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임희재(任熙載)
조선 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풍천(豊川)으로, 무오사화(戊午士禍)ㆍ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킨 임사홍(任士洪)의 아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 갑자사화 때 죽음을 당함. 서예에 능했고 특히 송설체(松雪體)를 잘 썼음.
1472~1504 한국>조선전기 , 황해도>풍천 , 인명>예술인>서화가ㅣ인명>관인>문신
-
입암집(立巖集)@민제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민제인(閔齊仁)의 문집. 아들 민사안(閔思安)이 안정 현령(安定縣令)으로 있을 때 손자인 민여경(閔汝慶)이 편차하여 간행하고, 이후 몇 차례 개간(改刊)됨. 목판본. 총 6권 4책.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풍기 , 문헌>서명
-
입암집(立巖集)@유중영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인 유중영(柳仲郢)의 문집.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입재고(立齋稿)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인 노흠(盧欽)의 문집. 외손(外孫) 임곡림(林谷林)이 수집하여 류심춘(柳尋春)이 교정하고, 현재는 《광주노씨세고(光州盧氏世稿)》에 수록되어 전함.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입택총서(笠澤叢書)
중국 당(唐) 나라의 시인ㆍ학자인 육귀몽(陸龜蒙)의 저서. 총4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입학도설(入學圖說)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종(太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권근(權近)의 저서. 성리학(性理學)의 기본원리를 그림을 붙여 설명한 책으로, 김이음(金爾音)에 의해서 진양(晋陽)에서 처음 간행됨.
1397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문헌>서명
-
자각(慈覺)
고려 후기의 승려. 순비허씨(順妃許氏)가 충선왕(忠宣王)에게 재가하기 전 낳은 아들 중 둘째. 속세를 벗어나 연하(煙霞)에 뜻을 두었고, 덕망이 높은 스님들의 존숭을 받아 선사(禪師)로 불리면서 이름을 크게 떨침.
한국>조선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종교인>승려ㅣ문헌>서명
-
자계문고(滋溪文稿)
중국 원(元) 나라 인종(仁宗)~순제(順帝) 때의 문신ㆍ문인인 소천작(蘇天爵)의 저서. 저자가 강절행성참지정사(江浙行省參知政事)로 있을 때 지은 것을, 갈원철(葛元哲)이 편집함. 총30권.
중국>원 , 중국 , 문헌>서명
-
자계서원(紫溪書院)
조선 선조(宣祖) 때 경상도 청도(淸道)에 건립된 서원. 1661년(현종 2)에 사액되고, 김극일(金克一)ㆍ김일손(金馹孫) 등을 배향함.
157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청도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자덕대부(資德大夫)
고려시대 문관의 종2품 품계(品階). 1362년(공민왕 11) 문반(文班)의 관계를 개정할 때 종2품을 봉익대부(奉翊大夫)라 하던 것을, 1369년(공민왕 18) 상하(上下)로 나누어 상을 영록대부(榮祿大夫), 하를 자덕대부라 함.
1369 한국>고려후기 , 법제>관직
-
자비마립간(慈悲麻立干)
신라 제20대 왕. 재위 458~479. 눌지마립간(訥祗麻立干)의 맏아들. 459년 왜병이 공격해 와 월성(月城)을 에워싸자 군사를 정비하여 이를 격퇴함.
?~479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자서(子西)
중국 춘추전국시대 초(楚) 나라 소왕(昭王) 때의 재상. 영윤(令尹)을 지냄.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자성광헌조황후(慈聖光獻曹皇后)
중국 송(宋) 나라 인종仁宗)의 비(妃). 곽후(郭后)가 폐비되면서 황후(皇后)로 책봉되고, 영종(英宗) 즉위 후 수렴청정(垂簾聽政)을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자암집(紫巖集)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인 이민환(李民寏)의 문집. 7권 2책. 목판본. 증손(曾孫)인 이수태(李秀泰)가 수집ㆍ정리하고, 이광정(李光庭)이 교정하여 간행함.
1741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암집(自菴集)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서예가인 김구(金絿)의 시문집(詩文集). 2권 1책. 목판본.
1659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문헌>서명
-
자운서원(紫雲書院)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 경기도 파주(坡州)에 세운 서원. 1650년(효종 1)에 사액되었으며 이이(李珥)ㆍ김장생(金長生)ㆍ박세채(朴世采) 등을 배향함.
1615 한국>조선후기 , 경기도>파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자의상강(字義詳講)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진순(陳淳)의 저서. 성리학의 개념과 범주를 해설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자장(慈藏)
신라 선덕여왕(善德女王)~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 때의 고승. 636년(선덕여왕 5)에 당(唐) 나라에서 귀국하여, 분황사(芬皇寺) 대국통(大國統)을 지내며 불교 교단의 기강 확립에 주력함. 통도사(通度寺)의 금강계단(金剛戒壇)을 쌓고, 월정사(月精寺)ㆍ백담사(百潭寺) 등 1백여 개의 사찰을 창건한 것으로 전함. 저서에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ㆍ《관행법(觀行法)》등이 있음.
590~658 한국>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종교인>승려
-
자지록(資知錄)
조선 영조(英祖) 때의 학자인 황윤석(黃胤錫)의 저서. 천문(天文)에 대한 이해를 서술함. 1942년에 후손 황서구(黃瑞九)가 《양금신보(梁琴新譜)》와 함께 수필본(手筆本)을 합본하여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함.
1942 한국>근대 , 문헌>서명
-
자초(自超)
고려 충혜왕(忠惠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고승. 소지선사(小止禪師)의 제자로 구족계를 받고, 혜명국사(慧明國師)에게서 불법을 배움. 나옹(懶翁) 혜근(惠勤)의 수제자로 조선 개국 후 왕사(王師)가 됨.
1327~1405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합천 , 인명>종교인>승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