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전치원(全致遠)
조선 명종(明宗)~선조(宣祖) 때의 학자ㆍ의병장. 본관은 완산(完山). 황강(黃江) 이희안(李希顔)과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淸溪書院)을 창건했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草溪)에서 의병으로 활동함.
1527~1596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
-
전칠자(前七子)
중국 명(明) 나라 효종(孝宗)~무종(武宗) 때인 홍치(弘治)ㆍ정덕(正德) 연간에 고문사설(古文辭說)을 주창한 7명의 문인. 이몽양(李夢陽)ㆍ하경명(何景明)ㆍ서정경(徐禎卿)ㆍ변공(邊貢)ㆍ강해(康海)ㆍ왕구사(王九思)ㆍ왕정상(王廷相) 등을 가리킴.
중국>명 , 중국 , 인명>집단>기타집단
-
전탄부(全坦夫)
고려 후기의 문신. 벼슬이 중군 녹사(中軍錄事)에 이름. 원수(元帥) 막부(幕府)의 보좌관이 되어 국경을 침범한 거란족을 토벌하던 중 전사함. 사(詞)에 뛰어났으며 이규보(李奎報)가 애사(哀詞)를 지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전하(田何)
중국 전한(前漢)의 역학자. 동무(東武)의 손우(孫虞)에게 주역을 배워 동무의 왕동(王同), 낙양(雒陽)의 주왕손(周王孫)ㆍ정관(丁寬), 제(齊)의 복생(服生) 등에게 전수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전한(全翰)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경산(慶山)으로, 군자감 직장(軍資監直長)을 지낸 전은로(全銀輅)의 손자.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ㆍ사옹원 정(司饔院正)ㆍ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 등을 지냄.
1488~154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산 , 인명>관인>문신
-
전해고문진보지(箋解古文眞寶誌)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인 강회중(姜淮仲)의 저서. 우리나라에서 《고문진보(古文眞寶)》에 대해 이루어진 연구 업적 중 초기적인 것으로 알려짐.
한국>조선전기 , 문헌>서명
-
전화(田和)
중국 춘추전국시대 제(齊) 나라의 제후. 재위 B.C.386~B.C.384. B.C.391년에 강공(康公)을 몰아내고 스스로 군위(君位)에 올라 B.C.386년에 주(周) 천자로부터 제후로 인정받음. 이 일로 제 나라 제후의 성이 바뀌었다 하여 일명 '전씨대제(田氏代齊)'로 불림.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전황(田況)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 지성도부(知成都府)를 지낼 때 촉(蜀)에서 일어난 이순(李順)ㆍ왕균(王均)의 난(亂)을 잘 다스려 백성들이 널리 칭송함.
중국>송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전희경(田希慶)
고려 충숙왕(忠肅王)~충정왕(忠定王) 때의 문신. 본관은 담양(潭陽). 고려 말의 문인 전귀생(田貴生)과 문신 전녹생(田祿生)의 아버지로, 첨의 사인(僉議舍人) 등을 지냄.
1299~1350 한국>고려후기 , 전라도>담양 , 인명>관인>문신
-
절^광(浙^廣)
중국 남동부의 해안에 있는 절강성(浙江省)과 남부의 해안에 있는 광동성(廣東省)을 함께 부르는 말. 해안에 연해 있는 지역을 가리킴.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절강성(浙江省)
중국 남동부의 동중국해 연안에 있는 고을 이름.
중국 , 지명>행정지명
-
절양류곡(折楊柳曲)
중국 남북조시대 진(晉) 나라 때 정남장군(征南將軍) 환이(桓伊)가 지은 악부(樂府). 버들가지를 꺾으면서 이별하는 아쉬운 정을 노래함.
중국>남북조시대 , 중국 , 문헌>작품명
-
절전(絶傳)
고려 후기의 승려. 이색(李穡)의 《목은고(牧隱藁)》에 송서(送序)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인명>종교인>승려
-
절효집(節孝集)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서적(徐積)의 저서. 효행(孝行)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졌던 저자의 사상과 학문이 반영된 저서로 총 30권으로 구성됨.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점필재집(佔畢齋集)
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김종직(金宗直)의 시문집(詩文集). 무오사화(戊午士禍)로 인하여 대부분의 저서가 불타버린 까닭에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수록되어 있지 않음.
1520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선산 , 문헌>서명
-
정^두(井^斗)
이십팔수(二十八宿) 가운데 정성(井星)과 두성(斗星)을 함께 부르는 말. 두성은 북두칠성(北斗七星)이며, 정성은 이십팔수의 스물두 번째 별자리로 주성(主星)은 쌍둥이자리에 있는 별.
자연물>기타자연물
-
정^여(鼎^呂)
중국 하(夏) 나라의 제왕인 우(禹)가 만든 구정(九鼎)과 주(周) 나라 종묘에 있던 큰 종인 대려(大呂)를 함께 부르는 말. 귀중한 보물(寶物)로, 높은 지위(地位)나 명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주ㅣ중국>하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요(定^遼)
중국 요녕성(遼寧省) 남동부(南東部) 일대에 걸친 요동(遼東)과, 하북성(河北省) 보정부(保定府)의 정흥(定興)을 함께 부르는 말.
중국 , 지명>기타지명
-
정^장(程^張)
중국 송(宋) 나라의 문신ㆍ학자인 정호(程顥) 또는 정이(程頤)와 장재(張載)를 함께 부르는 말. 장재는 정호ㆍ정이의 제자로 유학(儒學)의 기초를 세움.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주(程^周)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와 주돈이(周敦頤)를 함께 부르는 말. 또는 정이(程頤)와 주돈이를 함께 부르는 말로도 쓰임. 성리학(性理學)을 발달시킨 대표적인 학자나 성리학 그 자체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