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장녹수(張綠水)
조선 제10대 연산군(燕山君)의 후궁. 제안대군(齊安大君)의 여종이었는데 연산군의 눈에 들어 입궐하여 총애를 받았고, 이를 기화로 국사(國事)에 간여하고 재정의 궁핍을 초래하는 등 연산군의 실정(失政)을 부추김.
?~1506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왕실>후궁
-
장담(張湛)@조선
조선 태조(太祖)~정종(定宗) 때의 무신. 조선 건국에 공이 있어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사공신(定社功臣)에 책록되었으나, 제2차 왕자의 난 때에는 이방간(李芳幹)을 도운 죄로 파직된 뒤 장형(杖刑)을 받고 죽었음.
?~1400 한국>조선전기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무신
-
장담(張湛)@후한
중국 후한(後漢) 때의 사람. 사람됨이 예를 좋아하여 행동거지에 법도가 있었고, 광무제(光武帝) 때 조정에 들어가 황제가 나태한 모습을 보이면 곧바로 간하였으며, 항상 백마를 타고 다녔다고 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대서원(藏待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경상도 의성(義城)에 세운 서원. 김광수(金光粹)ㆍ신원록(申元祿)ㆍ신지제(申之悌)ㆍ이민성(李民宬)을 배향함.
167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의성 , 유적>건물>서원,향교
-
장덕두황후(章德竇皇后)
중국 후한(後漢)의 제3대 장제(章帝)의 비(妃). 장제가 죽고 화제(和帝)가 즉위하자 섭정하고, 후에 오빠 두헌(竇憲)과 반란을 꾀함.
중국>후한 , 중국 , 인명>왕실>왕비
-
장도릉(張道陵)
중국 후한(後漢) 말기의 도사(道士). 오두미도(五斗米道)로 알려진 최초의 도교(道敎) 교단 천사도(天師道)의 창시자. 천인(天人)이 내리는 도(道)를 받고 사람들의 병을 잘 고쳤으므로, 많은 신자를 얻어 천사(天師)라 불림.
?~156 중국>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장돈(章惇)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왕안석(王安石)의 신법을 지지하여 그의 정책을 계승한 신법당(新法黨)의 일원으로, 사마광(司馬光) 계열의 구법당(舊法黨)과 정책적으로 대결함.
1035~1106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장동문(章同聞)
중국 명(明) 나라의 은자. 조선 태종(太宗) 때 사신으로 온 통정시 승(通政寺丞) 장근(章謹)의 숙부로, 채석강(采石江) 기슭에 징심암(澄心菴)을 지어 은거함. 장근의 청으로 하륜(河崙)ㆍ권근(權近)ㆍ변계량(卞季良) 등이 시(詩)와 서(序)를 지어 보냄.
중국>명 , 중국 , 인명>기타인명>은자
-
장두백전(杖頭百錢)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완수(阮脩)가 외출할 때면 언제나 지팡이 끝에다 돈 1백 전을 걸고 나가 주점(酒店)에 이르러 혼자 즐기며 마셨던 데서 온 고사성어로, 술 살 돈을 말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사상>술어>고사성어
-
장량(張良)
중국 한(漢) 나라 고조(高祖) 때의 공신. 유방(劉邦)에게 적재의 간언을 올려 항우(項羽)를 제압하고 한(漢) 왕조를 여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 말년에 유방의 시의심(猜疑心)을 알아채고 적송자(赤松子)처럼 은거함.
?~B.C.168 중국>전한ㅣ중국>진 , 중국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렬왕후(莊烈王后)
조선 제16대 인조(仁祖)의 계비(繼妃). 본관은 양주(楊州)로,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 조창원(趙昌遠)의 딸. 효종(孝宗)과 인선왕후(仁宣王后)가 죽자 예송(禮訟) 논쟁에 휘말림. 능은 휘릉(徽陵).
1624~1688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왕실>왕비
-
장뢰(張耒)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 시문(詩文)에 능하고, 저서로 《양한결의(兩漢決疑》ㆍ《시설(詩說)》등이 있음.
1052~111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륙(張陸)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24년(중종 19) 별시(別試)에 등과하여 창수(倉守) 등을 역임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금구 , 인명>관인>문신
-
장릉지(莊陵誌)
조선 숙종(肅宗) 때 박경여(朴慶餘) 등이, 단종(端宗)의 사적 기록을 모아 편찬한 윤순거(尹舜擧)의 《노릉지(魯陵誌)》에 속지(續誌)를 증보하여 간행한 책.
1711 한국>조선후기 , 문헌>서명
-
장만(張晩)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591년(선조 24)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팔도 도원수(八道都元帥)ㆍ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등을 지냄. 1624년(인조 2)에 이괄(李适)의 난을 진압한 공으로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록됨. 저서로 《낙서집(洛西集)》이 있음.
1566~1629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말손(張末孫)
조선 세조(世祖)~성종(成宗) 때의 문신. 본관은 인동(仁同). 1459년(세조 5)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해주 목사(海州牧使)ㆍ예조 참판(禮曹參判) 등을 지냄. 1467년(세조 12)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적개공신(敵愾功臣)에 녹훈되고, 권율(權慄)ㆍ조극치(曺克治)ㆍ채신보(蔡申保) 등과 교유함.
1431~1486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인동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장말익(張末翼)
고려 정종(靖宗) 때의 문신. 호부 상서(戶部尙書)ㆍ삭방도 안렴사(朔方道按廉使) 등을 지내고, 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증직됨. 울진부원군(蔚珍府院君)으로 봉해지고, 울진장씨(蔚珍張氏)의 시조(始祖)가 되어 월계서원(月溪書院)에 배향됨.
한국>고려전기 , 강원도>울진 , 인명>관인>문신
-
장맹희(張孟禧)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상의원 정(尙衣院正)을 지낸 장충보(張忠輔)의 아버지로, 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기도>풍덕 , 인명>관인>문신
-
장무(章懋)
중국 명(明) 나라의 문신ㆍ학자. 남경 국자감 좨주(南京國子監祭酒) 등을 지내고, 저서로 《풍산어록(楓山語錄)》ㆍ《풍산집(楓山集)》 등이 있음.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장문(張問)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정의대부(正議大夫) 등을 역임하였으며, 장수인(長壽人) 13명과 모여 기영회(耆英會)를 만들었음.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