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주역참동계발휘(周易參同契發揮)
중국 송(宋) 말~원(元) 초의 학자인 유염(兪琰)의 저서. 3권. 《주역(周易)》의 형식을 빌려 도교(道敎)의 연단 양생(煉丹養生) 이론을 논술한 위백양(魏伯陽)의 《주역참동계(周易參同契)》에 대한 연구 해설서.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주옥사(珠玉詞)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 때의 문인이자 재상인 안수(晏殊)의 시집. 1권. 사(詞) 작품 130여 수가 수록되어 있으며, 사대부들의 연회(宴會) 모습, 흐르는 세월에 대한 아쉬움, 남녀의 이별하는 정을 읊은 내용이 대부분임.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옹(周顒)
중국 남북조시대(南北朝時代) 제(齊) 나라의 문신. 공치규(孔稚圭)와 함께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었는데, 황제가 부르자 나아가 벼슬하다가 다시 돌아가려고 하니까 공치규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거절하였다고 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운(朱雲)
중국 전한(前漢) 원제(元帝)~성제(成帝) 때의 문신. 성품이 강직하여 괴리 령(槐里令)을 지낼 때 성제에게 상방검(尙方劍)을 빌어 간신 장우(張禹)를 죽일 것을 간하였다가 죽음을 당함. 난간이 부러지도록 붙잡고 간하였다는 절함(折檻) 고사로 유명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유(周瑜)@삼국(오)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오(吳) 나라의 무신. 손견(孫堅)의 아들 손책(孫策)과 형제처럼 교유하였으며, 위(魏)의 조조(曹操)가 진격해 오자 촉(蜀)의 제갈공명(諸葛孔明)과 함께 적벽대전(赤壁大戰)에서 위군(魏軍)을 대파하였음.
175~210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주유(周瑜)@고려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상주(尙州). 도은공파(陶隱公派)의 중시조로 주세붕(周世鵬)의 고조임. 고려가 망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로 벼슬을 단념하고 합천(陜川)에 은거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주윤창(周允昌)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김굉필(金宏弼)과 함께 유학(遊學)하였음. 1480(성종 11) 친시(親試)에 급제하였고, 군수(郡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의(周顗)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원제(元帝) 때 형주 자사(荊州刺史)ㆍ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등을 지냈으나, 반란을 일으킨 진동대장군(鎭東大將軍) 왕돈(王敦)에 의해 살해됨.
269~322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주의(奏議)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인 황중(黃中)의 저서. 10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의산(周義山)
중국 전한(前漢)의 도사. 불사(不死)를 추구하여 묵상하며 단도(丹道)를 이룩하였다고 함. 송(宋) 나라 때의 도사인 백옥섬(白玉蟾)과 함께 언급되기도 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주의패설(奏議稗說)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성현(成俔)의 저서. 6권. 《용재총화(慵齋叢話)》발문(跋文)에는 12권으로 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주이(周怡)
조선 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상주(尙州). 주세귀(周世龜)의 아들로, 1546년(명종 1) 증광시(增廣試)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도사(都事) 등을 지냄.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
1515~156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상주 , 인명>관인>문신
-
주이(周頤)
통일신라 원성왕(元聖王) 때의 문신ㆍ귀화인. 상주주씨(尙州周氏)의 시조(始祖). 중국 당(唐) 나라 덕종(德宗) 때 병부 시랑(兵部侍郞)을 지내고 부사(副使)가 되어 신라에 왔다가 귀화하였다고 하며, 상주 총관(尙州摠管) 등을 지냄.
중국>당ㅣ한국>통일신라 , 중국ㅣ경상도>상주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주인궤(朱仁軌)
중국 당(唐) 나라의 효자. 벼슬을 사양하고 부모를 봉양하고 살면서 자식들에게는 일생 동안 남에게 밭두둑을 양보해도 1묘(畝)의 밭도 손실되는 것이 아니라고 훈계하였음. 주희(朱熹)의 〈무원다원주씨세보서(婺源茶院朱氏世譜序)〉에 의하면 금릉 주씨(金陵朱氏)의 시조라고 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기타인명>효자
-
주자(朱泚)
중국 당(唐) 나라 대종(代宗)~덕종(德宗) 때의 무신. 덕종 때 아우인 주도(朱滔)가 반란을 일으키자 사병(士兵)들의 추대를 받아 황제가 됨. 봉천(奉天)으로 피난한 덕종을 치려다가 이성(李晟)에게 패한 후 부장(部將)에게 피살됨.
742~784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주자대전(朱子大全)
중국 송(宋) 나라의 성리학자인 주희(朱熹)의 문집. 목판본. 본편 100권, 별집 11권, 속집 10권. 주희의 모든 학설과 학자들의 질의(質疑)에 대해 회답한 편지, 시(詩)ㆍ기(記)ㆍ명(銘)ㆍ비문(碑文)ㆍ묘지(墓誌) 등을 엮음.
1165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대전차의(朱子大全箚疑)
조선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송시열(宋時烈)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가운데 난해한 문자, 구절, 잘못 판각된 글자 등을 주석ㆍ고증ㆍ변증한 책. 121권 17책. 제자인 권상하(權尙夏) 등이 간행함.
1689?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주자만년정론(朱子晩年定論)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왕수인(王守仁)의 저서. 1권. 주희(朱熹)도 말년에는 도문학(道問學)을 버리고 존덕성(尊德性)으로 회귀하였다는 주장을 담고 있어 나흠순(羅欽順) 등 주자학파들의 신랄한 비판을 받음.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이황(李滉)이 주희(朱熹)의 《주자대전(朱子大全)》에 실린 서간문(書簡文) 가운데 정수(精髓)만을 모아 편집한 선집(選集). 1561년(명종 16) 황준량(黃俊良)이 성주(星州)에서 초간(初刊)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됨.
156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성주 , 문헌>서명
-
주자성서(朱子成書)
중국 원(元) 나라의 학자인 황서절(黃瑞節)의 저서. 10권. 여러 책 가운데 주희(朱熹)의 주석과 해설을 모아 편집하고 자기의 견해를 부록으로 붙임.
1341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