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전약수(錢若水)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 때의 문신. 공부 시랑(工部侍郞)을 지냈으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은퇴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함.
960~1003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여(展輿)
중국 춘추전국시대 거(莒) 나라의 공자(公子). 재위 B.C.542~B.C.541. 제(齊) 나라의 도움을 얻은 거거질(莒去疾)에게 토벌되어 오(吳) 나라로 도망감.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영(田嬰)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장군. 위왕(威王)의 아들이자 맹상군(孟嘗君)의 아버지로, 위(魏) 나라의 군사를 대패시키는 등 제 나라를 강성하게 하는 데 공헌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무신
-
전영발(田穎發)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인 전유추(田有秋)의 아버지로, 임진왜란 때 창의사(倡義使)로서 활동함.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전영자(田令孜)
중국 당(唐) 희종(僖宗)~소종(昭宗) 때의 환관. 황소(黃巢)의 난을 피해 희종을 따라 촉(蜀)으로 갔다가 환도(還都)한 뒤 공을 인정받아 권세를 떨쳤으나, 소종(昭宗)이 즉위한 뒤에 아들로 삼았던 왕건(王建)에게 피살됨.
중국>당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전오륜(全五倫)
고려 공양왕(恭讓王)~조선 초의 문신ㆍ은자. 본관은 정선(旌善). 관직에 나아가 우상시(右常侍)ㆍ형조 판서(刑曹判書) 등을 역임했으나, 고려가 망하자 두문동(杜門洞)에 들어갔다가 후에 서운산(瑞雲山)에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ㅣ강원도>정선 , 인명>기타인명>은자ㅣ인명>관인>문신
-
전완(田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 환공(桓公) 때의 경대부. 진(陳)의 공자(公子)로서 제 나라에 망명하여 환공을 섬겨 경(卿)이 되고, 뒤에 전(田)으로 성을 바꿈.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경대부
-
전욱(顓頊)
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三皇五帝) 중의 한 사람. 황제(黃帝)의 손자이며 창의(昌意)의 아들로,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明君)으로 이름이 높았음.
고대 , 중국 , 인명>기타인명>기타인물
-
전유연(錢惟演)
중국 송(宋) 나라 태종(太宗)~인종(仁宗) 때의 문신ㆍ문인.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 전숙(錢俶)의 둘째 아들로, 한림학사(翰林學士)ㆍ공부 시랑(工部侍郞) 등을 지내고, 시(詩)와 사(詞)에 능했음.
962~1034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전유추(田有秋)
조선 광해군(光海君)~현종(顯宗) 때의 학자.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영발(田穎發)의 아들. 장흥(長興)의 감호(甘湖)에 은거하여 평생 후학 교육에 힘썼으며, 감호사(鑑湖祠)에 배향됨.
1594~1674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장흥 , 인명>문사>학자
-
전은로(全銀輅)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전한(全翰)의 조부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전의(全義)
충청남도 연기(燕岐) 일대에 속하는 고을 이름.
충청도>전의 , 지명>행정지명
-
전의(田毅)
고려 후기의 문신. 의종(毅宗)~고종(高宗) 때의 승려 지겸(志謙)의 아버지로, 검교태자첨사(檢校太子詹事)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문신
-
전조생(田祖生)
고려 충숙왕(忠肅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으로, 전희경(田希慶)의 셋째 아들. 1336년(충숙왕 복위5) 과거에 급제하고 찬성첨의부사(贊成僉議府事) 등을 지냈으나, 충정왕(忠定王)이 선위한 후 그를 호종하여 이후에는 벼슬에 나아가지 않음.
1318~1392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전좌명(田佐命)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좌랑(佐郞) 등을 역임하였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정려(旌閭)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인명>관인>문신
-
전주유씨(全州柳氏)
문화유씨(文化柳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으로, 유차달(柳車達)을 시조로 삼고 고려 말에 완산백(完山伯)에 추봉된 유습(柳濕)을 일세조(一世祖)로 하는 성씨.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주이씨(全州李氏)
신라 때 사공(司空)을 지낸 이한(李翰)을 시조로 하는 성씨. 조선시대의 국성(國姓).
한국>신라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주최씨(全州崔氏)
고려시대의 인물인 최순작(崔純爵)ㆍ최군옥(崔群玉)ㆍ최균(崔均)ㆍ최아(崔阿)를 각각의 시조로 삼아, 동본이면서도 계보를 달리하는 네 계통을 아울러 일컫는 성씨.
한국>고려전기 , 전라도>전주 , 인명>집단>성씨
-
전찬(全纘)
조선 전기의 유학.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시에 뛰어났음.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용궁 , 인명>문사>유학
-
전충효(全忠孝)
조선 후기의 서화가.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서화가인 조속(趙涑)의 제자로, 스승의 사의적(寫意的)인 수묵화조화풍(水墨花鳥畵風)을 따른〈수작도(水鵲圖)〉등이 전함.
한국>조선후기 , 인명>예술인>서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