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보(王甫)
중국 후한(後漢) 영제(靈帝) 때의 환관. 영제 즉위 후, 환관 조절(曹節)과 함께 진번(陳蕃)과 두무(竇武)를 살해하고 청류세력을 탄압하여 제2차 당고(黨錮)의 화(禍)를 일으킴. 발해왕(勃海王)의 모반사건을 꾸며 복주(伏誅)시키는 등 권세가 하늘을 찔렀으나, 탄핵을 받고 죽음.
?~17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왕봉(王鳳)
중국 전한(前漢)의 외척. 원제(元帝)의 비인 왕황후(王皇后)의 동생이며, 성제(成帝)의 외삼촌으로, 성제 즉위 후 정권을 장악하고 전횡함.
?~B.C.22 중국>전한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왕부(王符)
중국 후한(後漢) 때의 문인. 난세(亂世)에 세속과 영합하지 않고 은거하였으며 《잠부론(潛夫論)》을 지어 당시의 득실(得失)을 논함. 마융(馬融)ㆍ두장(竇章)ㆍ장형(張衡)ㆍ최원(崔瑗) 등과 교유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문인
-
왕부(王裒)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효자. 아버지인 왕의(王儀)가 사마소(司馬昭)에게 억울하게 죽은 것을 비통하게 여겨 나라에서 여러 번 불렀으나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왕비(王伾)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순종(順宗) 때의 문신. 순종 때 왕숙문(王叔文)ㆍ유우석(劉禹錫)ㆍ유종원(柳宗元) 등과 함께 정권을 장악하여 국정을 농단하다가 헌종(憲宗)이 즉위하자 개주 사마(開州司馬)로 좌천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빈(王蘋)
중국 송(宋) 나라 고종(高宗) 때의 학자. 정이(程頤)의 문인(門人)으로 정이의 학통을 이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왕사기(王士琦)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 사천 안찰부사(四川按察副使) 등을 지냈으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흠차어왜서로감군(欽差禦倭西路監軍)으로 참전하여 유정(劉綎)ㆍ진린(陳璘) 등을 지휘하면서 활약함.
1551~1618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사기(王士騏)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왕세정(王世貞)의 아들로, 이부 원외랑(吏部員外郞) 등을 지내고, 《제갈량집(諸葛亮集)》ㆍ《무후전서(武侯全書)》등을 편찬함.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산(王珊)
고려 후기의 종친. 신종(神宗)의 7대손이며, 공양왕(恭讓王)의 종숙(從叔)인 왕환(王環)의 아들로 순평군(順平君)에 봉해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산악(王山岳)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때의 국상(國相). 거문고의 대가. 552년(양원왕 8)에 진(晉) 나라에서 도입한 칠현금(七絃琴)을 개조하여 100여 악곡을 지어 연주함.
한국>고구려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상(王祥)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효자. 병에 걸린 계모를 위해 겨울에 잉어를 구하러 연못에 나가자 얼음이 저절로 갈라지고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고사가 전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왕상빙리(王祥冰鯉)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왕상(王祥)이 병에 걸린 계모를 위해 한겨울에 잉어를 구하러 얼어붙은 강에 나가자 얼음이 저절로 갈라지고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고사성어. 효심이 지극함을 뜻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왕새(王璽)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 1569년(조선 선조 2)에 황태자 책립조서(皇太子冊立詔書)를 전달하기 위해 조선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서(王恕)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아들. 제21대 희종(熙宗)의 아우이며, 공양왕(恭讓王)의 6대조. 희종이 폐위될 때 최충헌(崔忠獻)에 의해 교동현(喬洞縣)으로 쫒겨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교동ㅣ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석(王奭)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맏아들. 순비 노씨(純妃盧氏)의 소생으로, 1389년(공양왕 1)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391년 하정사(賀正使)로 명(明) 나라에 다녀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석작(王錫爵)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거쳐 재상을 지냈으며, 성품이 강직하여 조정의 의론과 어긋나는 경우가 많았음.
1534~1610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선(王詵)
중국 북송(北宋) 때의 서화가. 시(詩)와 사(詞)를 잘 지었고 서예에 능했으며, 특히 산수화를 잘 그림. 소동파(蘇東坡)ㆍ황정견(黃庭堅)ㆍ미불(米芾) 등과 친교가 깊었음.
1048~1104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왕선지(王仙芝)
중국 당(唐) 나라 희종(僖宗) 때의 반란지도자. 소금 밀매상인(密賣商人) 출신으로, 인민의 평등을 구호로 내걸고 장원(長垣)에서 반란을 일으켜 뒤에 합세한 황소(黃巢) 등과 함께 크게 세력을 떨치다가, 기주(蘄州)에서 증원유(曾元裕)에게 패하여 죽음.
?~878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역적
-
왕세정(王世貞)
중국 명(明) 나라 세종(世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 젊을 때부터 문명이 높아 ‘후칠자(後七子)’의 한 사람으로 손꼽히고, 이반룡(李攀龍)과 함께 명대 후기 고문사파(古文辭派)의 지도자가 됨. 형부 상서(刑部尙書) 등을 지냄.
1526~1590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세충(王世充)
중국 수(隨) 말~당(唐) 초의 무신. 수 양제(煬帝)의 신임을 얻어 고위직에 올랐으나 황제 양동(楊侗)을 폐위하고 스스로 정국(鄭國)을 세워 왕위에 오름. 후에 이세민(李世民)에게 패퇴하여 항복함.
?~621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