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요^척(堯^跖)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인 요(堯) 임금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도둑인 도척(盜跖)을 함께 부르는 말. 가장 선한 것과 가장 악한 것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요^헌(堯^軒)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성천자(聖天子)인 요(堯) 임금과, 전설상의 제왕으로 염제(炎帝)와 치우(蚩尤)를 물리치고 제위에 오른 헌원(軒轅)을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요간(姚簡)
중국 당(唐)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 요찰(姚察)의 아들로, 위징(魏徵)과 함께 《양서(梁書)》ㆍ《진서(陳書)》를 편찬하였으며, 산기상시(散騎常侍) 등을 지냄.
557~637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간(饒幹)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장사현(長沙縣)의 지사(知事)를 지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요당(堯唐)
중국 고대의 임금인 도당씨(陶唐氏) 요(堯)가 다스리던 나라. 희화(羲和) 등에게 명하여 역법(曆法)을 정하게 하고, 순(舜)을 등용하여 천하의 정치를 섭정하게 함. 중국 역사에서 이상적인 태평시대로 꼽힘.
고대 , 중국 , 시간>국명
-
요덕명(廖德明)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ㆍ문신.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보전현(莆田縣)의 지사(知事)가 되어 풍속을 교화시키고 호강(豪强)을 억누르는 데 힘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요동(遼東)
중국 요녕성(遼寧省) 남동부(南東部) 일대에 걸친 땅. 요하(遼河)의 동쪽이란 뜻으로 우리나라와 중국이 교류하는 중심지. 고구려(高句麗)와 발해(勃海) 때 우리의 영토였으나 그 이후로 상실함.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요로(饒魯)
중국 남송(南宋)의 학자. 황간(黃榦)의 문인으로,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치지역행(致知力行)을 근본으로 삼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요모문(堯母門)
중국 장안(長安)에 있던 구익궁(鉤弋宮)의 문 이름. 한(漢) 무제(武帝) 때 총비(寵妃)인 구익부인(鉤弋夫人)이 소제(昭帝)를 14개월 만에 낳자, 요(堯) 임금의 고사를 인용하여 명명함.
B.C.94 중국>전한 , 중국 , 유적>건물>궁궐
-
요범사훈(了凡四訓)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원황(袁黃)의 저서. 아이들에게 운명은 자신의 의지로 개척할 수 있다고 훈시하는 내용을 담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요복(姚馥)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강인(姜人)으로 98세까지 장수했으며 애주가였음. 무제(武帝) 때에 주천 태수(酒泉太守)를 지냄.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수(姚燧)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문장에 능하여 서한(西漢)의 기풍이 있었고, 태자빈객(太子賓客)ㆍ한림학사 승지(翰林學士承旨) 등을 지냄.
1239~1314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요숭(姚崇)
중국 당(唐) 나라 중종(中宗)~현종(玄宗) 때의 재상. 측천무후(則天武后)에게 발탁되어 관직에 오르고, 현종 초기에 국정을 숙정하고 민생의 안정에 힘씀. 송경(宋璟)과 함께 개원(開元)의 명재상으로 숭앙됨.
650~721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요원(了元)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소식(蘇軾)과 함께 금산사(金山寺)에서 선문답을 나눈 일이 널리 알려짐.
1032~1098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요찰(姚察)
중국 남북조시대 양(梁)~수(隋) 나라의 문신ㆍ학자. 관직이 비서감(秘書監)에 이르렀으며, 《한서훈찬(漢書訓纂)》ㆍ《설림(說林)》 등을 저술함.
533~606 중국>수ㅣ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요환(了幻)
고려 후기의 승려. 이규보(李奎報)와 도의(道義)로 교유하였고, 대나무를 좋아하여 송가도(松家島 : 경기도 강화) 보문정사(普門精舍) 곁에 죽재(竹齋)를 짓고 수도함.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강화 , 인명>종교인>승려
-
욕지도(欲知島)
경상도 고성(固城)에 있는 섬 이름. 임진왜란(壬辰倭亂) 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이 설치되면서 선박의 정박처로 이용되었고, 사슴을 방목하여 녹용(鹿茸)을 조정에 올리기도 함. 지금은 경상남도 통영시(統營市)에 속함.
경상도>고성 , 지명>자연지명
-
용^김^양(龍^金^楊)
평안도 용강(龍岡), 전라도 김제(金堤), 경기도 양근(楊根)을 함께 부르는 말.
평안도>용강ㅣ전라도>김제ㅣ경기도>양근 , 지명>기타지명
-
용^어^맹(庸^語^孟)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급(孔伋)이 저술한 중용(中庸)과, 사상가인 공자(孔子)의 언행과 제자들과의 문답 내용을 기록한 논어(論語)와, 사상가인 맹자(孟子)가 저술한 맹자(孟子)를 함께 부르는 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기타문헌
-
용강(龍岡)
평안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명승지로 황룡산성(黃龍山城)ㆍ기자전(箕子殿)ㆍ오산서원(鰲山書院) 등이 있음.
평안도>용강 , 지명>행정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