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조충(趙冲)
고려 명종(明宗)~고종(高宗) 때의 문신. 명종 때 음서(蔭敍)로 내시(內侍)에 임명됨. 1219년 몽고(蒙古)ㆍ동진(東眞)군과 연합하여 거란군(契丹軍)의 항복을 받고 몽고군 원수인 합진(哈眞)과 형제의 맹약을 맺은 공으로, 정당문학 판예부사(政堂文學判禮部事)에 오름.
1171~1220 한국>고려후기 , 강원도>횡성 , 인명>관인>문신
-
조충국(趙充國)
중국 전한(前漢) 무제(武帝)~선제(宣帝) 때의 장군. 무제를 도와 흉노의 정벌에 많은 공을 세워 기린각(麒麟閣)에 초상이 걸림.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조충손(趙衷孫)
조선 세종(世宗)~단종(端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조육(趙育)의 아들로, 병조 정랑(兵曹正郞) 등을 지냈으나,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역모에 연루되어 고신(告身)이 추탈되고 유배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충수(趙忠秀)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본관은 양주(楊州). 한산군(漢山君) 조진(趙振)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과 한양부원군(漢陽府院君)에 추증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조충숙(趙忠肅)
고려 말 조선~초의 충신. 본관은 함안(咸安). 고려가 망한 뒤 조선 태조(太祖)가 과거를 실시하였으나 이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가 충의를 지킨 태학생(太學生) 중 72명 한 사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은자
-
조치우(曺致虞)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군수(郡守) 조말손(曺末孫)의 아들로, 사옹원 정(司饔院正) 등을 지냄. 청렴하고 효행이 뛰어나 왕으로부터 《소학(小學)》과 옥비(玉碑)를 하사받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침(趙琛)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순창(淳昌). 중종의 부마인 순원위(淳原尉) 조의정(趙義貞)의 아버지로, 부사(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순창 , 인명>관인>문신
-
조태구(趙泰耉)
조선 숙종(肅宗)~경종(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양주(楊州)로, 우의정 조사석(趙師錫)의 아들. 소론의 영수로 1721년(경종 1)에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김창집(金昌集) 등 노론 4대신을 역모죄로 몰아 사사(死賜)하게 한 뒤 영의정에 오름.
1660~1723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통(趙通)
고려 명종(明宗)~신종(神宗) 때의 문신ㆍ학자. 고공낭중(考功郞中)으로 금(金) 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구류되었다가 풀려남. 오세재(吳世才)ㆍ임춘(林椿) 등과 해좌칠현(海左七賢)으로 불리고, 경사(經史)와 백가(百家)에 모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옥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조파(祖播)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 구양백호(歐陽伯虎)와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를 통해 시와 선물을 전하여 공공상인(空空上人)과 막역한 교우를 맺음.
중국>송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조팽(趙彭)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양(豊壤).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조종경(趙宗敬)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양주 , 인명>문사>유학
-
조필(趙泌)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순창(淳昌). 생원(生員) 조희(趙禧)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평산 , 인명>문사>유학
-
조하(趙嘏)
중국 당(唐) 무종(武宗)~선종(宣宗) 때의 문신ㆍ시인. 842년(무종 2)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渭南尉)에 이름. “장적일성인의루(長笛一聲人倚樓)”라는 시구로 유명해짐.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조한보(曺漢輔)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학자. 사용(司勇) 조변옹(曺變雍)의 아들. 성리학(性理學)ㆍ선학(禪學) 등에 뛰어나며, 당시 이언적(李彦迪)과 벌인 성리학 논쟁이 유명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문사>학자
-
조한영(曺漢英)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이식(李植)ㆍ김장생(金長生)의 문인으로, 《인조실록(仁祖實錄)》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漢城府右尹) 등을 지냄.
1608~167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조한필(曺漢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등(曺璒)의 아들로, 1510년(중종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항(曺沆)
조선 세종(世宗) 때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조경수(曺敬修)의 아들이며 영의정을 지낸 조석문(曺錫文)의 아버지로,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창녕 , 인명>관인>문신
-
조헌(趙憲)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문신ㆍ의병장. 본관은 배천(白川). 이이(李珥)ㆍ성혼(成渾)의 문인.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옥천(沃川) 등에서 의병을 일으켜 활약하였으나 금산(錦山) 전투에서 700명의 의병과 분전하다가 함께 전사함.
1544~1592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김포 , 인명>관인>문신
-
조혁(趙奕)
고려 후기의 무신. 원(元) 나라에서 활동한 승려 해원(海圓)의 아버지로, 검교감(檢校監)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함열 , 인명>관인>무신
-
조현당(釣賢堂)
경상남도 합천(陜川) 해인사(海印寺) 북쪽 5리 지점의 내원사(內院寺) 안에 있던 당(堂) 이름. 조선 전기 학자인 김일손(金馹孫)의 기문(記文)이 전함.
경상도>합천 , 유적>건물>사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