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지운(趙之耘)
조선 후기의 문신ㆍ화가. 본관은 풍양(豊壤)으로, 선비화가 조속(趙涑)의 아들. 현감(縣監)을 지내고, 선비의 기풍과 심의(心意)가 가득한 묵매와 수묵화조를 잘 그려 〈숙조도(宿鳥圖)〉등의 작품을 남김.
1637~?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조지원(趙之瑗)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세침(趙世琛)의 아버지로, 전력 부위(展力副尉)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무신
-
조지종(趙之琮)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홍주(洪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조숭령(趙崇齡)의 아버지로, 순천 교수(順天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태인 , 인명>관인>문신
-
조지주(趙之周)
조선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판중추부사 조혜(趙惠)의 아들. 문음(門蔭)으로 인수부 승(仁壽府丞)에 서용되어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48~1492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진(趙振)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조충수(趙忠秀)의 아들이며, 이황(李滉)의 문인. 왕자 사부(王子師傅)로 천거되고 공조 판서(工曹判書) 등을 지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잠저(潛邸)에 있을 때 보도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고 한산군(漢山君)에 봉해짐.
153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양주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조진(趙眞)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옥과(玉果). 해좌칠현(海左七賢)의 한 사람인 조통(趙通)의 아들.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유학
-
조징(趙澄)
조선 중중(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1566년(명종 21) 중시(重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내고, 1574년(선조 7) 사신으로 명(明) 나라에 다녀오던 중 해주(海州)에서 병사함.
1511~1574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찬한(趙纘韓)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으로, 조양정(趙揚庭)의 아들. 영천 군수(榮川郡守) 시절 삼도토포사(三道討捕使)로 도둑을 토벌하고, 형조 참의(刑曹參議)ㆍ선산 부사(善山府使) 등을 지냄. 시부(詩賦)에 능함.
1572~1631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참(曹參)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진(秦) 나라의 옥리(獄吏) 출신으로 한(漢) 나라 통일에 공을 세워 평양후(平陽侯)로 책봉되고, 혜제(惠帝) 때는 상국(相國)에 오름.
?~B.C.190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조참(趙參)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조동호(趙銅虎)의 아들이며, 이조 참판(吏曹參判)을 지낸 조순(趙舜)의 동생. 1507년(중종 2) 식년시(式年試)에 급제하여 집의(執義) 등을 지냄.
147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안 , 인명>관인>문신
-
조창(趙昌)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때의 화가. 골법(骨法)보다도 채색에 특징이 있는 사생적인 화조화(花鳥畵)를 잘 그렸으며, 그의 화풍이 휘종(徽宗) 때 화원(畵院)에게 영향을 미침.
중국>송 , 중국 , 인명>예술인>서화가
-
조창원(趙昌遠)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를 지낸 조존성(趙存性)의 아들로, 형조 좌랑(刑曹佐郞) 등을 지내고,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로 간택됨.
1583~1646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ㅣ인명>왕실>인척
-
조척(曺倜)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등을 역임하였고, 함창(咸昌)의 원으로 있을 때 함녕루(咸寧樓)를 중수함. 기문(記文)이 종형(從兄)인 조위(曺偉)의 《매계집(梅溪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천기행록(朝天紀行錄)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장가인 이정귀(李廷龜)가 연경(燕京)에 있을 때 지은 기행문. 중국 문인들에게 자신이 지은 〈도로기행시(道路紀行詩)〉를 보여주자 왕휘(汪煇)가 서문을 지어주고 출간했으며, 《월사집(月沙集)》에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후기 , 중국 , 문헌>서명
-
조천록(朝天錄)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사룡(鄭士龍)이 지은 책. 1537년(중종 32) 중국 사신을 영접할 때 지은 글로서 총 115제가 수록되어 있으며, 저자의 문집 《호음잡고(湖陰雜稿)》에 실려 전함.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조천유(趙千裕)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平壤). 보조공신(輔祚功臣) 조인규(趙仁規)의 손자이며 조서(趙瑞)의 아들로, 원윤(元尹)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문신
-
조천일기(朝天日記)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김육(金堉)의 기행문. 목판본. 1권 1책. 저자가 1636년(인조 14)에 동지사(冬至使)로서 명(明) 나라에 다녀오는 과정을 기록한 것으로, 조선 사절이 명 나라에 다녀온 마지막 기록으로 남음.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조철산(趙哲山)
조선 세조(世祖) 때의 유학. 본관은 옥천(玉川). 조숭문(趙崇文)의 아들로 단종복위운동(端宗復位運動)을 하다가 고신(告身)을 환수당하고 원지에 유배되어 아버지와 함께 처형됨.
?~1456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문사>유학
-
조최(趙衰)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대부. 영공(靈公)의 왕위 옹립에 공헌한 조둔(趙盾)의 아버지로, 문공(文公)~양공(襄公)에 걸쳐 국정을 잘 보좌함.
?~B.C.622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조춘(趙椿)
고려 전기의 무신. 평양조씨(平壤趙氏)의 시조.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로 송(宋) 나라에 가서 금(金) 나라를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송 나라의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고 함.
한국>고려전기 , 평안도>평양 , 인명>관인>무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