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계서원(程溪書院)
조선 현종(顯宗) 때 황해도 문화(文化)에 창건한 서원. 1670년(현종 11)에 지방 유림의 공의로 유관(柳寬)의 학문과 그의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였으며,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71년(고종 8)에 훼철됨.
1670 한국>조선후기 , 황해도>문화 , 유적>건물>서원,향교
-
정계준(鄭繼俊)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정윤진(鄭允禛)의 아버지.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문사>유학
-
정계증(鄭繼曾)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중종(中宗) 때의 유학인 정구(鄭球)의 아버지로, 의학 교수(醫學敎授)를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진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곡(鄭谷)
고려 말 조선 초의 유학. 박흥생(朴興生)의 《국당유고(菊堂遺稿》에 주리(朱李)와 향내(香奈)를 보내준 것에 사례한 시가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정곤(丁坤)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영광(靈光). 성종(成宗) 때의 문신ㆍ학자인 정극인(丁克仁)과 유학 정극경(丁克敬)의 아버지로, 충무시위사중령부사직(忠武侍衛司中領副司直)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영광 , 인명>관인>무신
-
정곤수(鄭崐壽)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청주(淸州).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으로, 수령을 지내면서 학문 진흥과 사풍(士風) 진작에 힘씀. 임진왜란 때 대명외교에서 큰 역할을 함.
1538~16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성주 , 인명>관인>문신
-
정공(定公)@춘추전국(등)
중국 춘추전국시대 등(滕) 나라의 제후. 문공(文公)의 아버지. 문공이 아버지 사후에 맹자에게 상장례(喪葬禮)를 자문한 일로 유명함.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공(定公)@춘추전국(노)
중국 춘추전국시대 노(魯) 나라의 25대 제후. 재위 B.C.510~B.C.495. 애공(哀公)의 아버지. 공자(孔子)를 중용하여 제(齊) 나라 경공(景公)으로부터 빼앗겼던 땅을 반환받음.
?~B.C.495 중국>춘추전국시대 , 중국 , 인명>왕실>제후
-
정공소(程孔紹)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하남(河南).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인 정광(程廣)의 아버지. 중국 사람 정이(程頤)의 후손으로 고려에 귀화하여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냄.
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개성 , 인명>기타인명>귀화인ㅣ인명>관인>문신
-
정공윤(鄭公允)
고려 후기의 유학. 본관은 하동(河東). 증손자인 정독만달(鄭禿滿達)이 원(元) 나라 인종(仁宗) 때 환관으로 공을 세워 영양군공(榮陽郡公)에 봉작됨.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문사>유학
-
정과정곡(鄭瓜亭曲)
고려 의종(毅宗) 때의 문인(文人)인 정서(鄭敍)가 동래(東萊)로 귀양 가 있을 때 임금을 생각하며 지은 십구체(十句體) 향가(鄕歌) 형식의 고려가요(高麗歌謠).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동래 , 문헌>작품명
-
정관정요(貞觀政要)
중국 당(唐) 태종(太宗)이 신하들과 정사를 논하면서 주고받은 중요한 문답을 오긍(吳兢)이 정리하여 엮은 책. 10권.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정광(程廣)
고려 말~조선 초의 문신ㆍ학자. 본래 중국 사람으로, 정이(程頤)의 후손. 공민왕(恭愍王) 때 전중판시사(殿中判寺事)를 지냈고, 정몽주(鄭夢周)ㆍ길재(吉再) 등과 교유하며 도학을 연구함. 고려가 망할 것을 예견하고 경기도 광주(廣州)에 낙향하여 은거함.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경기도>광주ㅣ경기도>개성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광보(鄭光輔)
조선 전기의 유학. 김효원(金孝元)의 《성암유고(省菴遺稿)》에 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음.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광세(鄭光世)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을 지낸 정난손(鄭蘭孫)의 아들로, 형조 판서(刑曹判書)ㆍ경기도 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지냄.
?~1514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광익(鄭光翼)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ㆍ흥덕 현감(興德縣監)을 지냄. 주세붕(周世鵬)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광정(鄭光廷)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정충려(鄭忠礪)의 아버지로, 능성 현령(綾城縣令)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광필(鄭光弼)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정난종(鄭蘭宗)의 아들.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영의정(領議政)으로 조광조(趙光祖)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로 좌천되었으며,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
1462~1538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회덕 , 인명>관인>문신
-
정교(鄭僑)@조선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청주(淸州). 강계 교수(江界敎授)를 지낸 정이청(鄭以淸)의 아버지로, 1496년(연산군 2) 생원시(生員試)에 입격했으나 연산군의 혼정(昏政)으로 낙향하여 은거함. 좌찬성(左贊成)에 추증됨.
1470~1535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문사>유학
-
정교(鄭僑)@송
중국 송(宋) 나라 효종(孝宗)~영종(寧宗) 때의 문신ㆍ학자. 사학가(史學家) 정초(鄭樵)의 족질(族侄)로, 참지정사(參知政事)ㆍ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 등을 지냄.
1132~1202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