏)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門人)과 종유(從遊)하였고, 주희(朱熹)의 《경재잠(敬齋箴)》을 도식화(圖式化)함.
1197~127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백언(汪伯彦)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지냈으나, 금군(金軍)이 남침했을 때 황잠선(黃潛善) 등과 함께 방비책을 강구하지 않고 화평을 주장하여 송 나라를 패배하게 함.
1069~1141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