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좌자(左慈)
중국 후한(後漢) 때의 도술가(道術家). 도술을 배워 육갑(六甲)ㆍ신술(神術)에 정통함. 조조(曹操)가 농어(鱸魚)가 먹고 싶다고 하자 대야 물에서 송강(松江)의 농어를 낚아 올렸는데 이를 두려워한 조조가 죽이려 하자 양이 되어 양의 무리 속에 들어가서 잡지 못했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주(紂)
중국 은(殷) 나라의 마지막 왕. 제을(帝乙)의 아들로, 달기(妲己)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 비간(比干)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周) 나라의 무왕(武王)에게 멸망당함.
중국>은 , 중국 , 인명>왕실>국왕
-
주(酒)
술. 누룩을 빚어 만든 음료의 총칭(總稱). 전설상에 두강(杜康)과 의적(儀狄)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함.
물품>식약품>음료
-
주^공(周^孔)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이자 충신인 주공(周公)과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자(孔子)를 함께 부르는 말. 왕도정치를 주장하고 실행한 대표적인 인물을 말함.
중국>춘추전국시대ㅣ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균(朱^均)
중국 고대 요(堯) 임금의 아들인 단주(丹朱)와 순(舜) 임금의 아들인 상균(商均)을 함께 부르는 말. 악한 행실로 인해 적자로서 황위를 계승하지 못한 두 인물을 말함.
고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박^온(朱^朴^溫)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朱蒙),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朴赫居世), 백제의 시조인 온조(溫祚)를 함께 부르는 말. 삼국의 시조를 가리킴.
한국>신라ㅣ한국>백제ㅣ한국>고구려 , 사상>술어>관용어
-
주^소(周^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인 주공(周公)과 소공(召公)을 함께 부르는 말. 무왕(武王)의 동생으로 성왕(成王)을 도와 주 나라의 기반을 다지는 데 기여한 두 인물을 말함.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양(朱^梁)
중국 명(明) 나라 신종(神宗) 때의 문신인 주지번(朱之蕃)과 양유년(梁有年)을 함께 부르는 말. 1606년(조선 선조 39)에 황제의 원손(元孫) 탄생을 알리는 조서를 가지고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옴.
중국>명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양(朱^楊)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와 양시(楊時)를 함께 부르는 말. 이정(二程)의 학설을 계승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여(朱^呂)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性理學)을 집대성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육(朱^陸)
중국 송(宋) 나라의 유학자인 주희(朱熹)와 육구연(陸九淵)을 함께 부르는 말. 송대 성리학(性理學)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장(周^張)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장재(張載)와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송 나라 유학(儒學)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채(朱^蔡)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주희(朱熹)와 채원정(蔡元定)을 함께 부르는 말. 사제(師弟) 관계로서 성리학(性理學)의 발전에 기여한 두 학자를 말함.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주개(周愷)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수의부정(修義副正) 주세곤(周世鵾)의 아들이며,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의 조카.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유학
-
주거(周擧)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문신ㆍ학자. 여남(汝南) 사람으로, 주방(周防)의 아들. 박학다식하고 오경(五經)에 능통하여 유학자들의 종사(宗師)가 됨. 《후한서(後漢書)》에 열전(列傳)이 있음.
?~14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주계서원(周溪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12년(광해군 40에 창건되고 1633년(인조 11)에 사액(賜額)되었으며, 구봉령(具鳳齡)ㆍ권춘란(權春蘭)을 배향함.
161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
-
주계정(朱繼楨)
조선 전기의 유학. 김시습(金時習)의 《매월당집(梅月堂集)》에 그에게 준 시(詩)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주곡(注谷)
경상북도 영양(英陽) 북쪽에 있는 고을 이름.
경상도>영해 , 지명>자연지명
-
주공(周公)
중국 주(周) 나라의 종친. 주 나라 문왕(文王)의 아들이며 무왕(武王)의 동생. 무왕을 도와 은(殷) 나라의 주왕(紂王)을 치고, 성왕(成王)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종친ㅣ인명>왕실>왕자
-
주공천(朱公遷)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ㆍ문신. 경전백가(經傳百家)와 예악율력(禮樂律曆) 등 다방면에 정통하였고, 건주 학정(虔州學正)을 지냄. 저서에 《사서통지(四書通旨)》와 《사서약설(四書約說)》이 있음.
중국>원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