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원준(任元濬)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經史)와 의학(醫學)에도 정통했음. 성종(成宗) 즉위 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서하군(西河君)에 봉해졌으나, 중종반정(中宗反正) 후 아들 임사홍(任士洪)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
1423~1500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임유(任瀏)
조선 연산군(燕山君)~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낸 임팽손(任彭孫)의 아들로, 1501년(연산군 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 등을 지냄.
1453~1528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유겸(任由謙)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사은부사(謝恩副使)로 명(明) 나라에 가서 조선 표류민을 데려오는 교섭을 담당함. 《성종실록(成宗實錄)》과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편찬에 참여함.
1456~1527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유무(林惟茂)
고려 원종(元宗) 때의 무신. 본관은 진주(鎭州). 권신 임연(林衍)의 아들. 원종(元宗)을 폐하고 안경공 창(安慶公淐)을 즉위시켰는데, 몽고의 압력에 따라 원종은 복위되고 자형인 대장군 최종소(崔宗紹)와 함께 저자에서 살해됨.
?~1270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진천 , 인명>관인>무신
-
임자(任孜)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문인. 소식(蘇軾)의 문인으로 관직은 광록시 승(光祿寺承)에 이름.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자송(任子松)
고려 충숙왕(忠肅王)~충혜왕(忠惠王)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어사(御史) 임주(任澍)의 아들로, 1342년(충혜왕 복위 3) 조적(曺頔)의 난 때 왕을 호종(扈從)한 공으로 1등공신의 호를 받음.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적(林頔)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안동(安東). 유학 임수정(林秀亭)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남양 , 인명>문사>유학
-
임적(林積)
조선 전기의 유학. 그의 아버지의 요청으로 점필재(佔畢齋) 김종직(金宗直)이 이름과 자(字)를 지어준 내용이 《점필재집(佔畢齋集)》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정신(任鼎臣)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몰락한 신진사류(新進士類)로서 김안국(金安國)ㆍ엄용순(嚴用順) 등과 더불어 낙향하여 경기도 이천(利川)에 있는 육괴정(六槐亭)에서 시회(詩會)와 학문을 강론(講論)함.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이천 , 인명>문사>유학
-
임제(林悌)
조선 선조(宣祖) 때의 시인ㆍ문신. 성운(成運)의 문인으로, 예조 정랑(禮曹正郞)ㆍ지제교(知製敎)를 지냄. 동서(東西)의 당파싸움을 개탄(慨歎)하여 벼슬을 버리고 명산을 유람하며 문장가로 명성을 떨침.
1549~158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임제정종기(臨濟正宗記)
중국 송(宋) 나라의 승려인 종고(宗杲)의 저서.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임제종(臨濟宗)
중국 불교 선종(禪宗)의 한 종파. 혜능(慧能)으로부터 희운(希運) 등을 거쳐 의현(義玄)에 이르러 일가를 이룸.
854 중국>당 , 중국 , 사상>이론>교리
-
임주(任柱)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풍천(豊川).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 임내신(任鼐臣)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문사>유학
-
임주(任澍)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무신. 본관은 풍천(豊川). 임자송(任子松)의 아버지로, 감문위대장군(監門衛大將軍) 등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무신
-
임중신(任重臣)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임권(任權)의 아들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진강(臨津江)
강원도 법동(法洞) 두류산에서 발원, 남류(南流)하여 한강(漢江)으로 흘러드는 강 이름.
경기도>연천 , 지명>자연지명
-
임진왜란(壬辰倭亂)
조선 선조(宣祖)때 우리 나라를 침입한 일본과의 전란. 1592년(선조 25)부터 시작되었으며, 해상에서 이순신(李舜臣)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육상에서 이일(李鎰)ㆍ신립(申砬) 등이 패하여 선조가 의주로 파천함. 명(明) 나라의 원병과 권율(權慄)의 활약으로 화의했으나, 일본은 1597년(선조 30)에 재침략하여 다음해에 물러감.
1592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임천(林川)
충청남도 부여(扶餘) 일대에 속하는 옛 고을 이름.
충청도>부여 , 지명>자연지명
-
임천령(林千齡)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선산(善山). 충순위(忠順衛) 임우형(林遇亨)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해남 , 인명>문사>유학
-
임천서원(臨川書院)@안동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안동(安東)에 건립된 서원. 1618년(광해군 10)에 사액서원이 되고,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없어졌다가 1908년에 복원됨. 김성일(金誠一)이 배향됨.
1607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안동 , 유적>건물>서원,향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