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천서원(臨川書院)@진주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건립된 서원. 강응태(姜應台)ㆍ이준민(李俊民)ㆍ성여신(成汝信)을 배향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추(任樞)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공조 판서(工曹判書) 임유겸(任由謙)의 아들. 호조 참판(戶曹參判) 등을 지내고, 동지사(冬至使)로 명(明) 나라에 파견되었다가 순직함.
1482~153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춘(林椿)
고려 의종(毅宗)~명종(明宗) 때의 문인. 예천임씨(醴泉林氏)의 시조. 무신정변(武臣政變) 때 온 집안이 화를 당해 시와 술로 세월을 보냄. 강좌칠현(江左七賢)의 한 사람으로 시문에 뛰어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예천 , 인명>문사>문인
-
임팔급(林八及)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 때의 문신. 한림 학사(翰林學士)를 지내다가 간신들의 참소가 있자 8학사 중 한 사람으로 우리 나라에 들어와 평택(平澤)에 정착하여, 평택임씨(平澤林氏)의 도시조(都始祖)가 됨.
중국>당 , 중국ㅣ충청도>평택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임팽손(任彭孫)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버지로, 한성 판관(漢城判官)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철원 , 인명>관인>문신
-
임포(林逋)
중국 송(宋) 나라의 은자(隱者). 항주(抗州)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초막을 짓고 20년 동안 출입하지 않은 채 매화를 가꾸고 학을 기르면서 독신으로 살았음.
967~1028 중국>송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임필형(任弼亨)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훈련원 부정(訓練院副正)을 지낸 임류(任瀏)의 아들로, 1525년(중종 20)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감사(監司)를 지냄.
1493~?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항(任恒)
조선 전기의 유학. 간우(侃于) 임박(任博)과 함께 무릉도인(武陵道人) 주세붕(周世鵬)과 시를 수창하며 교유한 내용이 《무릉잡고(武陵雜稿)》에 보임.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임해(林畡)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으로, 부제학을 지낸 임형수(林亨秀)의 백부. 1504년(연산군 10)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부정(副正)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해군(臨海君)
조선 제14대 선조(宣祖)의 첫째 서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왜군의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됨. 동생 광해군(光海君)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유배되었다가 죽음.
1574~160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자
-
임현(任鉉)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의 문인.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남원 부사(南原府使)가 되어 명(明) 나라 장수 양원(楊元)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
1549~1597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풍천 , 인명>관인>문신
-
임형수(林亨秀)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호당(湖堂)에 있을 때 이황(李滉)ㆍ김인후(金麟厚)와 교유함. 양재역 벽서사건(良才驛壁書事件)이 일어나자 대윤(大尹) 일파로 몰려 사사(賜死)됨.
1504~1547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임호서원(臨湖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함창(咸昌)에 건립한 서원. 표연말(表沿沫)ㆍ채수(蔡壽)ㆍ홍귀달(洪貴達)ㆍ권달수(權達手)ㆍ채무일(蔡無逸)을 배향함.
158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창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임호신(任虎臣)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대사간(大司諫) 임추(任樞)의 아들. 형조 판서(刑曹判書)ㆍ호조 판서(戶曹判書)ㆍ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등을 지내고, 정미약조(丁未約條)의 체결을 반대함.
1506~155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임회(林檜)
조선 광해군(光海君)~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평택(平澤). 정철(鄭澈)의 문인이자 사위이며 임길수(林吉秀)의 아들. 광주 목사(廣州牧使) 등을 지냈으나 이괄(李适)의 난 때 경안역(慶安驛) 전투에서 전사함.
1562~1624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평택 , 인명>관인>문신
-
임회(林誨)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 광주 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하였고, 임억령(林億齡)ㆍ백광훈(白光勳)ㆍ유희춘(柳希春)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남평 , 인명>관인>문신
-
임훈(林薰)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장악원 정(掌樂院正) 등을 지내고, 1582년(선조 15)에 장례원 판결사(掌隸院判決事)에 임명되었으나 사퇴하고 낙향함.
1500~158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안음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임흥(任興)
조선 성종(成宗) 때의 문신. 장악원(掌樂院)의 직장(直長)과 주부(主簿)를 역임함. 어려서부터 음악을 배워서 관현(管絃)에 조예가 깊었고, 특히 거문고에 능했음.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예술인>음악인ㅣ인명>관인>문신
-
임희무(林希茂)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회진(會津). 조식(曺植)의 문인으로, 좌승지ㆍ밀양 군수 등을 지냄. 1552년(명종 7) 강익(姜翼)ㆍ정복현(鄭復顯) 등과 함께 함양(咸陽)에 정여창(鄭汝昌)을 배향한 남계서원(灆溪書院)을 세움.
1527~157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함양 , 인명>관인>문신
-
임희일(林希逸)
중국 송(宋) 나라 이종(理宗)~도종(度宗) 때의 문신ㆍ학자. 한림학사(翰林學士)ㆍ요주 태수(饒州太守)ㆍ중서사인(中書舍人) 등을 지냈으며, 《장자(莊子)》에 대한 주석서인 《구의(口義)》를 저술함.
1193~1270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