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용추동(龍湫洞)
경상도 문경(聞慶)에 있던 마을 이름. 김안국(金安國)이 신연(申淵)과 이곳에서 술을 마시며 즐겼던 일을 회상하는 내용이 《모재집(慕齋集)》에 실려 있음.
경상도>문경 , 지명>자연지명
-
용풍(鄘風)
《시경(詩經)》의 15개 국풍(國風) 중의 하나. 총 10편(篇) 30장(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두 서주(西周) 때의 시가(詩歌)임.
중국>주 , 중국 , 문헌>편명
-
용학강록(庸學講錄)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진공석(陳孔碩)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용학보의(庸學補疑)
조선 고종(高宗)~근대의 문신ㆍ순국지사인 송병순(宋秉珣)이 《중용(中庸)》과 《대학(大學)》에 대한 해의(解疑)의 자료로 엮은 책. 2권 2책. 목활자본. 1897년 문인들에 의해 간행됨. 송병선(宋秉璿)의 서문, 편자와 박제응(朴齊應)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97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용학석의(庸學釋義)
조선 명종(明宗) 때 안위(安瑋)와 문명개(文命凱)가 이황(李滉)의 확정되지 않은 《대학(大學)》ㆍ《중용(中庸)》에 대한 학설을 모아 간행한 책. 이황의 큰 반발을 샀음.
1567 한국>조선전기 , 평안도>중화 , 문헌>서명
-
용학십이도(庸學十二圖)
중국 남송(南宋) 때의 학자인 요로(饒魯)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용헌고(慵軒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황사우(黃士祐)의 시문집. 목판본. 《회산세고(檜山世稿)》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시대 , 문헌>서명
-
용헌집(容軒集)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인 이원(李原)의 시문집. 1476년(성종 7) 손자 이륙(李陸)에 의해 《철성연방집(鐵城聯芳集)》에 편입시켜 간행되었으며, 1957년 후손 이우기(李宇基)ㆍ이정태(李庭泰) 등에 의해 중간됨.
147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문헌>서명
-
용호집(龍湖集)
조선 선조(宣祖)~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인 박문영(朴文楧)의 시문집. 2책. 목활자본. 1862년(철종 13) 9세손 박경기(朴慶基)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조병덕(趙秉悳)의 서문과 박경기의 발문이 실려 있음.
1862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용화산(龍華山)
전라도 익산(益山)의 북쪽 8리 지점에 있는 산 이름. 남쪽 기슭에 미륵사(彌勒寺)가 있어 ‘미륵산(彌勒山)’으로도 불림. 현재 전라북도 익산시(益山市) 금마면(金馬面)에 속함.
전라도>익산 , 지명>자연지명
-
용흥강(龍興江)
함경도 동부를 거쳐 동해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함경도>영흥 , 지명>자연지명
-
우(禹)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의 왕. 순(舜)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 수토(水土)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
중국>하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우^여(牛^女)
한국ㆍ중국ㆍ일본에 전래되는 견우직녀(牽牛織女) 설화의 주인공인 견우와 직녀를 함께 부르는 말.
고대 , 사상>술어>관용어
-
우^율(牛^栗)
조선 선조(宣祖) 때의 성리학자인 문간공(文簡公) 우계(牛溪) 성혼(成渾)과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를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후기ㅣ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파주ㅣ강원도>강릉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우^이(牛^李)
중국 당(唐) 나라 목종(穆宗)~무종(武宗) 때의 문신인 우승유(牛僧孺)와 이종민(李宗閔)을 함께 부르는 말. 우이당쟁(牛李黨爭)을 벌인 '우당(牛黨)'의 대표적인 인물들을 가리킴.
중국>당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직(禹^稷)
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夏) 나라 왕인 우(禹)와, 주(周) 왕조의 전설적 시조(始祖)인 후직(后稷)을 함께 부르는 말. 순(舜) 임금의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하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직^설(禹^稷^卨)
중국 고대 하(夏) 나라를 세운 우(禹)와 농관(農官)인 후직(后稷), 사도(司徒)인 설(契)을 함께 부르는 말. 순(舜) 임금의 어진 신하를 가리킴.
중국>하ㅣ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우^창(禑^昌)
고려 제32대 우왕(禑王)과 제33대 창왕(昌王)을 함께 부르는 말.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에 의해 폐위된 사람을 가리킴.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사상>술어>관용어
-
우가장(牛家庄)
중국 요동(遼東)에 있던 역참(驛站). 조선시대에 북경(北京)을 왕래할 때 경유하던 요동과 산해관(山海關) 사이의 16개 역참 중의 하나로, 해주위(海州衛)와 사령(沙嶺) 사이에 있었음.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우강집(盱江集)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구(李覯)의 문집. 37권. 저자가 일생 동안 지은 글을 모아 엮은 책으로 경학(經學)과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원(元) 나라 때 판각됨.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