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주(程^朱)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호(程顥)와 주희(朱熹)를 함께 부르는 말. 또는 정이(程頤)와 주희를 함께 부르는 말로도 쓰임. 성리학(性理學)을 발달시킨 대표적인 학자나 성리학 그 자체를 가리킴.
중국>송 , 중국 , 사상>술어>관용어
-
정^퇴(靜^退)
조선 중종(中宗) 때의 학자인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와 퇴계(退溪) 이황(李滉)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예안ㅣ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정^효(靖^孝)
조선 제11대 중종(中宗)의 능호(陵號)인 정릉(靖陵)과, 제12대 인종(仁宗)의 능호인 효릉(孝陵)을 함께 부르는 말.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사상>술어>관용어
-
정가종(鄭可宗)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대사헌 정수홍(鄭守弘)의 아버지로, 목은(牧隱) 이색(李穡)에게 수학하였으며, 예조 판서를 지냄. 《목은고(牧隱藁)》에 그에 대한 자설(字說)이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각사(鼎角寺)
경상도 영천(永川) 모자산(母子山)에 있는 사찰. 고려 말~조선 초의 승려 혜암(慧庵)이 머물렀던 것으로 전함.
경상도>영천(永川) , 유적>건물>사찰
-
정갑선(鄭甲先)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무신 정내(鄭鼐)의 아버지로, 선략장군(宣略將軍)에 이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경주 , 인명>관인>무신
-
정갑손(鄭甲孫)
조선 태종(太宗)~문종(文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흠지(鄭欽之)의 아들. 1417년(태종 17) 식년시(式年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지형조사(知刑曹事)ㆍ좌참찬(左參贊) 등을 지냄.
?~1451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강서원(鼎崗書院)
조선 숙종(肅宗) 때 경상도 진주(晉州)에 창건한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창건하여 정온(鄭溫)ㆍ강숙경(姜叔卿) 등을 배향함.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됨.
1694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진주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강왕(定康王)
신라 제50대 왕. 재위 886~887. 경문왕(景文王)의 아들로, 형인 헌강왕(憲康王)의 뒤를 이어 즉위함. 재위기간이 짧아 별다른 치적을 남기지 못함.
?~887 한국>통일신라 , 경상도>경주 , 인명>왕실>국왕
-
정강지변(靖康之變)
중국 송(宋) 나라의 정강(靖康) 연간에 금(金) 나라 군대의 공격을 받아 수도인 개봉(開封)이 함락되어 임안(臨安)으로 도읍을 옮기게 된 사건. 휘종(徽宗)과 흠종(欽宗) 및 수많은 왕족(王族)들이 포로로 끌려감.
1126 중국>송 , 중국 , 사건>전쟁
-
정개청(鄭介淸)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고성(固城)으로,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ㆍ곡성 현감(谷城縣監) 등을 지냈으며 예학(禮學)에 뛰어나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나, 기축옥사(己丑獄事)에 연루되어 귀양가다 죽음. 저서로 《우득록(愚得錄)》이 있음.
1529~1590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무안ㅣ전라도>나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건(鄭健)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정인홍(鄭仁弘)의 작은 아버지로, 좌승지(左承旨)에 추봉됨.
1520~156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문사>유학
-
정건(鄭虔)
중국 당(唐) 나라 현종(玄宗) 때의 문신ㆍ문인. 두보(杜甫)의 벗으로 시(詩)ㆍ서(書)ㆍ화(畫)의 삼예(三藝)에 능하여 정건삼절(鄭虔三絶)로 일컬어짐. 현종이 그를 위해 광문관(廣文館)을 설치하고 박사(博士)로 임명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건(鄭謇)
조선 전기의 유학. 일찍이 주세붕(周世鵬)과 함께 서산(西山)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을 공부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경(程瓊)
중국 삼국시대 촉(蜀)~남북조시대 진(晉) 나라의 문신. 건위군(犍爲郡) 출신으로 촉한(蜀漢)에서 상서(尙書)를 지내고, 진 나라의 문신인 문립(文立)과 지기(知己)의 교유를 나눔.
중국>남북조시대ㅣ중국>삼국시대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경(鄭璟)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서산(瑞山).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인 정희익(鄭希益)의 아버지로, 숙천 부사(肅川府使)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서산 , 인명>관인>문신
-
정경(鄭褧)
조선 중종(中宗) 때의 유학. 본관은 광주(光州). 아산 현감(牙山縣監)을 지낸 정순인(鄭純仁)의 아들로, 1513년(중종 8)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문사>유학
-
정경세(鄭經世)
조선 선조(宣祖)~인조(仁祖) 때의 문신ㆍ학자. 유성룡(柳成龍)의 문인으로, 대제학(大提學)을 지냄.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하였으며, 특히 예학에 조예가 깊었음.
1563~1633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상주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경조(鄭敬祖)
조선 성종(成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하동(河東). 하동부원군(河東府院君) 정인지(鄭麟趾)의 아들로, 예조 참판(禮曹參判)ㆍ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등을 지냄.
1455~149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관인>문신
-
정계(鄭綮)
중국 당(唐) 나라 소종(昭宗) 때의 문신ㆍ문인. 헐후체(歇後體)의 해학적인 시로써 조정의 실정(失政)을 풍자하는 데 능함.
중국>당 , 중국 , 인명>문사>문인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