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증기(曾幾)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육유(陸游)의 스승으로, 진회(秦檜)의 노여움을 사서 파직되었다가 다시 기용되어 권 예부 시랑(權禮部侍郞) 등을 역임하였음.
1084~1166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증삼(曾參)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학자. 증점(曾點)의 아들이며 공자(孔子)의 고제(高弟)로, 효심이 두텁고 내성궁행(內省躬行)에 힘썼으며, 노 나라 지방에서 제자들의 교육에 주력함.
B.C.506~B.C.436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심사(證心寺)
통일신라 헌안왕(憲安王) 때 철감선사(澈鑒禪師) 도윤(道允)이 광산(光山)의 무등산(無等山)에 창건한 사찰. 1094년(고려 선종 11)에 혜조국사(慧照國師)가 중수함.
860 한국>통일신라 , 전라도>광산 , 유적>건물>사찰
-
증원유(曾元裕)
중국 당(唐) 나라 의종(懿宗)~희종(僖宗) 때의 무신. 878년(희종 5) 초토사(招討使)가 되어, 황소(黃巢)의 난을 이끈 왕선지(王仙芝)의 군대를 기주(蘄州)에서 대파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증전장성(增田長盛)
일본 도산시대(桃山時代)의 장군.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서울 점령 소식을 들은 풍신수길(豊臣秀吉)이 명(明) 나라의 후원을 염려하여 파견한 소위 '삼봉행(三奉行)' 중의 한 사람.
1545~1615 일본>강호시대ㅣ일본>도산시대 , 일본 , 인명>관인>무신
-
증점(曾點)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노(魯) 나라의 학자. 아들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孔子)의 제자. 공자가 포부를 묻자 봄에 친구들과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 쏘이고 시 읊으며 돌아오겠다고 대답한 일이 《논어(論語)》에 실려 있음.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증조(曾肇)
중국 송(宋) 나라 신종(神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증포(曾布)의 동생. 한림학사(翰林學士) 등을 지냈고,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수에 참여함.
1047~110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증조도(曾祖道)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유청지(劉淸之)와 교유하다 육구연(陸九淵)에게 사사(師事)하였는데, 1197년 고정(考亭)에서 주자(朱子)를 만나 주자의 제자가 되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지^둔(止^盾)
중국 춘추전국시대 허(許) 나라 제후인 도공(悼公)의 맏아들 태자지(太子止)와 진(晉) 나라 대부인 조둔(趙盾)을 함께 부르는 말. 자신의 직분을 다하지 않은 사람을 가리킴.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지^신(摯^莘)
중국 주(周) 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인 태임(太任)과 문왕의 부인이자 무왕(武王)의 어머니인 태사(太姒)를 함께 부르는 말. 지(摯)는 태임의 출신지이며 신(莘)은 태사의 출신지로, 현숙한 비(妃)를 가리킴.
중국>주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지겸(志謙)
고려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낸 전의(田毅)의 아들로, 최충헌(崔忠獻)에 의하여 왕사(王師)가 되어 선종(禪宗)을 크게 진흥시킴.
1145~1229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종교인>승려
-
지공(指空)
인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승려. 원(元) 나라에 있다가 1326년 고려에 와서 머물렀던 고승으로, 나옹 혜근(懶翁惠勤)의 스승임. 회암사지(檜巖寺址)에 승탑(僧塔)이 남아 있으며, 이색(李穡)이 부도명(浮圖銘)을 지음.
?~1363 한국>고려후기 , 기타지역ㅣ중국ㅣ경기도>양주 , 인명>종교인>승려
-
지눌(知訥)
고려 의종(毅宗)~희종(熙宗) 때의 승려. 조계종(曹溪宗)의 개조(開祖).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정혜쌍수(定慧雙修)를 주장하여 선(禪)으로써 체(體)를 삼고, 교(敎)로써 용(用)을 삼아 선종(禪宗)과 교종(敎宗)의 합일점을 추구함. 저서에 《진심직설(眞心直說)》ㆍ《목우자수심결(牧牛子修心訣)》 등이 있음.
1158~1210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서흥 , 인명>종교인>승려
-
지둔(支遁)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 지형산(支硎山)ㆍ여항산(餘杭山)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하다가 애제(哀帝)로부터 부름을 받고 금중(禁中)에서 불법(佛法)을 강론함. 시에 능하여 《지둔집(支遁集)》이라는 시집을 남김.
314~366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인명>종교인>승려
-
지둔집(支遁集)
중국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승려인 지둔(支遁)의 시집. 8권.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지리산(智異山)
전라도 남원(南原)ㆍ구례(求禮), 경상도 산청(山淸)ㆍ함양(咸陽)ㆍ하동(河東)에 걸쳐 있는 산.
전라도>남원ㅣ전라도>구례ㅣ경상도>함양ㅣ경상도>하동 , 지명>자연지명
-
지마이사금(祇摩尼師今)
신라 제6대 왕. 재위 112~134. 성은 박씨(朴氏)로, 파사이사금(婆娑尼師今)의 아들. 가야(伽倻)를 공격하고 말갈(靺鞨)의 침입을 격퇴하는 등 대외적 활동이 뛰어났음.
?~134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지백(智伯)
중국 춘추전국시대 진(晉) 나라의 경(卿). 조양자(趙襄子)를 공격하려다가, 조(趙)ㆍ한(韓)ㆍ위(魏)의 연합군에게 멸망당함.
?~B.C.453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지봉유설(芝峰類說)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수광(李睟光)이 지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전서. 1614년(광해군 6)에 탈고하였으며, 1633년(인조 11)에 아들 이성구(李聖求)ㆍ이민구(李敏求)가 《지봉집(芝峯集)》과 함께 의령(宜寧)에서 20권 10책의 목판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문헌>서명
-
지봉집(芝峯集)
조선 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수광(李睟光)의 문집. 1633년(인조 11) 아들 이성구(李聖求)와 이민구(李敏求)가 의령(宜寧)에서 목판으로 간행함.
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령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