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여우(趙汝愚)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재상. 송 나라의 황족으로 주희(朱熹)의 친구. 영종 때 한탁주(韓侂冑)의 무고로 귀양 가서 죽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종친
-
조연(趙涓)
고려 우왕(禑王)~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선이 건국되자 왕을 호위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을 도와 좌명공신(佐命功臣)이 됨.
1374~1429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연수(趙延壽)
고려 충렬왕(忠烈王)~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조인규(趙仁規)의 아들.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등을 지냈으며 충숙왕의 미움을 사 섬으로 유배됨.
1278~1325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영(曺永)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언형(曺彦亨)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조영(趙瑩)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평양(平壤). 충렬왕(忠烈王) 때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를 지낸 조인규(趙仁規)의 아버지로, 금자광록대부 추밀원부사(金紫光祿大夫樞密院副使)에 추증됨.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문사>유학
-
조영규(趙英珪)
고려 말~조선 초의 무신. 신창조씨(新昌趙氏)의 시조. 이방원(李芳遠)과 모의하여 정몽주(鄭夢周)를 선죽교에서 격살한 일로 이행(李行)의 탄핵을 받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고,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에 추증됨.
?~139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신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영무(趙英茂)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무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세진(趙世珍)의 아들. 조선 개국에 공을 세우고 제1ㆍ2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공신(功臣)에 봉해짐.
?~141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조영석(趙永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한양(漢陽).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우(趙佑)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영인(趙永仁)
고려 의종(毅宗)~신종(神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를 지낸 조충(趙冲)의 아버지. 태자(太子)의 보도(輔導)를 맡은 바 있으며, 문하시중으로 치사(致仕)함.
1133~1202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온(趙溫)
고려 우왕(禑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용원부원군(龍原府院君) 조인벽(趙仁璧)의 아들로, 이성계(李成桂)의 신진세력에 참여하여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움.
1347~141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옹(趙雍)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 조맹부(趙孟頫)의 둘째 아들로 서화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산수(山水)에 능했음.
1289~1360? 중국>원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조용(趙庸)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세조(世祖) 때의 문신ㆍ학자. 정몽주(鄭夢周)의 문인(門人). 조선 개국 후 예문관 대제학(藝文館大提學)ㆍ대사성(大司成)ㆍ세자우빈객(世子右賓客) 등을 지냄. 진보조씨(眞寶趙氏)의 시조.
?~142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용조제(租庸調制)
중국의 수(隋)~당(唐) 나라 때 완성된 조세체계. 조(租)는 토지, 용(庸)은 사람, 조(調)는 호(戶)에 부과하는 조세제도로 관리들의 백성 착취의 대상이 되어 많은 폐단을 낳아 덕종(德宗) 때 폐지됨.
중국>당ㅣ중국>수 , 중국 , 법제>제도
-
조우(趙佑)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현량과(賢良科)에 급제하여 교리(校理)가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인해 파방(罷榜)되었다가 음보(蔭補)로 현감(縣監) 등을 지냄.
148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우인(曺友仁)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광해군(光海君)을 풍자하는 시를 지어 투옥되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우부승지(右副承旨) 등을 지냄. 시ㆍ글씨ㆍ그림에 능했음.
1561~1625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창 , 인명>관인>문신
-
조욱(趙昱)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평양(平壤). 조광조(趙光祖)ㆍ김식(金湜)의 문인(門人)으로, 시문(詩文)ㆍ서화(書畫)에 능하고, 서경덕(徐敬德)ㆍ이황(李滉)ㆍ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으며,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1498~155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천ㅣ경기도>삭녕 , 인명>문사>학자
-
조운(趙雲)
중국 삼국시대 촉(蜀) 나라의 명장(名將). 공손찬(公孫瓚)의 휘하에 있다가 유비(劉備)에게 귀의하였으며, 단기필마로 위기에 처한 감부인(甘夫人)과 유선(劉禪)을 구해내는 등 용감무쌍하였으며, 여러 싸움에서 많은 공을 세움.
?~229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운흘(趙云仡)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 이인복(李仁復)의 문인으로, 홍건적(紅巾賊)의 침입 때 왕을 호종한 공으로 2등공신이 되고, 조선 개국 후 강릉 부사(江陵府使)로 제수됨.
1332~1404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원(趙瑗)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조응공(趙應恭)의 아들로, 조응관(趙應寬)에게 출계함.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삼척 부사(三陟府使)ㆍ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냄.
1544~1595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원강(趙元綱)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중종(中宗) 때의 문신 조광조(趙光祖)의 아버지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