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원기(趙元紀)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정랑(正郞) 조충손(趙衷孫)의 아들이며 조광조(趙光祖)의 숙부로,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지냄.
1457~153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원길(趙元吉)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본관은 옥천(玉川)으로, 조전(趙佺)의 아들. 정몽주(鄭夢周)ㆍ설장수(楔長壽)와 함께 공양왕을 옹립하여 1등공신이 되고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에 봉해짐. 고려가 망하자 순창(淳昌)으로 내려가 벼슬을 하지 않고 절의를 지킴.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원정(曺元正)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무신.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이의방(李義方)을 도운 공으로 장군에 오름. 자신을 좌천시킨 두경승(杜景升) 등에게 원한을 품고 석린(石隣) 등과 모의하여 제거하려다가 그 사실이 발각되어 살해당함.
?~1187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무신
-
조원종(趙元鍾)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직산(稷山).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세림(趙世琳)의 아버지로, 승의부위(承義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직산 , 인명>관인>무신
-
조위(曺偉)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울진 현령(蔚珍縣令)을 지낸 조계문(曺繼門)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 김일손(金馹孫)이 준 사초(史草)를 실록(實錄)에 기록한 일로 무오사화(戊午士禍)에 연루되어 유배됨.
1454~150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금산 , 인명>관인>문신
-
조위(趙瑋)
고려 충선왕(忠宣王)~충목왕(忠穆王) 때의 문신. 충숙왕과 심양왕 고(瀋陽王暠) 사이에 알력이 있을 때 형들은 심양왕 편을 들었으나 그는 이에 가담하지 않아 지밀직(知密直)에 특진되고, 충목왕 때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으로 진봉됨.
1287~1348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위총(趙位寵)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병부 상서(兵部尙書)로 서경유수(西京留守)를 겸하고 있을 때 무신난이 일어나자, 정중부(鄭仲夫) 일당의 토벌을 구실로 군사를 일으켰으나 윤인첨(尹鱗瞻)을 원수로 한 토벌군에게 패퇴됨.
?~1176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위한(趙緯韓)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양정(趙揚庭)의 아들이자 선산 부사(善山府使)를 지낸 조찬한(趙纘韓)의 형으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를 지냄.
1567~164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유(趙瑜)
조선 전기의 유학. 세조(世祖)~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인 조달생(趙達生)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조육(趙育)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병조 정랑(兵曹正郞)을 지낸 조충손(趙衷孫)의 아버지로, 의영고 사(義盈庫使)를 지내고 이조 참판(吏曹參判)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윤구(曺允懼)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1543년(중종 3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유학
-
조윤성(曺允誠)
조선 태종(太宗)~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수성(壽城).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지낸 조극치(曺克治)의 아버지로, 승문원 박사(承文院博士)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대구 , 인명>관인>문신
-
조윤신(曺允愼)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창녕(昌寧). 중종(中宗) 때 함안 군수(咸安郡守) 등을 지낸 조효연(曺孝淵)의 아들로, 충무위 부사직(忠武衛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무신
-
조윤양(趙允讓)
중국 송(宋) 나라 영종(英宗)의 생부(生父). 영종이 즉위하여 복안의왕(濮安懿王)으로 추숭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종친
-
조은택(趙恩澤)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 문신ㆍ학자로 명망이 높았던 조번(趙蕃)의 아들.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조응경(趙應卿)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수만(趙壽萬)의 아들로,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조부인 조금호(趙金虎) 슬하에서 자라면서 지극한 효행으로 이름을 떨침.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지냄.
1487~1549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응공(趙應恭)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생부로, 예조 좌랑(禮曹佐郞)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관인>문신
-
조응관(趙應寬)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임천(林川). 선조(宣祖) 때 동부승지(同副承旨)를 지낸 조원(趙瑗)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임천 , 인명>문사>유학
-
조응세(趙應世)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평양부 서윤(平壤府庶尹)을 지낸 조준(趙俊)의 아들로, 1534년(중종 29)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의생(曺義生)
고려 말~조선 초의 충신.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72명 중 한 사람.
1337~?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