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개(龍蓋)
통일신라 때 후백제(後百濟)의 무신. 아자개(阿慈介)의 셋째 아들로 견훤(甄萱)의 동생.
한국>통일신라 , 인명>관인>무신
-
용계서원(龍溪書院)@안동
조선 후기에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한 서원.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김언기(金彦璣)ㆍ권대기(權大器)를 배향함.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계서원(龍溪書院)@태인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태인(泰仁)에 건립한 서원. 1701년(숙종 27)에 최서림(崔瑞琳)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고, 김만정(金萬挺)ㆍ은정화(殷鼎和)ㆍ김습(金習)ㆍ한백유(韓伯愈) 등을 추가 배향함.
1701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태인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궁(龍宮)
경상도 예천(醴泉)과 상주(尙州) 사이에 있던 고을 이름. 명승지로 수월루(水月樓)ㆍ백화사(白華寺)가 있음. 후에 예천에 병합됨.
경상도>용궁 , 지명>행정지명
-
용담유사(龍潭遺詞)
조선 후기에 동학(東學)의 제1대 교조인 최제우(崔濟愚)가 지은 포교 가사집(布敎歌辭集). 동학의 기본 경전으로, 1881년(고종 18) 최시형(崔時亨)에 의하여 한글본으로 간행됨. 〈용담가(龍潭歌)〉와 〈안심가(安心歌)〉 등 9편으로 구성됨.
1881 한국>근대 , 충청도>단양 , 문헌>서명
-
용담집(龍潭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문신인 박이장(朴而章)의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8대손 박규환(朴奎煥)이 간행을 도모하였으며, 1911년 9대손 박인현(朴寅鉉)ㆍ박윤현(朴允鉉) 등이 간행함.
1911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용도각(龍圖閣)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 설치한 왕실 도서관. 황제의 문집ㆍ도화(圖畵)ㆍ세보(世譜) 등을 보관하였고, 유학사(有學士)ㆍ직학사(直學士)ㆍ대제(待制)ㆍ직각(直閣) 등의 관리를 둠.
중국>송 , 중국 , 법제>관청
-
용만문견록(龍灣聞見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정탁(鄭琢)의 저서. 1책. 필사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의주(義州)에서 명(明) 나라와 교섭한 내용을 정리함.
1593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문산문답(龍門山問答)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남기제(南紀濟)가 지은 《아아록(我我錄)》에 실려 있는 작품. 노론ㆍ소론ㆍ남인ㆍ북인의 네 당파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경기도 양평(楊平)의 용문산(龍門山) 설암(雪庵)에서 토론하는 형식으로 당쟁의 전말을 서술함.
18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문서원(龍門書院)@안음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음(安陰)에 건립한 서원. 1662년(현종 3)에 사액되었으며, 정여창(鄭汝昌)ㆍ임훈(林薰)ㆍ임운(林芸)ㆍ정온(鄭蘊) 등을 배향함.
158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문서원(龍門書院)@지평
조선 효종(孝宗) 때 경기도 지평(砥平)에 건립한 서원. 1714년(숙종 40)에 사액되었으며, 조욱(趙昱)ㆍ조성(趙晟)ㆍ신변(申抃)ㆍ조형생(趙亨生)ㆍ조문형(趙門衡) 등을 배향함. 현재 경기도 양평군(楊平郡)에 속함.
1654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지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문자(龍門子)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렴(宋濂)의 저서.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용문집(龍門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조욱(趙昱)의 시문집(詩文集). 6권 3책. 활자본.
177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조선 세종(世宗) 때 정인지(鄭麟趾) 등이 왕명으로 지은 악장(樂章) 이름. 건국의 시조와 왕조의 창건을 송영(頌詠)한 장편 서사시로,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작품.
144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문헌>작품명
-
용사일기(龍蛇日記)
조선 선조(宣祖) 때 임진왜란 당시 경상우도(慶尙右道)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의 막료였던 이로(李魯)의 일록(日錄). 1책. 활자본. 1762년(영조 38) 간행됨. 김성일의 활약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서명서(徐命瑞)의 서문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산(龍山)
중국 원(元) 나라에 유학온 일본 승려. 중봉 명본(中峰明本) 선사의 제자로, 중국 강남의 도솔사(兜率寺)의 주지로 있었고, 일본에서 중국으로 유학온 승려 윤중암(允中菴)의 스승이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용산서원(龍山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보성(寶城)에 건립한 서원. 1707년(숙종 33)에 사액되었으며, 박광전(朴光前)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복원됨.
160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보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수(龍樹)
인도 대승불교의 승려ㆍ학자. 인도 대승불교사상(大乘佛敎思想)의 기초를 확립하고, 공사상(空思想)을 전개하여 중관학파(中觀學派)로 불림. 저서로 《중론(中論)》등이 있음.
150?~250? 기타지역 , 인명>종교인>승려ㅣ인명>문사>학자
-
용수사(龍壽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용두산(龍頭山)에 있는 사찰. 고려 의종(毅宗) 때 세워졌으며, 이황(李滉)과 이현보(李賢輔) 등이 학문을 탐구하고 강학하던 곳.
114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사찰
-
용수산(龍壽山)
경상도 예안(禮安)에 있던 산 이름.
경상도>예안 , 지명>자연지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