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각(林恪)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고제자(高弟子)로, 절강성(浙江省) 태주(台州) 천태현(天台縣) 사람.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임각(林珏)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임희무(林希茂)의 아버지로, 기자전 참봉(箕子殿參奉)을 지냄.
1490~156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임간(任幹)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공조 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로, 종묘서 영(宗廟署令)을 지냄.
1496~154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간록(林間錄)
중국 송(宋) 나라 휘종(徽宗)~흠종(欽宗) 때의 시승(詩僧) 혜홍(惠洪)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임강사(臨江寺)
경상도 안동(安東)의 도산(陶山) 하류 쪽에 있던 사찰.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 이현보(李賢輔)가 우거(寓居)하면서 이황(李滉) 등과 교류하던 곳.
경상도>예안 , 유적>건물>사찰
-
임강서원(臨江書院)
조선 인조(仁祖) 때 경기도(京畿道) 장단(長湍)에 건립된 서원. 1694년(숙종 22)에 사액되고, 안향(安珦)ㆍ이색(李穡)ㆍ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을 배향함.
1643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장단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건(任楗)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豐川). 임유겸(任由謙)의 아들이며 송당(松堂) 박영(朴英)의 문인으로, 형조 정랑(刑曹正郞) 등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견미(林堅味)
고려 공민왕(恭愍王)~우왕(禑王) 때의 무신. 홍건적(紅巾賊)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하여 1등 공신이 되고, 경복흥(慶復興) 일당을 숙청함. 문하시중(門下侍中) 등을 지내면서 이인임(李仁任)과 함께 전횡을 일삼다가 최영(崔塋)ㆍ이성계(李成桂)에게 살해됨.
?~1388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무신
-
임경업(林慶業)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무신. 본관은 평택(平澤).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로서 명군(明軍) 총병(總兵)으로 청(淸) 나라를 공격하다가 포로가 되었으며, 송환된 뒤 친국(親鞫)을 받던 중 김자점(金自點)에 의해 장살(杖殺)됨.
1594~1646 한국>조선후기 , 강원도>원주 , 인명>관인>무신
-
임계영(任啓英)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장흥(長興). 임진왜란 때 박광전(朴光前)ㆍ최경회(崔慶會) 등과 의병활동을 펼쳐 크게 활약함. 진보 현감(眞寶縣監) 등을 지냄.
1528~1597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관인>문신
-
임계유고(林溪遺藁)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ㆍ문인인 유호인(兪好仁)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임계중(任繼重)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곡성(谷城). 김안국(金安國)ㆍ김정국(金正國) 등과 교유하고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역임하였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연천(漣川)으로 낙향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함.
1481~1543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연천 , 인명>관인>문신
-
임고서원(臨皐書院)
조선 명종(明宗) 때 경상도 영천(永川)에 건립된 서원. 정몽주(鄭夢周)ㆍ장현광(張顯光)ㆍ황보인(皇甫仁) 등을 배향함.
1553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공준(林公俊)
조선 전기의 아전.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그를 위해 지은 만시(挽詩)가 《하서전집(河西全集)》에 보임. 좌수(座首)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인명>관인>아전
-
임광재(任光載)
조선 예종(睿宗)의 부마. 예종의 장녀 현숙공주(顯肅公主)의 남편으로, 성종(成宗)이 총애하여 상사(賞賜)와 어찰(御札)을 하루도 빠짐없이 내렸으나, 뒤에 기생 관계의 일로 귀양보내짐.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왕실>인척
-
임구(任球)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풍산군(豊山君) 임덕유(任德裕)의 아들로, 첨지문하부사(僉知門下府事)를 지냄.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국로(任國老)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임명필(任明弼)의 손자이며 임몽정(任蒙正)의 아버지. 이조 참판(吏曹參判) 재임시 기축옥사(己丑獄死)에 연루되어 파직되었으나 재기용되어 대사헌(大司憲) 등을 지냄.
1537~160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권(任權)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김안로(金安老)의 폐정(弊政)을 논박하다가 파직되고, 김안로가 실각한 후 등용되어 좌참찬(左參贊)을 지냄.
1486~1557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길수(林吉秀)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임형수(林亨秀)의 동생으로 송강(松江) 정철(鄭澈)과 교유했으며, 고흥 현감(高興縣監)을 지냄.
1529~?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내신(任鼐臣)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중종실록(中宗實錄)》편찬에 참여함. 예조 참의(禮曹參議)ㆍ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를 지냄.
1512~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