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2,762건)
전체(52,762건)
-
정만종(鄭萬鍾)
조선 중종(中宗)~명종(明宗) 때의 문신. 본관은 광주(光州). 언관(言官)을 지낼 때 행신(幸臣) 김안로(金安老)의 비행을 탄핵함.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지내고, 송순(宋純)ㆍ윤순(尹洵) 등과 교유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관인>문신
-
정면(鄭綿)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함종 현령(咸從縣令) 정함도(鄭咸道)의 둘째 아들로, 횡성 현감(橫城縣監)을 지냄. 아버지와 삼형제가 동시에 고을 수령이 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함평 , 인명>관인>문신
-
정목번(鄭穆蕃)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동래(東萊). 이조 판서(吏曹判書)를 지낸 정유일(鄭惟一)의 아버지로, 참봉(參奉)을 지냄.
한국>조선전기 , 경상도>동래 , 인명>관인>문신
-
정몽(正蒙)
중국 북송(北宋)의 문신ㆍ학자인 장재(張載)의 철학서. 유가(儒家)의 학설을 이용하여 불교(佛敎)와 도교(道敎)의 사상을 비판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그가 정립한 기일원론(氣一元論)의 철학 체계를 담고 있음.
1076 중국>송 , 중국 , 문헌>서명
-
정몽열(丁夢說)
조선 전기의 유학. 본관은 무안(務安). 유학 정윤호(丁潤瑚)의 아들로, 1513년(중종 8)에 진사시(進士試)에 입격함.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 , 인명>문사>유학
-
정몽주(鄭夢周)
고려 공민왕(恭愍王)~공양왕(恭讓王) 때의 문신ㆍ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오부학당(五部學堂)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 친원(親元)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
1337~1392 한국>고려후기 , 경상도>영천(永川)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묘집(丁卯集)
중국 당(唐) 나라의 문인ㆍ문신인 허혼(許渾)의 시집. 2권. 책명은 허혼이 윤주(潤州)의 정묘교(丁卯橋) 촌사에서 시작(詩作)을 한 데서 붙여진 명칭이며, 총 500편의 시가 실려 있는데, 대부분 만당(晩唐)의 시국을 우려하는 내용임.
중국>당 , 중국 , 문헌>서명
-
정묘호란(丁卯胡亂)
조선 인조(仁祖) 5년에 후금(後金)의 침입으로 일어난 조선과 후금 사이의 전쟁. 인조의 친명배금(親明排金) 정책과 후금으로 달아난 이괄(李适) 잔당들의 부추김으로 인해 발발하여, 두 달여 간의 싸움 끝에 화의(和議)를 맺고 끝남.
1627 한국>조선후기 , 사건>전쟁
-
정문(鄭文)
고려 숙종(肅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인 정배걸(鄭倍傑)의 아들로, 10여 년 동안 형조(刑曹)를 맡아 일을 잘 처리함. 송(宋)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냄.
?~1106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문연(鄭文淵)
고려 후기의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문인으로, 좌랑(佐郞)을 지냄.
한국>고려후기 , 인명>관인>문신
-
정문익공유고(鄭文翼公遺稿)
조선 중종(中宗) 때의 문신인 정광필(鄭光弼)의 문집. 1책. 목판본. 저자의 후손인 정재륜(鄭載崙)이 유문(遺文)을 모으고 부록(附錄)을 덧붙여 편집한 후 정복선(鄭復先)이 1702년(숙종 28) 합천(陜川)에서 초간함.
1702 한국>조선후기 , 경상도>합천 , 문헌>서명
-
정문형(鄭文炯)
조선 세종(世宗)~연산군(燕山君) 때의 문신. 본관은 봉화(奉化)로, 개국공신 정진(鄭津)의 손자이며 정숙지(鄭叔墀)의 아버지. 1447년(세종 29) 별시(別試)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오도 관찰사(五道觀察使)ㆍ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등을 지냈으며, 1455년(세조 1) 좌익공신(佐翼功臣)에 녹훈됨.
1427~1501 한국>조선전기 , 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문휼(鄭文遹)
중국 송(宋) 나라의 학자. 주희(朱熹)의 문인으로, 주희가 그에게 상례(喪禮)를 편찬하게 함.
중국>송 , 중국 , 인명>문사>학자
-
정미사화(丁未士禍)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을사사화(乙巳士禍)의 여파로 일어난 사화. 문정왕후(文定王后)와 이기(李芑) 등을 비난하는 전라도 양재역(良才驛)의 벽서(壁書)가 발단이 됨.
1547 한국>조선전기 , 사건>사화
-
정미수(鄭眉壽)
조선 성종(成宗)~중종(中宗) 때의 문신. 본관은 해주(海州). 문종(文宗)의 외손자로, 중종반정(中宗反正) 때 정국공신(靖國功臣) 3등으로 해평부원군(海平府院君)에 봉해졌음.
1456~1512 한국>조선전기 , 전라도>광산ㅣ서울 , 인명>기타인명>공신ㅣ인명>관인>문신
-
정미약조(丁未約條)
조선 명종(明宗) 2년에 조선과 일본 사이에 국교를 다시 맺기로 합의한 조약. 세견선(歲遣船)의 척수(隻數) 제한 등 6개 항목에 합의하고, 1544년(중종 39) 사량진왜변(蛇梁鎭倭變) 이후 단절되었던 일본의 내왕 무역을 다시 허용함.
1547 한국>조선전기 , 법제>법률
-
정민시(鄭民始)
조선 영조(英祖)~정조(正祖) 때의 문신. 왕세손 시절의 정조를 보도(輔導)하여 정조 즉위 후 총애를 받았으나, 순조(純祖) 때 정순왕후(貞純王后)에 의해 삭탈관직되었다가 후에 복관됨.
1745~1800 한국>조선후기 , 서울 , 인명>관인>문신
-
정민정(程敏政)
중국 명(明) 나라 헌종(憲宗)~효종(孝宗) 때의 문신ㆍ학자. 효종 때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郞)을 지냄. 육구연(陸九淵)의 학파로, 진덕수(眞德秀)의 《심경(心經)》에 부주(附註)를 냄.
1445~1499 중국>명 , 중국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
-
정박(鄭樸)
중국 전한(前漢) 성제(成帝) 때의 도사. 대장군(大將軍) 왕봉(王鳳)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은 채 곡구(谷口)에 은거하여 수도(修道)함.
중국>전한 , 중국 , 인명>기타인명>도사
-
정배걸(鄭倍傑)
고려 현종(顯宗)~문종(文宗) 때의 문신ㆍ학자. 초계정씨(草溪鄭氏)의 시조. 곽원(郭元)의 문인으로, 예부 상서(禮部尙書) 등을 지내고, 사학십이도(私學十二徒) 중 하나인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끌며 후학 양성에 힘씀.
한국>고려전기 , 경상도>초계 , 인명>문사>학자ㅣ인명>관인>문신