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죽천집(竹川集)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박광전(朴光前)의 시문집. 1책. 목판본. 문인 선정달(宣廷達)이 수집하고,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차하였으며, 1754년(영조 30) 5대손 박내석(朴乃錫) 등이 간행함. 1809년(순조 9) 후손 박형덕(朴馨德) 등이 중간본을, 1929년 박태선(朴泰璿) 등이 삼간본을 간행함.
1754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준왕(準王)
고대 기자조선(箕子朝鮮)의 마지막 국왕. 망명하여 온 연(燕) 나라 사람 위만(衛滿)이 모반을 일으키자 마한(馬韓) 땅으로 도망하여 유민(流民)을 수습하고 한왕(韓王)이라 칭하였음.
고대 , 인명>왕실>국왕
-
준요록(遵堯錄)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나종언(羅從彦)의 저서. 8권. 송 나라 군신의 사적(事迹)에 비평을 가한 정치사상서.
112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인(中^仁)
조선 제11대 국왕인 중종(中宗)과 제12대 국왕인 인종(仁宗)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중강첩장도(重江疊嶂圖)
중국 원(元) 나라의 서화가ㆍ문인인 조맹부(趙孟頫)의 그림 작품.
1303 중국>원 , 중국 , 문헌>작품명
-
중경지(中京誌)
경기도 개성부(開城府)의 읍지. 11권 6책. 목활자본. 1824년(순조 24)에 유수(留守) 김이재(金履載)가 편찬하고, 1855년(철종 6) 조병기(趙秉夔) 등이 증보하여 간행함. 《송도지(松都誌)》를 저본으로 하여 개성의 역사ㆍ지리ㆍ사회ㆍ경제ㆍ행정ㆍ인물ㆍ고적 등을 상세하게 수록함.
1855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중국역대총론(中國歷代總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오여벌(吳汝橃)이 지은 중국 역사서.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중긍(中亙)
고려 후기의 승려. 나이 들어서 내원당(內願堂)에서 물러나와 남원(南原)에 있는 승련사(勝蓮寺)에서 죽었는데, 졸암(拙菴) 연온(衍昷) 등이 그의 뜻을 이어 승련사를 증축하였음.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남원 , 인명>종교인>승려
-
중봉집(重峯集)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의병장인 조헌(趙憲)의 문집. 3책. 목판본. 안방준(安邦俊)이 정리하고, 송시열(宋時烈)이 저자의 증손이자 자신의 제자인 조광한(趙匡漢)과 함께 문집의 초본을 완성하였으며, 1666년(현종 7) 전라 감사인 민유중(閔維重)이 간행함.
166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전주 , 문헌>서명
-
중산보(仲山甫)
중국 주(周) 나라 선왕(宣王) 때의 현대부(賢大夫). 신백(申伯)과 함께 임금을 보좌한 어진 재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그들을 찬미하는 내용이 실려 있음.
중국>주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중설(中說)
중국 수(隋) 나라의 유학자인 왕통(王通)의 저서. 《논어(論語)》를 본떠서 왕통이 문인(文人)들과 나눈 대화를 분류ㆍ정리한 책으로, 왕도(王道)ㆍ천지(天地)ㆍ사군(事君) 등으로 구성됨. 동생 왕응(王凝)과 아들 왕복치(王福畤)가 자신들의 의견을 첨가하여 편찬함.
중국>수 , 중국 , 문헌>서명
-
중순당집(中順堂集)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인 나흥유(羅興儒)의 문집.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상주 , 문헌>서명
-
중암집(中菴集)
고려 충렬왕(忠烈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인 채홍철(蔡洪哲)의 문집.
한국>고려후기 , 문헌>서명
-
중영설(仲英說)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색(李穡)이 도(道)를 묻고 깨달음을 얻으려는 각웅(覺雄)을 위하여 지은 글.
한국>고려후기 , 문헌>작품명
-
중옹(仲雍)
중국 주(周) 나라 태왕(太王)의 둘째 아들. 어머니는 태강(太姜). 태왕이 셋째 아들인 왕계(王季)에게 전위(傳位)하려 하자 형 태백(太伯)과 함께 형만(荊蠻)으로 들어가 단발문신(斷髮文身)을 하고 오(吳) 나라를 건국함.
중국>주 , 중국 , 인명>왕실>왕자
-
중용(中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인 공급(孔伋)이 저술한 유교 경전. 《예기(禮記)》의 제31편이었던 것을 송(宋) 나라의 주희(朱熹)가 따로 떼어서 사서(四書)에 포함시킴. 유교의 철학적 배경을 천명하여, 중화사상(中和思想)ㆍ성(誠) 등의 내용을 33장에 담고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중용설(中庸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나종언(羅從彦)이 지은, 《중용(中庸)》에 대한 논설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용의(中庸義)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진양(陳襄)이 지은, 《중용(中庸)》에 대한 강해서(講解書).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중용장구상설(中庸章句詳說)
중국 명(明) 나라 태조(太祖) 때의 학자인 유청(劉淸)이 지은, 《중용장구(中庸章句)》에 대한 해설서. 사백선(史伯璿)의 견해와 팽정견(彭廷堅)의 표제를 덧붙임.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중유(仲由)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의 훈계로 입문(入門)하여 헌신적으로 공자를 섬김. 정치(政治) 방면에 뛰어난 재능이 있어 노 나라와 위(衛) 나라에서 벼슬하였으나 괴외(蒯聵)의 내란 때 전사함.
B.C.543~B.C.480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