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술(龍述)
중국 후한(後漢)의 문신. 마원(馬援)이 조카들에게 용백고(龍伯高)를 본받으라고 할 정도로 청렴ㆍ근검했음. 광무제(光武帝)가 마원의 글을 보고 용백고를 영릉 태수(零陵太守)로 삼았음.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용안(龍安)
전라도 북서부에 있던 고을 이름. 조선 초기에는 이곳 금두포(金頭浦)에 득성창(得成倉)이 설치되어 조운(漕運)의 요충지 역할을 함.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에 속함.
전라도>용안 , 지명>행정지명
-
용암사(龍巖寺)
경기도 개성(開城)의 남산(南山)에 있던 절 이름. 1388년(우왕 14)에 이성계(李成桂)가 이 절의 북쪽 고개를 점거하고서 최영(崔瑩)을 압박함.
경기도>개성 , 유적>건물>사찰
-
용암서원(龍巖書院)@운봉
조선 숙종(肅宗) 때 전라도 운봉(雲峰) 황산(荒山)에 건립한 서원. 박광옥(朴光玉)ㆍ변사정(邊士貞)ㆍ노형필(盧亨弼)ㆍ정몽주(鄭夢周)ㆍ황일호(黃一皓)ㆍ서식(徐湜) 등을 배향함.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뒤 복원되지 못함.
1695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운봉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암서원(龍巖書院)@삼가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삼가(三嘉)에 건립된 서원. 1603년(선조 36)에 창건되고 1609년(광해군 1)에 사액되었으며, 조식(曺植)을 배향함. 현재 경상남도 합천(陜川)에 속함.
160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삼가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암집(龍巖集)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박운(朴雲)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778년(정조 2) 정간(鄭幹)에 의해 간행됨. 정간과 이상정(李象靖)의 발문이 실려 있음.
1778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연서원(龍淵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기도 포천(抱川)에 건립한 서원. 1692년(숙종 18) 사액되었으며, 이덕형(李德馨)ㆍ조경(趙絅)을 배향함.
1691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포천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인(龍仁)
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 예로부터 풍수지리상 명당(明堂)이 많은 곳으로 일컬어졌으며, 지금의 용인은 옛 용인ㆍ양지(陽智)ㆍ죽산(竹山)의 일부가 합해 이루어짐.
경기도>용인 , 지명>행정지명
-
용인이씨(龍仁李氏)
신라 말 고려 건국에 공을 세우고, 고려 왕실의 부마(駙馬)가 되어 구성백(駒城伯)에 봉해진 이길권(李吉卷)을 시조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경기도>용인 , 인명>집단>성씨
-
용재유고(慵齋遺稿)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종준(李宗準)의 시문집. 1책. 목판본. 1824년(순조 24) 후손 이창욱(李昌郁)이 편집하고, 권사협(權思浹)과 이순빈(李淳賓)이 교정하여 간행함.
182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재집(容齋集)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이행(李荇)의 시문집. 7책. 활자본. 1586년(선조 19) 손자 이광(李洸)이 함경도 관찰사(咸鏡道觀察使)로 있을 때 간행함. 권두에 주세붕(周世鵬)의 행장(行狀)과 권말에 이안눌(李安訥)의 중간 발문이 실려 있음.
1586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용재총화(慵齋叢話)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잡록류(雜錄類)에 속하는 수필집(隨筆集). 조선시대 수필문학(隨筆文學)의 백미(白眉)로 일컬어짐. 3권 3책,
1525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문헌>서명
-
용주유고(龍洲遺稿)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문신인 조경(趙絅)의 시문집. 목판본. 23권 9책. 1674년(숙종 1) 아들 조위봉(趙威鳳)이 교정 편차하고, 1703년(숙종 29) 손자 조구원(趙九畹)이 순천(順天)에서 간행함.
1703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순천 , 문헌>서명
-
용지하(龍池河)
중국 계주(薊州)의 주성(州城) 남쪽에 있는 하천 이름. 노가령(蘆家嶺)의 어귀 사려하(舍黎河)에서 발원하여 옥전(玉田)을 거쳐 백룡항(白龍港)으로 흘러들어감.
중국 , 지명>자연지명
-
용진서원(龍津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함경도 덕원(德源)에 건립한 서원. 1696년(숙종 22) 사액되었으며, 송시열(宋時烈)ㆍ민정중(閔鼎重)을 배향함. 1871년(고종 8)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됨.
1695 한국>조선후기 , 함경도>덕원 , 유적>건물>서원,향교
-
용천(龍泉)
황해도 서흥(瑞興) 남쪽 22리 지점에 있는 여울 이름. 산기슭에서 물이 솟아 나와 시내를 이룬 곳으로, 이곳에서 기생과 이별하는 모습을 읊은 어떤 사람의 시구(詩句)를 인용하여 서거정(徐居正)이 ‘오열탄(嗚咽灘)’이라 개명함.
황해도>서흥 , 지명>자연지명
-
용천검(龍泉劍)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의 명검(名劍). 구야자(歐冶子)와 간장(干將)이 함께 만든 세 자루 가운데 하나로,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뇌환(雷煥)이 예장(豫章)의 풍성(豊城) 땅속에서 얻었다는 고사가 전함. 원래는 용연검(龍淵劍)으로 불렸으나 당(唐) 나라 고조의 휘(諱)인 ‘연(淵)’을 피하여 용천(龍泉)이라 하였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물품>기타용품>무기
-
용천관(龍川館)
황해도 서흥도호부(瑞興都護府) 용천역(龍泉驛) 곁에 있는 관원(館院). 광해군(光海君) 때 평안도 병마평사(平安道兵馬評事)인 송방조(宋邦祚)가 이곳에서 중국 명(明) 나라에 들어가는 보빙사(報聘使)의 짐을 검색하던 중 급사함.
한국>조선시대 , 황해도>서흥 , 유적>건물>관사
-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조선 중종(中宗) 때 김안로(金安老)가 경기도 용천(龍泉)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적막함을 달래기 위해 지은 일종의 필기류(筆記類).
1525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문헌>작품명
-
용천문집(龍川文集)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학자인 진량(陳亮)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