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당(鄭澢)
조선 명종(明宗) 때의 유학. 조식(曺植)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대년(鄭大年)
조선 중종(中宗)~선조(宣祖) 때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로,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 정전(鄭荃)의 아들. 1532년(중종 27)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황해도 관찰사(黃海道觀察使)ㆍ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 등을 지냄.
1503~1578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대민(鄭大民)
조선 선조(宣祖) 때의 문신ㆍ효자. 본관은 하동(河東). 정언남(鄭彦男)의 아들이자, 정홍서(鄭弘緖)의 아버지로, 장수 현감(長水縣監) 등을 지냄. 정유재란 때 부모가 모두 살해되자 시묘(侍墓)하다가 왜적에게 죽음.
1551~1598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하동 , 인명>기타인명>효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대인(鄭大人)
중국 명(明) 효종(孝宗) 때의 문신. 안찰제조 학교부사(按察提調學校副使)를 지냄. 《표해록(漂海錄)》의 저자 최보(崔溥)가 항주(杭州)에서 만난 인물.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문신
-
정덕기(鄭德起)
중국 송(宋) 나라 영종(寧宗)~이종(理宗) 때의 유학.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성지(鄭性之)의 아들로, 1223년(영종 16)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유학
-
정덕성(丁德盛)
중국 당(唐) 나라 문종(文宗)~선종(宣宗) 때의 문신. 군국사(軍國事)로 직간(直諫)을 하다가 압해도(押海島)에 유배(流配)되어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조가 됨.
중국>당 , 중국ㅣ전라도>나주 , 인명>관인>문신
-
정덕옹(鄭德顒)
조선 광해군(光海君) 때의 유학. 박여량(朴汝樑)ㆍ박경실(朴景實) 등과 절친하게 지냈으며, 그 내용이 정인홍(鄭仁弘)의 《내암집(來庵集)》〈제박지평여량문(祭朴持平汝樑文)〉에 실려 있음.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함양 , 인명>문사>유학
-
정도전(鄭道傳)
고려 공민왕(恭愍王)~조선 태조(太祖) 때의 문신ㆍ학자. 이색(李穡)의 문인. 조선 왕조의 개국을 주도하고 사상ㆍ제도 면에서 기틀을 마련하였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李芳遠)에 의해 희생됨.
1342~1398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충청도>단양ㅣ경상도>영천(榮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독만달(鄭禿滿達)
중국 원(元) 나라 성종(成宗)~문종(文宗) 때의 환관. 고려 후기의 유학인 정인(鄭仁)의 아들로, 충렬왕(忠烈王) 때 원 나라로 가서 휘정사(徽政使)ㆍ연경사(延慶使)를 거쳐 제조장알사사(提調掌謁司事)에 오름.
1290~? 중국>원 , 중국ㅣ경상도>하동 , 인명>관인>환관
-
정동(鄭同)
중국 명(明) 나라의 환관. 원래 황해도 신천(信川)에서 태어났지만 세종(世宗)이 그를 중국에 공입(貢入)하여 명 나라 선종(宣宗)을 모시게 함. 서산(西山)에 있는 홍광사(洪光寺)를 창건함.
중국>명 , 중국 , 인명>관인>환관
-
정동이선생학칙(程董二先生學則)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인 정단몽(程端蒙)과 동수(董銖)가 만든 학칙(學則). 10세 이상의 아동들이 외부의 스승에게 나아가 배울 때 준수해야 할 규범을 담고 있음.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정두(鄭枓)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진사 정언보(鄭彦輔)의 아들이며, 지헌(芝軒) 정사성(鄭士誠)의 아버지로, 사섬시 첨정(司贍寺僉正) 등을 지냄.
1508~1576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두경(鄭斗卿)
조선 인조(仁祖)~현종(顯宗)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온양(溫陽). 이항복(李恒福)의 문인으로, 홍문관 제학(弘文館提學)을 지내고 대제학(大提學)에 추증됨.
1597~1673 한국>조선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관인>문신
-
정두형(鄭斗亨)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연일(延日). 참봉(參奉) 정충원(鄭忠元)의 아들로, 승정원 승지(承政院承旨)를 지내고, 죽은 뒤 효행으로 정려(旌閭)가 하사됨.
한국>조선전기 , 강원도>삼척 , 인명>관인>문신
-
정등만(丁等滿)
고려 후기~조선 전기의 유학. 《쌍매당협장집(雙梅堂篋藏集)》에 〈송백당정공등만여경(送柏堂丁公等滿如京)〉의 시(詩)가 수록되어 있음.
한국>조선전기ㅣ한국>고려후기 , 인명>문사>유학
-
정렬사(旌烈祠)
조선 선조(宣祖) 때 전라도 나주(羅州)에 세운 사당. 1606년(선조 39) 창건되고 이듬해 사액(賜額)되었으며, 김천일(金千鎰)ㆍ김상건(金象乾)ㆍ양산숙(梁山璹)ㆍ임회(林檜)ㆍ이용제(李容濟) 등을 배향함.
1606 한국>조선후기 , 전라도>나주 , 유적>건물>사당
-
정렴(鄭𥖝)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ㆍ학자ㆍ유의(儒醫). 천문ㆍ지리ㆍ의서ㆍ복서(卜筮) 등에 두루 능통했고, 특히 약의 이치와 음률에 밝았음. 포천 현감(抱川縣監)을 지냄.
1505~1549 한국>조선전기 , 충청도>온양 , 인명>기술인>의원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뢰(鄭賴)
고려 후기의 문신. 《목은시고(牧隱詩稿)》에 그에 관한 만사(挽詞)가 실려 있음.
한국>고려후기 , 충청도>청주 , 인명>관인>문신
-
정륜(鄭倫)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서산(瑞山). 영의정(領議政) 정인홍(鄭仁弘)의 아버지로, 영의정(領議政)에 추봉됨.
1518~?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합천 , 인명>문사>유학
-
정만석(鄭晩錫)
조선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문신. 본관은 온양(溫陽). 홍경래(洪景來)의 난 때 관서위무사(關西慰撫使)로 파견되고, 평안 감사(平安監司)가 되어 홍경래 관련 죄인들의 문초를 담당함. 우의정(右議政) 등을 지냄.
1758~1834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