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진공(陳鞏)
중국 송(宋)의 유학. 선학(禪學)에 심취하여 주희(朱熹)와 함께 선학(禪學)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편지가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진공석(陳孔碩)
중국 송(宋) 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관직으로 비각 수찬(秘閣修撰)을 지냄. 주희(朱熹)와 함께 경학(經學)을 강마(講磨)했으며 《용학강록(庸學講錄)》 등의 저술을 남김.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관(秦觀)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ㆍ문인. 태학박사(太學博士) 등을 지냄. 고문(古文)과 시, 특히 사(詞)에 뛰어나 소식(蘇軾)의 문하에 있으면서 황정견(黃庭堅)ㆍ장뢰(張耒)ㆍ조보지(晁補之) 등과 함께 ‘소문 4학사(蘇門四學士)’로 일컬어짐.
1049~110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진관(陳瓘)
중국 송(宋) 나라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문신. 우사원외랑 겸 권급사중(右司員外郞兼權給事中) 등을 지내면서 직간(直諫)을 잘 함. 역(易)에 통달하고 《사명존요집(四明尊堯集)》등을 저술함.
1057~1122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광현(陳光賢)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여양(驪陽). 지공주사(知公州事)를 지낸 진화(陳澕)의 아버지로, 추밀부사(樞密副使)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홍주 , 인명>관인>문신
-
진군(陳羣)
중국 삼국시대(三國時代) 위(魏) 나라의 문신. 진기(陳紀)의 아들. 상서(尙書)를 지내며 구품관인(九品官人)의 법을 세워, 인재의 우열(優劣)에 따라 관리(官吏)를 전형(典型)한 바 있음.
?~238 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극충(陳克忠)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삼척(三陟)으로, 내자 판관(內資判官)을 지낸 진암수(陳巖壽)의 아들. 1519년(중종 14)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여산 , 인명>문사>유학
-
진급(陳級)
중국 전한(前漢)의 문신. 가위후(嘉威侯) 진준(陳遵)의 동생으로, 형주 목사(荊州牧使) 등을 지냄.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기(晉記)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학자인 육기(陸機)가 지은 역사서.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서명
-
진기(陳紀)
중국 후한(後漢) 환제(桓帝)~헌제(獻帝) 때의 학자. 동생 진심(陳諶)과 더불어 높은 덕망을 지님. 아버지 진식(陳寔)으로부터 난형난제(難兄難弟)라 일컬어짐.
129~199 중국>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남군(鎭南君)
조선 제2대 정종(定宗)의 여섯째 아들. 숙의이씨(淑儀李氏)의 소생으로, 종실 중에 가장 어질다고 하여 장원서 제조(掌苑署提調)에 임명됨.
1406~1470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진녕행고(鎭寧行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서예가인 소현(蕭顯)의 문집.
중국>명 , 중국 , 문헌>서명
-
진단(陳摶)
중국 오대십국(五代十國)~송(宋) 나라 태조(太祖) 때의 도사. 한(漢) 나라 위백양(魏伯陽)이 만든 태극도(太極圖)가 그에게 전수되고, 다시 여러 사람을 거쳐 주돈이(周敦頤)에게 전해졌다고 함.
중국>송ㅣ중국>오대십국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진덕수(眞德秀)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문신ㆍ학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내고, 주희(朱熹)의 학통을 이어받아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함. 저서에 《대학연의(大學衍義)》ㆍ《서산집(西山集)》이 있음.
1178~1235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진도(珍島)
전라남도 서남단 해남반도(海南半島)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 사적으로 용장산성(龍藏山城)ㆍ남도석성(南挑石城)ㆍ운림산방(雲林山房)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의 대표적 민요인 ‘진도아리랑’의 발상지.
전라도>진도 , 지명>행정지명
-
진돈(陳焞)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와 의례(儀禮)에 관해 문답한 바 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진동(陳東)
중국 송(宋) 나라 흠종(欽宗)~고종(高宗) 때의 문신이자 우국지사(憂國之士). 흠종 때 태학생(太學生)으로서 글을 올려 채경(蔡京)ㆍ동관(童貫) 등 6인의 복주(伏誅)를 청하였고, 고종이 남도(南渡)한 뒤에는 이강(李綱)의 유임을 청하는 상소를 올렸는데, 이 일로 인하여 구양철(歐陽澈)과 함께 죽임을 당함.
1086~1127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득(陳得)
중국 명(明) 나라의 역승(驛丞). 산해관(山海關) 천안역(遷安驛)의 역승(驛丞)을 지냄. 홍귀달(洪貴達)의 《허백정집(虛白亭集)》에 그에게 준 시가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등(陳登)
중국 후한(後漢)~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문신. 지모가 출중하고 해박한 지식을 지녔으며 광릉 태수(廣陵太守)와 동성 태수(東城太守)를 지냄. 자신을 크게 자부하여 손님은 아래에 있는 침대에서 자게 하고 자신은 위에 있는 큰 침대에 누웠다 함.
중국>삼국시대ㅣ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진락당집(眞樂堂集)
조선 명종(明宗) 때의 학자인 김취성(金就成)의 문집. 동생 김취문(金就文)의 문집인 《구암집(久菴集)》과 합간되었다가 1791년(정조 15)에 따로 떼어내어 간행됨.
179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