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왕정(王侹)
고려 고종(高宗) 때의 종친. 영인후(寧仁侯) 왕진(王稹)의 아들. 고려를 침략해 개성을 포위하던 몽고 장군 살례탑(撒禮塔)을 찾아가 화의를 맺고 물러가게 함.
?~1234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정(王楨)
고려 제26대 충선왕(忠宣王) 때의 종친.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에 낳은 아들이며, 서방(西方) 오랑캐인 적제(狄鞮)의 말을 잘하여 석위(席衛)의 행차에 참석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정규(王庭珪)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효종(孝宗)의 문신ㆍ학자. 고종(高宗) 때 호전(胡銓)이 금(金) 나라와 화친을 주장하는 진회(秦檜)를 참할 것을 상소하였다가 유배되자 홀로 시를 지어 전송함. 시에 뛰어났으며, 특히《주역(周易)》에 정통하였음.
1080~117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왕정상(王廷相)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문인. 벼슬이 병부상서(兵部尚書)에 이르렀으며 문학과 비평에 일가를 이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걸쳐 활동한 홍치칠자(弘治七子)의 한 사람.
1474~1544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제(王濟)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의 부마(駙馬). 왕혼(王渾)의 아들로, 활쏘기와 말타기에 능하고 용력(勇力)이 뛰어났으며, 상산공주(尙山公主)와 혼인하여 극도의 호사를 누림.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왕실>인척
-
왕존(王尊)
중국 전한(前漢)의 충신. 익주 자사(益州刺史)가 되어 사천성(四川省) 공래산(邛郲山)의 구절판(九折阪)을 넘을 때 충신으로서 길을 지체할 수 없다고 마부를 재촉했던 고사가 전함. 주로 외직에 종사하며 백성에게 선정을 베풂.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종(王琮)
고려 원종(元宗)의 아들. 내시 양선(梁善) 등으로부터 어머니인 경창궁주(慶昌宮主)와 함께 맹인 중 종동(終同)을 시켜 충렬왕을 저주한다는 무고를 받고 유배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준(王濬)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무제(武帝) 때의 장군. 누선(樓船)을 제조하여 오왕(吳王) 손호(孫皓)를 사로잡고 오 나라를 멸하였으며, 익주 자사(益州刺史)를 거쳐 무군대장군(撫軍大將軍) 등을 역임함.
206~285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왕준(王綧)
고려 고종(高宗)~충렬왕(忠烈王) 때의 종친. 현종(顯宗)의 후손으로 청화후(淸化侯) 왕경(王璟)의 아들이며, 승화후(承化侯) 왕온(王溫)의 동생. 1241년(고종 28) 고종의 명으로 왕자라 칭하고 독로화(禿魯花)가 되어 몽고에 감.
1223~1283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중귀(王重貴)
고려 공민왕(恭愍王) 때의 문신.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왕후(王煦)의 아들로, 벼슬이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에 이르렀다가 신돈(辛旽)에 의하여 파직됨. 원(元) 나라와 내통하였다는 혐의를 받고 효수당함.
1335~1369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안동 , 인명>관인>문신
-
왕중서(王仲舒)
중국 당(唐) 헌종(憲宗)~목종(穆宗) 때의 문인ㆍ문신. 홍주 자사(洪州刺史)ㆍ중서사인(中書舍人)ㆍ강남서도 관찰사(江南西道觀察使) 등을 지냈으며, 한유(韓愈)와 교유하였음.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왕중정(王中正)
중국 송(宋) 인종(仁宗)~철종(哲宗) 때의 환관(宦官). 어약원 간당(御藥院幹當) 등을 지냈으며, 서하(西夏)를 격퇴한 공으로 황제의 물건을 하사받음. 하늘을 찌르는 권세를 누렸으나, 정호(程顥)의 청렴ㆍ정직함을 알고 자주 왕래함.
1029~1099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왕즙(王緝)
고려 제34대 공양왕(恭讓王)의 부마(駙馬). 공양왕의 첫째 딸 숙녕궁주(肅寧宮主)와 혼인하였으나, 공양왕이 폐위되기 전 섬으로 귀양감. 조선 태조(太祖)의 서형(庶兄) 사위인 변중량(卞仲良)과 동갑계(同甲契)를 맺어 친분이 있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인척
-
왕증(王曾)
중국 송(宋) 나라 진종(眞宗)~인종(仁宗) 때의 문신. 중서시랑(中書侍郞) 등을 거쳐 재상이 되었으나, 여이간(呂夷簡)과의 불화로 운주판관(鄆州判官)으로 전출됨. 저서로 《왕문정공필록(王文正公筆錄)》이 있음.
978~1038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증(王烝)
고려 제11대 문종(文宗)의 아들. 제13대 선종(宣宗)의 동생으로, 태위 겸 중서령(太尉兼中書令)을 지내고, 학술에 뛰어났다고 함.
?~1092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왕자
-
왕증(王証)
고려 후기의 종친. 예성부원대군(蘂城府院大君) 왕온(王昷)의 손자.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
-
왕직(汪直)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 때의 환관(宦官). 헌종의 신임을 얻어 정권을 전단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왕직(王直)
중국 명(明) 나라 성종(成宗)~영종(英宗) 때의 문신. 20여 년간 한림(翰林)에 있으면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영(王英)과 이름을 나란히 함. 이부 상서(吏部尙書) 등을 지내고, 저서에 《억암집(抑菴集)》이 있음.
1379~1462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왕진(王振)
중국 명(明) 나라의 환관(宦官). 영종(英宗)의 신임을 얻어 정권을 전단함. 토목(土木)의 변란 때 영종을 호종하여 정벌에 나섰다가 전사함.
?~1449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왕진(王珒)
고려 제20대 신종(神宗)의 손자. 신종의 둘째 아들 양양공(襄陽公) 왕서(王恕)의 큰아들로, 약관의 나이에 요절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왕실>종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